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건축(불전_요사)

[화성 용주사] 사찰 누각인 천보루(天保樓)

younghwan 2009. 11. 18. 16:26
반응형

용주사 누각인 천보루는 정조대왕이 용주사를 건설할때 세워진 건축물로 일반 사찰 누각과는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천보루 기둥 아래 초석은 석조기둥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데, 경복궁 경회루의 1층 기둥을 연상시키는 초석이며, 궁궐 건물의 양식을 사용했다고 볼 수있다. 천보루 양쪽에는 요사채로 사용하는 회랑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또한 사찰 건물이 아니라 권문세가의 저택을 연상시키는 모습을 하고 있다. 천보루 앞에는 오층석탑이 있고, 용주사 본당인 대웅전은 천보루 누각 아래의 통로를 지나서 들어갈 수 있다.

화성 용주사 강당누각인 천보루는 앞면 5칸의 규모가 큰 누각이다. 누각의 모양새가 일반적인 사찰의 누각과는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으며, 궁궐 건물을 연상시킨다. 아마도 정조대왕 시절 궁궐 건물을 짓던 사람들이 주도하여 세웠기때문 그런것으로 보인다.

천보루 편액

대웅전에서 본 천부루. 홍제루라고 적힌 편액이 걸려있다.

천보루 동쪽편 요사채로 쓰이는 건물. 일반 권문세가의 사랑채를 연상시키는 형태이다.

보재루 동쪽 건물의 출입문과 문살

보재루 동쪽편 건물

궁궐누각의 석조 사각기둥을 연상시키는 천보루 주춧돌. 궁궐 건축의 영향이 반영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측면에서 본 천보루



삼문을 지나 절 경내에 들어서면 한 눈에 대규모의 누각이 정면에 나타납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인 천보루. 1790년 절의 창간 당시 지어진 정면 5칸, 측면 3칸의 2층누각인데 도편수는 경상도 영천 은해사(銀海寺) 쾌성(快性)스님이 맡았고, 강원도 삼척영은사(靈隱寺)의 팔정(八定)스님이 단청을 하였습니다. 천보루의 아래층은 대웅보전으로 향하는 통로로써 여섯 개의 목조기둥아래 높다란 초석이 건물을 받들고 있는데, 기둥을 받치는 초석이라기 보다는 그 자체가 석조기둥과 같이 커다란 규모입니다. 대체로 사원건축에서는 목조기둥을 사용하는 것이 상례이고 이러한 석조기둥은 주로 궁궐건축에서 사용됩니다. 절의 창건이 왕실의 직접적인 후원 아래 이루어진 것임을 알게 해주는데, 대웅전을 정면에 두고 오른쪽 벽면에는 별석으로 부모은중경을 한글로 새겨 절을 찾는 참배객들에게 효심을 불러 일으키게 합니다. 각각의 좌우로는 7칸씩의 회랑이 맞닿아 있고 동쪽에 나유타실(那由陀寮), 서쪽에 만수리실(曼殊利室)이 회랑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창건당시 그대로의 모습인데 사원건축이라기 보다는 마치 대갓집을 연상케 합니다. 나유타료와 만수리실은 모두 외정(外庭)으로 출입문이 나있고 또한 툇마루가 부속되어 있습니다. 외정 쪽의 방들은 외사랑에 해당하고 내정 건너 안채가 위치하는 이러한 구조는 민가(民家)의 건물양식 그대로입니다. <출처:용주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