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건축(불전_요사)

[계룡산 갑사] 강당

younghwan 2010. 4. 28. 14:22
반응형

계룡산 갑사의 실제 출입문으로 쓰였던 것으로 보이는 강당이다. 이 건물은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장식을 크게 하지 않고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건물 형태로 봐서는 원래 강당 아래에 출입문이 있는 누각의 형태로 보이는며, 이런 형태가 일반적인 사찰 강당의 형태인데, 어떤 연유인지는 모르겠지만 통로가 강당 우측편 계단을 사용하고 있다. 정유재란때 불타버린 것을 중건한 조선후기 건축물이다.


갑사 강당. 화엄십찰에 속하는 갑사의 명성에 비해서 강당이 큰편은 아니고 자연스러운 멋이 있다. 출입통로는 강당 좌.우에 계단이 있다.


‘계룡갑사(鷄龍甲寺)’라고 적힌 현판. 절도사 홍재의가 쓴 글씨라고 한다.


여러 방향에서 본 갑사 강당


강당 오른쪽에 있는 요사채로 통하는 아치모양의 돌문. 그 옆에 약수물이 나오는 거북상이 있다.


갑사 강당 앞 마당. 계룡산을 오르는 등산객들이 샘물을 마시며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다.



갑사는 계룡산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의 사찰로, 백제시대에 아도화상이 처음 지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통일신라시대에 의상대사가 크게 다시 지으면서 신라화엄 10찰의 하나가 되었다. 해탈문과 대웅전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강당은 승려들이 법문을 강론하던 건물로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뒤로 다시 지은 것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의 옆선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단순한 맞배지붕집이다.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의 기둥 위에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를 짰는데,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 단청은 완전히 퇴색되어 무늬의 흔적만 남아 있으며, 문짝은 많이 변형되어 원래의 모습을 잃었다. 절도사 홍재의가 쓴 ‘계룡갑사(鷄龍甲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전체적으로 기교를 부리지 않은 조선시대 후기의 웅장한 건축물이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