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강화 고려궁지, 강화 동종(보물)

younghwan 2010. 2. 1. 13:31
반응형

 강화 고려궁지에 있는 강화동종 복제품과 강화 역사관에 전시중인 강화동종 원본품입니다. 강화동종은 사찰에서 사용하던 범종이 아니라 성문 입구나 시장 주변에 설치하여 백성들에게 출입 시간을 알려주던 행정 목적으로 만든 동종입니다. 서울의 보신각 종과 같은 역할을 했다고 보면 무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강화 역사관에서 보관/전시 중인 강화 동종입니다. 우리 나라에는 많은 동종이 사찰에 남아 있지만 관청에서 사용하던 동종은 많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강화동종은 서울의 보신각 종과 같은 역할을 하던 동종으로 강화산성의 출입구 역할을 했던 남문에 있었다고 힙니다.

강화 고려궁지에 있는 강화동종입니다. 원래의 동종은 강화산성의 출입구 역할을 했고, 시장과 가장 가까운 남문에 있었으나, 최근에 고려궁지로 옮겨졌다고
합니다. 그마저 진품은 균열이 생겨 강화역사관으로 옮겨졌고, 지금은 복제품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 동종은 사찰의 동종이 아니라 서울의 보신각 종과 마찬가지로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려주던 종입니다.


여러 방향에서 본 다양한 모습의 강화 동종과 종각


안내표지판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그의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이 종은 사인비구가 숙종 37년(1711)에 제조한 종으로, 높이 198㎝, 입지름 138㎝이다. 종 꼭대기에는 두마리 용이 좌우로 서로 얼굴을 맞대고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종 윗면은 반원 모양으로 둥글고, 어깨 부분에는 ㄱ자형의 턱을 만들었다. 이것은 고려시대 꽃잎을 세워 장식하여 어깨부분이 돌출되었던 것의 변형된 모습으로 보인다. 어깨에서 훨씬 떨어진 곳에 사각형 모양의 유곽이 4곳에 있는데, 그 안에는 9개씩의 연꽃으로 된 돌기가 있다. 몸통 중앙에는 굵은 2줄의 횡선을 둘러 상·하로 2등분 하였다. 횡선 아래로는 종 입구 바로 위에 꽃무늬를 새긴 넓은 띠가 있을 뿐, 다른 장식은 하지 않았으며, 만든 시기를 알 수 있는 글이 남아 있다. 이 종은 전통적인 고려 종의 양식이 퇴화하고, 조선 종의 새로운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출처:문화재청>

강화유수 윤지완이 주조한 것을 그 후 1711년 유수 민진원이 정족산성에서 현재와 같은 형태로 다시 주조한 것이다. 높이 198cm, 입지름 138cm로 조선후기 동종으로는 큰 규모이다. 몸통 중앙에슨 굵은 줄이 둘러 있고, 그 아래에 만든 시기를 알 수 있는 글이 새겨져 있다.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다. 조악은 당시의 강화산성 남문 주변인 김상용 순절비 자리에 있었던 것을 1977년 고려 궁지로 이전되었다. 1999년 10월 종에 균열이 생겨 더 이상 타종을 못하게 되자 강화 동종을 복제하여 설치하고, 원래의 종은 강화역사관으로 옮겨 보관 전시하고 있다. <출처:강화군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