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실크로드 황금문명전] 스키타이 복식과 장신구, 한반도 전통복식과 관련성이 있는 복식 형태

younghwan 2012. 2. 28. 23:30
반응형


 한복으로 불리는 우리나라의 전통 복식은 바지.저고리.포(겉옷)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트임 형태의 윗옷과 관모는 역사에 나타난 한반도 사람의 변하지 않는 복식 형태이다. 이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바도 있지만 북방유라시아 초원의 유목민족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으로 보인다. 또한 움직임을 편하게 하기 위한 가죽이나 섬유로 만든 허리띠와 동물문양 등이 들어간 허리띠를 조이는 대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까지는목걸이, 팔찌, 반지 등의 장식을 많이 하고 있는 편으로 중국을 영향을 받으면서 복식이 변하기는 했지만 기본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스키타이유물전에서는 우리나라 박물관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다양한 형태의 동물의장이 들어간 금속장식품과 팔찌, 목걸이, 반지, 귀걸이 등 삼국시대의 유물들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귀금속 장신구들과 우리나라 관모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스키타이인의 복식 등을 볼 수 있으며, 삼국 중 신라의 유물들과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제의용 여성의복(복원품), 기원전 4세기. 스키타이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기준으로 복원한 스키타이의 제용 의복이다. 우리나라의 한복과는 외형적으로 다른 것 같지만, 복식의 특징적면에서 스키타이와 같은 계통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인 것 같다.


스키타이 고분에서 출토된 유골과 무덤에 묻을 당시의 복식에 붙어 있던 금속제 장신구들이 스키타이인들의 복식을 추정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여성머리쓰개(Wonan's headdress, 복원품), 기원전 4세기, 금. 스키타이인들 사용했던 모자들. 특히 고깔형태의 모자는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 관모들의 원형이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분을 표시하거나 의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모를 사용하고 있는데, 후대에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기록으로 처음나타는 관모는 중국 문헌인 삼국지나 후한서에 고구려의 절풍건에 대해서 고깔형을 하고 있으며 새깃을 꽂아 사용했다고 하여 조우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중국의 것과는 다른 형태로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북방 유라시아 초원의 스키타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라의 금관 또한 고구려의 새로 만든 깃처럼 관모 바깥에 쓰는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복식이라고 한다.


그림으로 묘사한 스키타이 여자들의 복식. 기본적인 복식 위에 상당히 많은 금.은 등 귀금속 장신구로 장식하고 있다. 신라 고분 등에서 출토되는 많은 금.은제 장신구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토르크(Torque, 목걸이), 기원전 4세기, 금. 토르크(torque)는 북유럽에서 많이 사용한 목걸이 형테로 청동을 비틀어 꼬아서 고리 모양으로 만든 것, U자형의 철판으로 된 칼라 등이 있다. 스키타이는 금으로 화려하게 토르크를 만들어 놓고 있다.


목걸이(Necklace), 기원전 4세기, 금. 목걸이는 지중해 유역의 그리스 등에서 많이 만들어졌으며, 이 지역과 교류가 많았던 스키타이는 그리스로부터 유입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귀걸이(Earring), 귀걸이(Earring), 기원전 4세기, 금.


귀걸이(Earring), 기원전 4세기, 금. 우리나라 신라고분에서도 다양하면서 화려한 귀걸이들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쓰개용 펜던트(Head dress pendant), 기원전 4세기, 금


펜던트의 그리핀 장식문양


인장반지(Signet-ring), 기원전 4세기, 금


다양한 형태의 인장반지


장의용 화관,  서기 1~3세기, 금


귀걸이, 서기 2~3세기, 금.마노석(왼쪽), 금.홍옥수,가넷(오른쪽)


잎형태 장식, 서기 1~2세기, 금


뱀형상의 반지, 서기 2~3세기, 금


목걸이, 서기 1~2세기(그리스 고전기), 부적보관용 목걸이, 서기 1~2세기, 금.유리.홍옥수


팔찌, 기원전 5세기, 동


거울, 기원전 5~6세기(그리스 고전기), 동


거울, 기원전 7세기, 동


목걸이, 기원전 6세기, 돌.오닉스.홍옥수,


목걸이, 기원전 4세기(그리스 고전기), 유리. 천마총에서 출토된 상감유리구슬(오른쪽,6세기)과 외형에서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다. 연대상으로는 천년 이상 차이가 나지만, 실크로드 상에서 문화가 전파되면서 다양한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빗, 기원전 5세기, 스키타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