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성곽(산성_읍성)

[서울 성곽] 흥인지문(보물1호), 구한말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한양도성 동대문

younghwan 2013. 5. 27. 16:52
반응형


 동대문이라 부르는 흥인지문은 한양도성의 서쪽 출입문으로 함경도에서 철원, 양주를 거쳐서 들어오는 길을 비롯하여 강원도에서 남양주를 거쳐서 들어오는 길, 영남지방에서 광주를 거쳐서 광나루, 송파나루를 건너서 들어오는 길 등이 동대문과 연결된다. 흥인지문은 태조대(1398년)에 한양도성을 처음 쌓았을 때 처음 지었던 것을 단종대(1453년)에 고쳐지었던 것을 구한말인 고종 6년(1869)년에 대대적으로 수리하여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구한말에 지어진 건축물이지만 당대의 건축양식의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하나이자 한양도성의 성문으로 역사적, 건축적인 가치가 높고 국보 1호인 숭례문과 함께 상징적인 의미로서 보물 1호로 지정된 것으로 보인다.
 
 성문은 화강석을 아치형으로 쌓은 홍예문이며, 문루는 조선시대 문루 중 가장 큰 규모인 2층 문루를 하고 있다. 구한말에 중국의 성문의 영향을 받았고, 조총이 보편화된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여 사방이 뚫린 누정과 같은 조선중기 이전의 문루와 달리 조총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총구가 뚫린 나무판문으로 내부가 막혀 있다. 문루는 앞면 5칸, 옆면 2칸의 우진각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성문 바깥쪽에 출입문을 보호하기 위한 반원형의 옹성을 쌓은 한양도성의 유일한 성문이기도 하다.

 서울 성곽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도성(都城)으로 북쪽의 북악산, 동쪽의 낙산, 남쪽의 남산(목멱산), 서쪽의 인왕산을 연결하여 쌓은 석축성이다. 한양 도성에는 동.서.남.북 4방향으로 출입문 대문을 세웠고 성문에는 인.의.예.지 글자를 이름에 넣었다. 또한 각 대문사이에는 4곳의 소문을 세웠는데 서소문, 창의문(북소문), 혜화문(동소문), 광희문(남소문)을 두었다.

서울 흥인지문(동대문), 보물 1호, 서울 종로구 종로 6가
흥인지문은 1398년(태조7)에 세운 당시 서울 도성의 동쪽 문이다. 지금의 문은 1869년(고종 6)에 다시 지은 것이다. 당시 서울 성곽에 4개의 대문과 4개의 소문을 세웠다. 동서남북의 사대문에는 각각 인.의.예.지의 글자를 넣어 이름을 지었는데, 그 중 동쪽의 대문을 흥인문이라 하였다. 현판에 특별히 지(之)자를 넣은 것은 동대문 앞의 평평한 땅의 기운을 보강하기 위한 의미라고 한다. 흥인지문은 서울의 숭례문과 더불어 가장 규모가 큰 성문이다. 성벽과 이어진 축대에 아치형의 통로를 내고 그 위에 문루를 세워 성문을 만들었다. 서울의 성문 가운데 문루를 2층으로 만든 것은 숭례문과 흥인지문 밖에 없다. 문루른 문을 지키는 장수가 머무는 곳으로 유사시에는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의 역할도 한다. 문루 바깥으로 벽돌로 된 담장과 나무판으로 된 창문을 설치해서 적을 막는데 유리하게 만들었다. 흥인지문의 문루는 구조의 맞춤이 간단하고 장식이 많은 19세기의 건축적 특징을 잘 반영한다. 또 흥인지문의 앞에 적을 막기 위한 반달 모양의 옹성을 둘렀는데, 이는 서울 성문 가운데 유일하다. <출처:서울시청>


보물 1호로 지정된 상징적인 문화재인 흥인지문. 조선의 수도 한양 도성의 4대문 중 동대문에 해당하는 성문으로 구한말인 고종대에 크게 수리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구한말 성곽축성 양식과 건축양식이 반영된 건축물로 성문 바깥쪽에는 유일하게 옹성을 두고 있다.


문루는 앞면 5칸의 2층건물로 우진각 지붕을 하고 있다. 사방이 개방되어 있던 조선중기 이전의 문루와는 조총이 보편화된 당시 상황을 반영하여 내부는 총구가 있는 판문을 닫혀 있다.


흥인지문 옹성에는 중국풍의 벽돌로 쌓은 여장이 설치되어 있다. 여장에는 여러 방향으로 조총을 발사할 수 있는 총구가 뚫려 있다.


전통적인 조선시대 성곽 축성방식을 쌓은 성벽과 여장


성문바깥에서 옹성으로 들어가는 출입문


옹성 출입문 주변 성벽과 여장


흥인지문 북쪽 낙산으로 이어지는 한양도성 성벽


2008년 흥인지문


2013년 흥인지문


성문 안쪽에서 본 흥인지문


흥인지문 2층 문루


성문은 화강석을 아치형으로 쌓아올린 홍예문 형태를 하고 있다. 성문 위에 배수시설인 석누조를 볼 수 있다.


성문 내부 천정. 동쪽을 상징하는 좌청룡에 해당하는 두마리의 용과 구름이 그려져 있다.


성문을 오르는 계단


문루 추녀마루 잡상


낙산 성곽 안쪽으로는 교회가 들어서 있다. 원래 성관 주변에는 건물이 없었는데 낙산 성곽 안쪽에는 교회가 들어서 있다. 이곳에는 이대부속병원도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선교사들이 국가로부터 땅을 구입한 것으로 보인다.


동대문에서 대학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도로


흥인지문 앞 종로거리. 흥인지문 주변은 동대문시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많은 상가들이 들어서 있다. 흥인지문 주변은  군사들이 주둔하는 훈련원이 있었던 지역이지만, 한양도성 바깥쪽 농촌에서 대도시였던 한양에 채소를 비롯한 식료품을 공급하는 교통로이자 함경도, 강원도, 영남내륙에서 서울로 공급하는 물자들이 들어가는 길이었기때문에 조선후기 이후 시장이 크게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종로를 따라가면 공식시장이었던 육의전 거리와 연결된다.


2008년 흥인지문


2013년 흥인지문


남쪽편에서 본 흥인지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