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성곽(산성_읍성)

부산 동래성 - 동부 경남의 오랜 중심지

younghwan 2010. 1. 24. 13:50
반응형


 일본으로 가는 관문에 위치한 주요 행정중심지였던 동래를 지키던 성입니다. 동래는 지금의 부산항을 포함한 해안에서 1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이 지역을 관장하는 행정적 중심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과의 통상은 부산항 근처에서 이루어지고, 주민 통제는 동래성 내에서 이루어집니다. 동래성은 상당히 큰 규모의 도심을 성벽으로 둘러싸고 있습니다. 그 규모는 조선후기 정조가 쌓은 수원 화성의 규모와 비슷합니다. 아마도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그렇게 쌓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근처에 금정산성이 있어 동래성과 협력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하여 동래성에서 부산포를 통제 관리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임진왜란때 동래 부사 송상현이 왜군과 혈투를 벌렸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렇게 빨리 무너졌는지 의문이 드는 면도 있습니다만 읍성이라는 성격 자체가 방어기능이 취약했던 점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래성에는 부산이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쪽의 성벽의 없어지고 뒷산에만 성벽이 일부 남아있습니다. 사진은 북쪽 방향의 출입문인 최근에 복원된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적으로 동래성 성벽은 하단부만 원래 성벽이고 나머진 복원한 것 같습니다. 동래성을 쌓은 돌의 색깔이 눈에 띄게 차이가 납니다. 읍성이라서 그런지 동래성은 그리 튼튼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임진왜란 때 빠른 시간에 왜군에게 점령당한 것 같습니다. 읍성의 특징은 소규모 왜구에 대응하기 위한 보통 2~3일 동안 주변 백성들이 잠시 피하면서 버틸 수 있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던 것 같습니다. 반면에 청주의 상당산성을 비롯해서 산성들은 대부분 아주 튼튼하고 난공불락 요새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능선을 따라 길게 동래성 성벽이 펼쳐집니다. 전체 성벽 둘레는 상당히 큰 규모로 쌓은 것 같습니다. 수원화성보다 큰 것 같기도 합니다. 이 곳이 왜구 침입 가능성이 가장 높아서 그런듯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래에눈 예전 동래부 동헌 건물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이 동래부 건물은 동래시장 한가운데 남아 있는데 아직도 남아 있다는 것이 불가사의합니다. 일본인들이 이 동래부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미를 두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동래읍성은 마안산을 거쳐 구릉지와 동래 시가지의 평탄한 지역을 포함하여 쌓은 읍성으로,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고려사』에 의하면 고려 현종 12년(1021)에 동래읍성을 수리하였으며, 그 뒤 우왕 13년(1387)에 왜구를 막기 위해 동래성을 크게 고쳐 쌓아 둘레가 3090자, 높이 13자라고 전한다. 왜적 방어의 제1관문인 이 성은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부산 진성과 함께 왜적의 1차 공격목표가 되어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임진왜란 이후 방치되었던 것을 조선 영조 7년(1731)에 다시 증축하여 당시 규모가 둘레 1729자였고, 4곳에 문을 만들었다. 동문을 지희루, 서문을 심성루, 남문을 무우루, 암문(적 또는 상대편이 알 수 없게 작게 꾸민 성문)을 은일루라 하였다. 남문에는 양 날개가 달린 듯 좌우로 뻗은 성벽인 익성이 있고, 나머지 3개의 문에는 성문을 보호하고 성을 튼튼히 지키기 위해, 성문밖으로 원형이나 방형으로 쌓은 옹성을 두어 적으로부터 성을 방어하고 있다.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평지의 성벽은 대부분 철거되었고, 마안산을 중심으로성곽의 모습만 겨우 남아있다. 현재 북문과 옹성, 동장대, 서장대 등이 부분적으로 복원되어고 있다. <출처: 동래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