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궁궐_종묘

[경복궁, 조선의 법궁] 근정문 앞 외조(外朝), 유화문, 기별청, 행각들

younghwan 2010. 9. 7. 09:18
반응형

 경복궁 정문에서 내조 출입문인 근정문까지의 공간을 외조라 부르며, 그 공간 중앙에는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금천이 흐르고 있다. 외조에는 국왕을 보좌하는 관청들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근정전 앞 외조에서는 국왕이 주관하는 일상적인 실외행사가 이루어졌다.  근정문 앞 외조는 행각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서쪽편에서는 국왕을 보좌하던 관원들이 출입하던 유화문과 행사관련 업무를 보던 기별청이 자리잡고 있다.

경복궁 근정문 앞. 외조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국왕이 주관하던 실외행사가 이루어 지던 곳이다. 행사시 2품 이상의 관원들만 영제교 북쪽 공간에 설 수 있었다고 한다.

근정문 앞 외조를 둘러싸고 있는 행각들.

경복궁 궐내각와 빈청을 출입하던 유화문.

유화문 바로 옆에 위치한 작은 건물인 기별청.




흥례문 일곽의 가운데에는 백악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물 즉, 금천이 서에서 동으로 흐르도록 한 어구가 있고, 어구의 중앙에 영제교(永濟橋)라는 다리가 놓여 있다.  어구(御溝)는 경복궁 뿐만 아니라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 등에도 있으며, 고려궁궐, 중국의 궁궐, 베트남의 궁궐에도 있어 동아시아 지역의 궁궐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구와 영제교는 근정문에서 이루어지는 왕과 신하들의 조회 시에 신하들이 도열할 위치를 구별하는 경계이기도 했다. 영제교를 중심으로 북쪽에 2품 이상의 관원이 서고, 남쪽에 3품 이하의 관원이 정렬하였다. 흥례문 행각의 서북쪽에는 서쪽 궐내각사와 빈청으로 출입하는 유화문이 자리하고 있다. 흥례문 일곽에서는 조회뿐만 아니라 국문이나 교서반포 등이 이루어졌으므로, 궐내각사와 빈청의 관원들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는 문이 필요했고 그 역할을 유화문(維和門)이 한 것이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