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홍성 백야 김좌진 장군 생가지

younghwan 2010. 12. 22. 14:18
반응형


 충남 홍성군 갈산면에 위치한 백야 김좌진 장군 생가지이다. 이 곳은 보통 서해안 안면도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기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지나쳤으리라고 생각된다. 서해안고속도로 홍성IC를 빠져 나오면 첫번째로 만나는 마을이 홍성군 갈산면 소재지인데, 이 마을은 지역에서 대표적인 양반들이 모여사는 반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고택들이 몇곳 남아 있는데, 만석군이 살았던 99칸 대저택인 '전용일가옥'과 'ㅁ'자형 양반가옥을 하고 있는 '김우열가옥'이 고택으로 남아 있다.

 백야 김좌진장군 생가터에 복원한 장군이 살았던 옛 고택 또한 지역에서 부호가 살았던 양반가 저택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금은 장군의 고택과 기념관, 작은 공원이 함께 있는 전형적인 유적지의 모습을 하고 있다. 김좌진 장군 고택은 행랑채와 안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행랑채는 손님이 묵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졌으며, 안채와 사랑채가 같이 붙어 있는 '-'형의 사랑채는 전형적인 양반주택의 형태인 'ㅁ'형 주택과는 양간 동떨어진 양식을 하고 있다.


김좌진 장군 생가로 복원한 이 한옥은 '-'형으로 앞면 5칸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 있는 일체형 한옥구조이다. 남녀를 분리한다는 유교적 관념에서 안채와 사랑채가 분리되었던 일반적인 양반가 저택과는 다른 형태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안채와 같은 건물이면서도 안채보다는 높게 만들고 양쪽으로 툇마루를 두어서 구한말에 크게 유행한 누마루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옆쪽에서 보면 독립된 정자같은 누마루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준다.


사랭채 문위에 걸린 액자에는 김좌진 장군의 서한이 있다.


사랑채 내부에는 당시 양반들이 앉아서 책을 읽던 책상이 놓여 있다.


안채와 사랭채 사이 1칸에는 대청마루가 있는데, 그리 넓은 편은 아니다.


가운데 2칸은 안방이 있는데 식구들이 거처하던 방으로 보인다.


부엌.


건물 앞쪽으로는 반칸 정도로 쪽마루를 내어 놓아 통로로 이용하고 있다.


건물 앞 마당


건물 맞은편에는 광으로 보이는 건물이 있고, 대문과 같이 있는 문간채가 보인다.


마당 한쪽편에 있는 우물


안채와 마주보고 있는 3칸짜리 건물인 광


안채 뒷편. 굴뚝과 장독대가 보인다.


안채에 붙어 있는 누마루와 같은 사랑채는 집주인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보이면, 실제로 손님을 맞는 사랑채는 대문옆에 있는 문간채였던 것 같다. 2칸짜리 방과 앞쪽에는 툇마루를 내어 놓고 있다. 이 집을 방문하는 손님이 머무는 공간이다. 홍성군 갈산면은 서해안 안면도나 천수만으로 가는 길목에 있기때문에 여름 성수기에 서해안을 여행하는 손님들이 많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지역에서 어느 정도 재력이 있는 사람은 손님들을 위한 공간을 준비하고 있어야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집 문간채에 당호가 걸려있는 것으로 봐서도 손님이 많았을 것 같다.


문간채 내부


문간채와 함께 3칸규모의 건물을 하고 이는 대문


대문에 걸린 김좌잔 장군의 문패


대분 바깥쪽에는 3칸짜리 마구간을 두고 있는데 상징적인 의미인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리 양반이라 하더라도 말을 키우는 경우는 많지 않았던 것 같던데 아마도 말을 탄 장군의 모습을 연상시키기 위한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마구간과 같이 있는 창고 내부. 각종 농기구들이 있다.


백야 김좌진 장군 생가 전경


김좌진 장군 생가



대한제국 말기의 독립운동가였던 백야 김좌진 장군이 태어나고 성장한 곳이다. 장군은 1889년 김형규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용맹하고 총명하였다. 1907년 호명학교를 세워 신학문을 교육하였다. 1916년 광복단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만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를 조직하고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0년 10월 청산리대첩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는 등 민족의 자주독립에 앞장섰다. 1925년 김혁과 함께 신민부를 조직하여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으며, 1929년 한족총연합회를 조직하고 주석에 올랐다. 1930년 1월 공산당 청년당원에게 암살 당하였다. 1962년 3월1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을 받았다. 대대로 살아온 이곳에 1991년 부터 성역화 사업을 추진하여 본채와 문간채, 사랑채를 복원하고 전시관을 건립하였다. <출처:홍성군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