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서원_향교_사당

이충무공을 모신 통영 충렬사

younghwan 2010. 2. 8. 13:51
반응형

 통영의 중심부 뒷동산에 자리잡고 있는 충렬사는 현충사와 더불어 가장 유서깊은 유적지 중의 하나입니다. 통영에 있었던 통제영에서 관리하던 사당으로 충무공 관련 유물 중 제일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명황제가 하사한 팔사품을 보관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입구에는 수령이 수백년이  동백나무가 있고, 이 곳을 참배하러 온 시인.묵객들이 잠시 쉴 수 있는 누각인 강한루(江漢樓)가 있습니다.

통영 충렬사 입구에 있는 홍살문과 충렬사 정문입니다. 이 정문은 충렬사의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단순히 매표소의 기능을 하는 문입니다.

 충렬사 입구를 들어서면 이른 봄이라서 그런지 수령이 수백년된 동백나무가 참배객을 맞이해 주고 있습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소박한 모습으로 동백꽃이 피어 있습니다

정문을 들어서면 동백나무 너머로 아름다운 누각인 강한루(江漢樓)가 있습니다. 이 누각에 올라 시인묵객들이 동백나무를 보면서 시를 지으면서 충무공을 기렸다고 합니다. 지금 건물은 최근에 복원한 건물입니다.

통영 충렬사 앞에 있는 작은 동산에 자리잡고 있는 주택가입니다. 남해안 항구도시의 전형적인 주택가 모습입니다.

통영 충렬사의 실질적인 첫번째 출입문인 외삼문입니다. 동백꽃이 피어 있는 마당과 누각 아래를 지나면 잘 꾸며진 정원 가운데에 있는 계단을 통해서 충렬사에 들어가게 됩니다.

외삼문 양쪽에 자리하고 있는 비각들입니다. 이 곳 충렬사 바깥쪽 삼문에 잇대어 동서로 6동의 비각에 10기의 통제사 사적비가 서 있습니다.

통영 충렬사 외삼문을 들어서면 양쪽에 자리하고 있는 부속건물입니다.

통영 충렬사 외삼문에서 내삼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작은 쪽문인 중문이 있고, 계단을 통해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중문을 들어서면 좌우로 부속건물이 또 있습니다.

통영 충렬사 사당이 있는 마당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인 내삼문입니다. 안쪽으로 사당이 보입니다.


이충무공의 위패가 모셔진 충렬사 사당 본전입니다. 선조때 통제사 이운용이 창건했으며 남해 충렬사와 함께 국왕이 사액을 내린 사당입니다. 이 사당은 역대 수군통제사에서 관리.유지해 오던 사당으로 아주 유서깊은 사당입니다.

통영 충렬사 사당안에 모셔진 이충무공 위패와 영정입니다. 이 곳에서 참배를 올릴 수 있습니다.

통영 충렬사가 의미를 갖는 중요한 이유 중에 하나가 난중일기와 함께 충무공 유품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유품인 팔사품을 보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팔사품은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수군도독 진린이 충무공의 전공을 명황제 신종에 보고하자, 감동한 신종이 충무공에 내린 8종류의 특별한 물품으로 삼국지 등에 많이 등장하는 도독인을 비롯하여, 호두령패, 귀도, 참도, 독전기, 홍소령기, 남소령기, 곡나팔입니다. 당시에도 충무공의 전공은 상당히 뛰어났고 임진왜란 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안내표지판


임진왜란 중에 수군통제사로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충무공의 활동무대가 한산도를 중심으로 한 통영 근처였기 때문에 남해 충렬사와 함께 이곳에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게 된 것이다. 선조39년(1606)에 왕의 명령에 따라 제7대 이운용 통제사가 창건 하였으며, 현종4년(1663)에는 남해 충렬사와 함께 임금이 내린 충렬사 사액을 받은 사액사당이다. 그 후에는 역대의 수군통제사들이 매년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내왔다. 경내에는 본전, 정문, 중문, 외삼문, 동서재, 경충재, 숭무당, 강한루, 유물전시관이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경내에는 많은 비석들이 보존되어 있는데 이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숙종7년(1681)에 60대 민섬통제사가 세운 통제사충무이공충렬묘비이며 충무공 후손통제사 비각 2동에 6기가 있고, 이운용 통제사 비각, 김중기 통제사 비각, 유형 통제사 비각이 있다. 이곳에는 명나라 신종황제가 내린 8가지의 선물인 명조팔사품(보물440호)과 정조가 충무공전서를 발간하고 1질을 통영충렬사에 내리면서 직접 지어 내린 제문 등이 유물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