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무위사 7

강진 월출산 무위사, 극락전으로 유명한 남도답사일번지

강진 월출산 무위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중의 하나인 극락전으로 유명한 사찰이다. 월출산 자락 아래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 바다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사찰이다. 이 무위사는 산중턱도, 계곡도 아닌 도로 옆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지만, 인가가 많은 지역에서는 약간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한 작은 암자규모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후대에 도선국사가 중건하여 사찰규모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근처에 있던 월남사는 폐사가 되었지만 무위사는 그 명맥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이 사찰에는 원래 국보로 지정된 극락전 외에는 불전이 거의 없었다고 전해지며, 최근에 여러 불전을 짓고 경내 마당도 넓혀서 큰 사찰같은 분위기를 주고는 있다. 사찰 경내에는 고려시대에 세운 작은..

전국 사찰 2010.09.12

강진 월출산 무위사, 사찰풍경과 동백나무숲

월출산 자락에 자리잡은 남도답사일번지 무위사는 극락전과 함께 남도 특유의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사찰 경내를 둘러싸고 있는 초록의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 상록수 숲은 서울주변에서는 잘 볼 수 없는 이색적인 아름다움이다. 선운사 동백나무숲이 유명하지만, 남도에서는 그런 종류의 숲이 일상화되어 있고, 어디서는 흔한 풍경인 것 같다. 특히 햇살이 좋은 곳에 위치한 사찰이나 고택, 서원 등에서는 가장 인상깊은 것이 뒷동산을 초록빛 숲 일 것이다. 무위사 천왕문을 들어서면 돌계단이 보이고 정면으로 극락전이 있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왼쪽의 동백나무 무위사 경내로 들어서면 오른쪽에는 고목 세그루 우뚝 서 있다. 초록빛을 띠고 있는 요사채 뒷편 숲. 요사채에는 아직도 개가 있는데, 책에서 언급한 그 개는 아니라서 낮선..

전국 사찰 2010.02.26

[강진 월출산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

무위사 극락전 서쪽편에 위치한 탑비로 통일신라시대 고승 선각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탑비이다. 고려초 광종이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렸다고 한다. 이 탑비는 비받침돌, 몸돌, 머리돌이 온전하게 남아 있으며, 당시에 세워진 탑비 중에서 큰 편은 아니지만, 받침돌의 조각이 사실적이고 생동감있게 만들었다. 무위사 선각대서편광탑비. 탑의 받침돌. 몸은 거북이고,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형상이다.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형상을 한 받침돌 머리. 탑비에는 고려초 문장가 최언위가 비문을 지었다고 한다. 탑비의 머리돌. 여러 방향에서 본 선각대사편광탑비. 무위사는 전라남도 강진의 월출산 동남쪽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의 명승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라 하였고, 명종 5년(1550) 태감(太甘)이 4번..

[강진 월출산 무위사]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

무위사는 월출산 자락에 있는 작은 사찰이라서 극락전 외에는 오래된 불전은 없어 보이고, 최근에 지은 몇동의 불전이 있다. 이 사찰은 불전의 크기에 비해서 스님들이 기거하고 수행하는 요사채 건물은 사찰 규모에 비해서 건물도 크고 많아 보였다. 아마도 이 곳 무위사를 찾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것 같다. 반면에 누각이나 강당같은 건물은 없고, 오래된 고목 몇 그루가 경내에 우뚝 서 있고, 불전 뒷편으로는 동백나무숲이 우거져 있다. 무위사 동쪽편에 있는 요사채. 원래부터 있었던 요사채로 보이며 문앞에 지금은 늙은 개가 엎드려 있었던 곳이다. 무위사 경내 서쪽편에는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는 전시관이 있다. 천왕문 동쪽편 요사채 무위사 천왕문 서쪽편 요사채, 범종각과 함께 최근에 신축한 것으로 보인다. 무위사에는 꽤 ..

강진 무위사 극락전(국보), 직선적인 단아함이 뛰어난 조선초기 건축물

강진 무위사는 월출산 남쪽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크지 않은 사찰로 남해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모양으로 남해보살로도 불리는 관음보살을 위해 원효대사가 지은 사찰로 알려져 있다. 무위사는 국보로 지정된 조선초기 건축물인 극락전을 잘 알려져 있는 사찰로 극락전 건물을 보면 무위사가 추구했던 단아함, 간결함, 절제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무위사 극락전. 조선 세종때 지은 건물로 앞면3칸, 옆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조선초기 건축물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직선적이고 간결하게 만들어졌다. 측면에서 본 무위사 극락전. 사람 인(人)자 모양이 지붕을 하고 있다. 봉정사 극락전과 비슷한 모양새이지만 건물전체적으로는 본당으로서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선전기에 유행한 주심포계 형식의 공포이다. 주심포계란 공포가 ..

[강진 월출산 무위사] 천왕문 (해탈문)

무위사 출입문인 천왕문이다. 국보인 극락전과 함께 무위사를 소개할 때 많이 등장하는 문으로 극락전과 잘 어울리게 소박하면서도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다. 무위사는 이 주차장에 내리면 바로 천왕문을 볼 수 있고, 천왕문을 들어서면, 넓은 공간이 펼쳐지는데 인위적인 면이 있는 듯 하다. 다른 지역의 사찰과는 달리 천왕문을 지나면 강당이나 누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불전인 극락전이 바로 눈앞에 들어온다. 무위사 천왕문(해탈문). 한옥 저택의 출입문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전통적인 무위사 분위기에 잘 어울리는 형태이다. 천왕문 안쪽으로 무위사 극락전이 보인다. 무위사 편액과 용의 형상으로 만든 장식 사천왕상 천왕문을 들어서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목조건축물 중 하나인 무위사 극락전이 보인다. 무위사 경내에서 본 천왕..

강진 월출산 무위사, 들어가는 길

강진 무위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목조 건축물인 극락전으로 유명한 사찰로 월출산 남쪽편 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월출산 고갯자락을 경계로 북쪽편에는 영암 도갑사가 있다. 무위사는 월출산에 있는 사찰이지만, 계곡에 위치한 사찰이 아니라 평지사찰처럼 보인다. 무위사 들어가는 길에는 계곡길을 따라서 걸어가거나, 수목이 우거진 숲속길을 걸어가는 것이 없이 도로 가까이에 사찰이 동백나무 숲을 배경으로 서 있다. 그래서 무위사는 산사를 걷는 느낌을 주는 사찰은 아니고 시골 마을의 지세가 좋은 곳에 자리잡은 양반집 저택 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다. 영암과 강진.해남을 연결해주는 국도에서 무위사로 들어가는 입구. 여기서 아름다운 월출산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월출산 무위사 들어가는 길에서 본 월출산. 동네이름이 달아래..

전국 사찰 2010.02.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