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불상 46

경조 남산 용장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 187호)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이다. 3층 대좌에 위에 앉아 있는 불상은 머리가 없어졌으며 손과 몸체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불상은 신체의 볼륨이 강조하지 않고 현실의 승려가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는데 조각수법이나 신체의 표현 등이 우수하다.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은 석굴암 감실의 불상이나 8세기 중엽 불상들에서 보여주는 특징이다. 불상이 남아 있는 이곳은 용장사에서 불전 역할을 했던 공간으로 보인다.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옛 용장사에서 주불전에 해당하는 공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얼굴과 손 등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신체의 비례나 세부표현이 사실적이다. 불상이 올려져 있는 3단의 원형 대좌. 불상 앞에서 내려다 보이는 경주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이다. 삼층석탑 아래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불상을 새겨 놓았다. 얼굴은 원만하게 표현했으며 신체의 균형이 잘 잡혀 있다. 활력있는 형태, 세련된 선의 흐름 등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8세기 통일신라 불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바위 옆 공간에는 석조여래좌상(보물 187호)이 남아 있다. 용장사 절터는 금오산 정상부에서 서쪽으로 멀지 않은 용장사 계곡 정상 부근에 자리잡고 있는데 그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조선초 세조때 생육신인 김시습이 이곳에 머물면서 『금오신화』를 저술했다고 한다.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 바위에 돋을 새김한 불상으로 단순하지만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표현이 돋보인다. 마애불상..

경주 남산 삼릉곡 석조여래좌상(보물 666호)

경주 남산 탐방로 중 삼릉계곡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 666호)이다. 석굴암 본존불 조각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상으로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게, 옷주름선은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다. 대좌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꽃무늬와 안상을 조각해 놓았다. 얼굴부분이 파손이 심했는데 최근에 보수하여 복원해 놓고 있다. 광배 또한 불상에서 떨어져 있던 것을 원래의 위치에 붙여 놓았다. 불상이 있는 절터에는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약사여래좌상과 경주박물관에 있는 삼층석탑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볼 때 큰 규모의 암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 남산 삼릉계곡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 666호).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의 조각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통일신라 석조불상이다. 연화대좌에 결가..

경주 남산 삼릉곡 마애관음보살상

경주 남산 삼릉계곡에서 2번째로 볼 수 있는 유물인 마애관음보살상이다. 바위에 불상을 새겨놓고 있는데, 보관을 쓰고 정병을 들고 있는 모습이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불상 뒷편 기둥모양 바위가 광배역할을 하고 있다. 얼굴과 몸통 윗부분은 입체감 있게 조각되었으나, 아랫부분은 윤곽이 거의 없으며,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조성연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통일신라 전성기인 8~9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주 남산 삼릉계곡 탐방로에서 2번째로 만날 수 있는 유물인 마애관음보살상. 불상은 기둥처럼 생긴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불상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으며, 정병을 들고 있는 모습에서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쪽에서 본 모습.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

신라 불교의 성지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이다. 배리삼릉 뒷편 계곡을 따라서 오르는 탐방코스에서 첫번째로 볼 수 있는 불상이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어 원형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다. 높이 1.6m의 상당히 큰 규모이며, 머리가 잘려있다. 불상의 신체나 복식 등 세부 표현이 섬세하며, 웅장한 모습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때 만들어진 불상으로 보인다. 경주 남산 배리삼릉 뒷편 계곡 탐방로에서 첫번째로 볼 수 있는 불상. 불상은 얼굴이 남아 있지 않지만, 신체나 복식의 세부표현이 섬세하며, 전체적인 조형미도 우수한 편이다. 옆쪽에서 본 모습 뒷편에서 본 모습.

경주 단석산 마애불상군(국보 199호)

경주 단석산(斷石山, 해발 827m) 중턱에 있는 마애불상군(국보 199호)이다. 자연암석이 ‘ㄷ’자형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고 있다. 석굴 내부 바위에는 10구의 부처와 보살상이 새겨져 있다. 미륵보살(여래입상)이 북쪽면에, 동쪽에는 관음보살, 남쪽에는 지장보살을 새겨 삼존불을 이루고 있다. 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굴사원으로 불상 조각수법은 떨어지는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충남 서해안 지역 서산이나 태안의 삼존불과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중국 낙양이나 산동지방에서 유행했던 석굴사원이 백제를 거쳐 신라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석굴사원은 경주 골굴암, 군위 석굴암을 거쳐 토함산 석굴암에서 신라의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운다. 경주 단석산 마애불상군(국보 199호). 삼국시대 신라..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

남원 용담사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이다. 큰 바위에 부처의 형상을 부조로 새겨놓은 높이 6m에 이르는 거대한 불상이다. 얼굴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심하게 마모되어 알아보기 힘들지만 힘차고 박력있는 표정을 느낄 수 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비롯하여 고려 초 호족세력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조성한 거대한 불상 중 하나이다. 조각으로 표현된 부분이 마모되어 알아보기는 힘들지만 전체적으로 힘이 넘치고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도 양호한 편이다. 남원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도선국사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오고 출토된 유물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후기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남원 용담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 얼굴 형체는 알아볼 수..

골굴암 석조여래좌상 (보물 591호), 토함산 자락 바위에 새긴 불상

경주 토함산 동쪽 기림사 부근에는 작은 암자인 골굴암이 있다. 골굴암은 석굴암처럼 석굴사원 구현한 것으로 보이는 작은 암자이다. 멀리 양북면 일대가 내려다 보이는 전망이 좋은 언덕 아래 12개의 작은 자연굴에 불전을 마련하여 암자를 형성하고 있다. 골굴암은 조선후기 화가 겸재 정선이 그림으로 남겨놓을 정도로 당시에도 유명했던 곳이다. 골굴암 석조여래좌상(보물 591호)는 자연석을 조각해서 만든 마애불상이다. 연석의 석질이 고르지 않이 일부 손상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입체감이 돋보인다. 머리위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의 윤곽이 입체적이면서 뚜렷하다. 얼굴에 비해 신체는 평면적이며 넓게 표현되어 있다.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을 이루며, 굴곡을 표현한 V자형 무늬가 ..

제비원 석불로 불렸던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115호)

안동시 이천동 옛 국도변에 위치한 제비원 석불로 불렸던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115호)이다. 고려초 지방 호족들이 힘을 과시하기 위해 조성했던 거대한 석불 중 하나이다. 자연암석에 불상의 몸체를 선으로 새기고, 머리는 따로 조각하여 올려놓았다.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에는 미소가 흐르고 있다. 양 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어 왼손을 가슴에 대고, 오른손을 배에 대고 있는 수인(手印)을 하고 있어 아미타여래로 여겨진다. 이곳 이천동은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된 연미사(燕尾寺)가 있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원(院)이 설치되어 제비원으로 불렸다고 한다. 또한 이곳은 ‘성주풀이’라는 민요에 가택신(家宅神)인 성주(城主)의 고향으로 설정된 곳이기도 하다. 제비원석불로 불렸던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217호)

부여 가림성(加林城, 성흥산성)이 있는 성흥산 중턱 대조사(大鳥寺)에 있는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217호)이다.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함께 고려초기 이 지역에 성행했던 미륵신앙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높이 10m의 거대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이중 보개(寶蓋)를 얹은 관(冠)을 쓰고 있는 전형적인 미륵보살의 형상을 하고 있다. 몸통에 비해서 얼굴을 크고, 얼굴은 4각형으로 넓적하며, 귀와 눈은 크고 코와 입은 작게 표현하고 있는 등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으며 조각수법은 투박하다. 대조사(大鳥寺)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전통 깊은 사찰이다. 13세기(고려 원종)에 크게 중건되면서 현재와 비슷한 사찰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삼층석탑이 같이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조사(大鳥寺)라는..

부안 개암사 괘불(보물 1269호)

2015년 겨울 중앙박물관 2층 불교회화실에서 특별전시 중인 개암사 괘불(開巖寺 掛佛)이다. 내소사와 함께 서해안 변산반도를 대표하는 사찰인 개암사(開巖寺)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형괘불로 보물 1269호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가 13.17m에 이르는 대형 불화로 18세기 최의 화사(畵師)였던 의겸이 제작을 주도했고 12명의 승려가 참여하여 완성하였다고 한다. 전국 사찰에는 괘불을 비롯하여 많은 불화들을 소장하고 있지만 실제 볼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문화재급에 해당하는 불화는 이곳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이 괘불은 석가모니불과 문수.보현보살, 다보여래.아미타불, 관음.세지보살을 그린 영산괘불(靈山掛佛)이다. 괘불은 영산재(靈山齋).수륙재(水陸齋) 등의 큰 의식식을 베풀때 법당 바깥에 걸었던 불화..

[중국 칭다오박물관] 고대공예품 (금속공예, 문방구, 도용)

중국에서도 다양한 공예가 발달했지만, China라는 영어 국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자기공예가 중국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도자기 공예 외에도 중국에는 다른 공예들이 발달했는데 그 중 도자기 다음을 중국적인 분야가 문방구 분야일 것이다. 필구도구로서 개발된 먹과 벼루는 진.한대를 거치면서 종이의 발명과 함께 산업화되었으며, 명.청대에는 서예, 산수화 등과 연결되면서 예술품의 경지에 이른 작품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문방구와 함께 공예품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전국시대부터 무덤의 부장품 등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행운을 상징하는 도기로 만든 인형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이후에는 대나무, 목재, 상아, 뿔 등을 깎아서 조각하는 공예품들도 중국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Carved..

해외 박물관 2014.02.02

상주 복룡동 석불좌상(보물119호), 상주 도심 왕산공원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상주시 구도심 옛 상주목 관아가 있었던 왕산에 있는 석조불상이다. 원래는 상주시 복룡동 마을에 있었던 것으로 1970년대에 공원이 조성되면서 이곳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석불은 높이 147cm로 중후하면서 투박한 느낌을 하고 있어 지방세력의 힘을 보여주는 많은 석불을 세웠던 고려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머리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훼손된 부분이 많으며 조각수법 또한 통일신라 전성기의 것보다 뒤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상주시 일대의 중심지가 되었던 도심 마을에 계속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부여 정림사지나 논산 개태사 등에서 볼 수 있는 도심에 있었던 사찰의 불상으로 보인다. 상주 복룡동 석불좌상, 보물119호, 경북 상주시 서성동 당초 석불좌상이 있었던 곳은 복룡동 358번지 마을 가운데..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보물657호)

보물 657호로 지정된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는 북한산 자락에서 흘러내리는 많은 계곡 중 하나인 삼천리골계곡에 남아 있는 불상이다. 계곡에 있는 큰 바위에 새겨진 이 불상은 고려초인 11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불상은 지금은 삼천사 대웅전 뒷편에 위치하고 있지만, 원래는 현사찰에서 2km 쯤 위쪽에 삼천사가 있고 마애불상이 있는 이곳에는 작은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바위에 새겨진 높이 2.6m의 이 불상은 얼굴과 윗몸은 돋을 새김을 하였으나, 하반신과 광배 대좌 등은 볼록한 선새김을 하고 있다. 불상이 조성된 바위 위에 다른 커다란 바위가 얹혀 있어 지붕이나 보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초기에 새겨진 불상으로 조각수법이 섬세하면서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전체적인 비례 또한 자연스..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보물 215호), 사모바위 아래 바위에 새겨놓은 불상

서울 구기동 마애여래좌상은 북한산 봉우리들 중 진흥왕순수비가 있었던 비봉과 사모바위 아래 바위에 새겨진 거대한 마애불상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마애불상으로 그 규모가 상당히 큰 편으로 고려초 지방의 호족세력이 그들의 권위를 표현하게 위해 대형 석불이나 철불을 조성했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마애불상으로 평면적인 형태를 보여주지만 동시대에 만들어진 대형 석조불상들에 비해서는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에 속하는 불상으로 전체적으로 석굴암 본존불이나 하남동 춘궁동사지에서 발굴된 철조불상을 참조하여 조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마애불상은 중국 당나라 고승은 승가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찰인 북한산 승가사 뒷편에 위치하고 있다. 불상 아래에는 보물 1000호로 지정된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상이 있으며, 승가..

[대구박물관] 삼국시대 불교 조각,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국보182호)와 금동보살입상(국보 183호, 184호)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4세기 고구려 소수림왕 때 전진에서 승려와서 불상과 불경을 전하면서 부터이고, 백제는 고구려와 별개로 4세기에 동진에서 온 승려 마라난타에 의해서이다. 신라는 삼국 중 늦은 시기인 5세기 눌지왕때 고구려에 의해서 전파되었다. 신라는 토착신앙이 강해서 실제로 불교가 공인된 것은 6세기 법흥왕때 이차돈의 순교에 의해 이루어졌다. 신라가 국가적으로 불교가 공인되기 이전부터 경북지역에서는 불교가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경주에 비해서 이른 시기에 사찰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에 비해 불교가 먼저 전파된 경북지역에는 이른시기부터 불상을 만드는 조상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영주, 봉화, 안동, 군위 등 여러지역에서 삼국시대 금동불과 마애석불 등이 남아 있다. 특히, 우리나..

지역박물관 2013.04.27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307호), 중국 북제의 영향을 받은 백세시대 불상

한반도와 중국간 해상교역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태안반도에서 비교적 높은 봉우리에 속하는 백화산(284m)에 남아 있는 백제시대 석굴사원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국보 307호로 지정된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이다. 이 불상은 백제가 중국 남.북조와 교류하던 6세기경 중국 북제의 석굴사원 불상의 영향을 받은 불상으로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국보84)에 선행하는 양식을 가졌다. 이 불상은 마애불상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사각형의 감실안에 보살상이 가운데 있고, 양쪽에 여래상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는 삼존불상이다. 오른쪽에는 약사여래, 왼쪽에는 석가여래, 가운데에 작은 크기의 관음상이 새겨져 있다. 불상 아래쪽에는 백제시대 연화대좌가 확인되어 그..

[청주박물관] 비상, 비석에 새긴불상

비상은 비석에 불상을 조각한 비석형 불상이다. 중국에서는 6세기 북위 석굴사원에 그 형태가 처음 나타났으며, 서위시대에는 석상 4면에 불상을 조각하는 사면불 셩식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비상은 수.당시대까지 크게 유행하였지만 8세기 이후 불교조각이 쇠퇴함에 따라 그 이후에는 많이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상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존하는 것은 연기지방에서 발견 7점뿐으로 '계유'가 새겨진 아마타불(국보106호), '계유'가 새겨진 삼존불(국보108호) 등이 있으며, 연기군 비암사, 연화사, 공주시 정안면과 조치원 서광암에서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7점이 비상이 발견된 현 세종시(연기, 조치원) 지역은 백제의 2번째 수도였던 공주,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와 가까운 지역으로 백제가 멸망한 ..

지역박물관 2013.01.30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고려, 조선시대 금동불상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불교미술에 비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그 표현 방식의 섬세함이나 예술적 완성도에서는 크게 뒤떨어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민간의 생동감 넘치는 투박하고 거대한 석불들과 철불상들이 전국 곳곳에 많이 만들어졌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완성도가 높았던 석탑의 제작은 크게 줄어들고, 고승의 사리를 모시는 사리탑이 전국적으로 많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경향으로는 원나라 침입이후 라마교의 영향을 받은 경천사지석탑 등과 라마풍의 불상들도 제작되기도 했다. 조선시대는 유교국가로 불교 미술은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고려시대를 답습한 듯한 모습을 보인다. 1. 고려시대 불상 고려시대 불상은 통일신라시대에 비해서 불상의 세부 표현 기법이나 기술의 크게 떨어져서 지금의 기준을 봐서..

중앙박물관 2012.08.27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통일신라 금동불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 80호)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는 석굴암 본존불과 불국사삼층석탑으로 대표하는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웠던 시기이다. 삼국시대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으면서 우리나라 고유의 특징을 보여주었던데 비해 통일신라만이 고유한 양식이 많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대체적으로 불상의 제작수법에서 세련되면서도 세밀하고 자연스러운 면이 크게 좋아 졌다고 하며, 후대인 고려시대 불상에 비해서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세련된 수법을 보여준다. 반면에 고구려 불상에서 보여주었던 생동감 넘치고, 힘있는 모습은 다소 줄어들면서 정형화된 느낌을 주는 측면도 약간 있어 보인다. 이 시기에는 비로자나불이나 약사불이 많이 만들어졌고, 지방 호족을 중심으로 철불상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통일신라 금동불상 통일신라 불상은 삼국시대에 축적된 기술과 중국 당나..

중앙박물관 2012.08.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