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범종각 5

[철원 도피안사] 사천왕문, 해탈문, 들어가는 길

철원 도피안사는 문화재로 국보로 지정된 철불좌상과 보물로 지정된 특이한 모양의 삼층석탑을 제외하고는 중심불전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전각이 최근에 중수된 사찰이다. 도피안사는 통일신라말 도참사상으로 잘 알려진 도선국사가 향도들과 함께 세운 사찰로 철원 평야 중앙에 위치한 낮은 야산인 개화산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다. 이 도피안사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초에 세워진 많은 사찰들처럼 도심과 가까이 있으면서, 전형적인 지방토호세력을 대표하는 사찰로 알려져 있다. 도피안사 들어가는 길은 도로에서 가까운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산중에 있는 사찰들처럼 한적한 숲속길 같은 것은 없고 최근에 세워진 두개의 출입문인 사천왕문과 해탈문이 있다. 철원 도피안사 정문인 사천왕문. 대부분의 많은 사찰들처럼 최근에 지으진 건물이다. ..

[부안 능가산 내소사] 봉래루(蓬萊樓), 범종각, 보종각

내소사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내소사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눈앞에 커다란 고목이 우뚝 서 있고 뒤로는 내소사의 전각들과 뒷편의 능가산의 풍경이 적절하게 배경을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커다란 고목을 지나면 내소사의 실질적인 경내인 대웅전 앞 마당을 들어가는 통로인 봉래루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봉래루는 오래된 건물같지는 않은데 채색이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봉래루 기둥에는 많은 사람들이 소원을 적어서 걸어둔 쪽지들이 매달려 있습니다. 내소사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가운데에 아주 오래된 고목이 우뚝 서있고 양편으로는 두개의 범종각이 있으며 뒤로는 능가산 봉우리가 배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내소사의 오래된 고목입니다. 겨울이라서 앙상한 가지를 드러내 놓고 있습니다. 내..

[월출산 도갑사] 범종각, 주변 풍경

월출산 도갑사 출입문이 해탈물을 들어서면, 넓은 사찰 마당과 정면의 대웅전이 보이고 대웅전 경내 남쪽편에는 범종, 법고, 목어가 걸려있는 범종각을 볼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 세워진 전형적인 범종각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천왕문 다음에는 강당이 있고, 그 아래쪽에 범종각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곳 도갑사는 해탈문을 들어서면, 바로 대웅전이 나타난다. 이런 광경은 월출산 남쪽 무위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아마도 한국전쟁 이후 복구하는 과정에서 마당을 넓힌것으로 보인다. 도갑사 범종각.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3칸규모의 건물로 전형적인 범종각이 모습을 하고 있다. 측면에서 본 범종각 도갑사 해탈물을 들어서면 월출산이 있는 남쪽 방향에 범종각을 볼 수 있다. 해탈문을 들어서면 북쪽 방향..

[서산 개심사(開心寺)] 범종각과 범종, 연못

개심사 일주문에서 숲속길을 걸어 언덕에 오르면 첫번째로 보이는 개심사의 모습은 연못과 범종각이다. 범종각은 건물이 크지는 않지만, 축대위에 뛰어 나온 듯한 건물 배치로 인해 아래에서 보면 상당히 크고, 웅장해 보인다. 일반적인 사찰에서는 범종각이 중앙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지 않고, 강당으로 쓰이는 누각이 정면을 차지하는 것이 보통인데 비해서 개심사는 법고와 목어는 뒷쪽편 강당에 있고 범종각이 사찰 정면의 가장 웅장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서산 개심사 경내에 들어서면 보이는 광경인 범종각. 곧지 않고 약간 비뚤한 나무기둥을 사용해서 그런지 정겨운 느낌을 주고 있다. 서산 개심사 입구에 있는 작은 연못. 중간에 나무다리를 놓아 연못을 지나서 몸을 깨끗히 하고 경내로 들어갈 것을 권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보은 속리산 법주사 - 범종각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옆에 자리잡고 있는 범종입니다. 법주사 범종은 조선 순조 4년(1804) 7월에 대시주 1명과 15명의 일반시주자의 시주를 받아 4천근의 동으로 제작된 청동종이다. 종신(鐘身) 하단에는 “가경구년갑자칠월일대법주사대종중사천근(嘉慶九年甲子七月日大法住寺大鐘重四千斤)” 이라는 명문(銘文)이 음각되어 있고, 시주자와 당시의 주지(住持), 만든이 등이 새겨져 있어 제작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조선 후기의 종이다. 크기는 높이 212.5cm, 종신부 상단 지름 82cm, 종신부 하단 지름 140cm인데, 종신의 전체 선은 둔중한 편으로 양각의 횡선이 3줄 둘러져 종신을 크게 구획하고 있고 용뉴(龍뉴)가 쌍룡으로 된 것이다. 조선시대의 범종으로 종신의 문양이 약하게 표현되는 등 주조기법이 뛰어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