Culture & History Traveling

궁궐_종묘

[서울 사직단 (社稷壇)] 사직단 출입문과 담장

younghwan 2010. 9. 3. 15:08
반응형

 종묘와 함께 서울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경복궁의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사직단이다. 일제에 의해 한때는 그 이름이 격하되어 사직공원이라고 불리던 장소이다. 사직은 조선의 정신세계에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적으로 사직단 성격의 특성으로 인해 문화재라고 할 수 있는 구성요소는 없지만 의미는 아주 중요한 장소이다.

 지금도 사직단 내부로는 출입을 할 수 없고 외부에서 담 너머로 봐야 하는 유적지이다. 사직단은 담장으로 둘러쌓여 있고 사방으로 출입문이 있으며 그 중에 동쪽인 경복궁 방향으로 난 출입문이 삼도로 사직단과 연결되어 있어 정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직단 정문을 들어서면 담장과 어린이 도서관을 들어가는 길이 보인다. 사직단의 동쪽편 담장으로 사직단의 동.서.남.북으로 나 있는 출입문 중에서 제일 큰 동쪽편 문을 볼 수 있다.

사직단의 동쪽편 출입문. 홍살문과 같은 모양의 삼문이 있고, 이 문을 들어서면 사직단으로 오르는 삼도가 놓여 있다. 사직단은 잠겨 있어서 내부로 일반인이 출입할 수는 없다.

사직단의 북쪽 출입문. 홍살문과 비슷한 형태의 문을 취하고 있으며 삼문의 형식을 취하지는 않다.

사직단의 북쪽편 담장.

사직단의 서쪽편 문. 마찬가지로 삼문의 형식을 취하지는 않고 있다다. 사직단 내부에도 담장이 있고 내문이 별도로 있다.

사직단 내부

사직단 남쪽편 출입문

사직단 뒷편에 자리한 종로도서관에서 내려다 본 사직단 주변

사직단 서쪽편에 공원으로 조성된 공간에 서 있는 율곡선생과 어머니 신사임당의 동상



종묘와 함께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가 한양에 수도을 정하고, 궁궐과 종묘를 지을 때 함께 만들었다. 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으며, 신좌는 각각 북쪽에 모셨다. 제사는 2월과 8월 그리고 동지와 섣달 그믐에 지냈다.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가뭄에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 그리고 풍년을 비는 기곡제들을 이 곳에서 지냈다. 1902년 사직단과 사직단의 임무를 맡는 사직서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고,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의 사직을 끊고 우리 민족을 업신여기기 위하여 사직단의 격을 낮추고 공원으로 삼았다. 1940년 정식으로 공원이 된 사직공원이 옛 사직단의 자리이다. <출처: 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