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궁궐_종묘

구한말 역사의 현장, 흥선대원군 사저 운현궁

younghwan 2010. 9. 3. 00:02
반응형

 구한말 역사와 정치의 중심지였던 흥선대원군의 거처였던 운현궁입니다. 이름은 운현궁이지만 궁궐 건물은 아니고 민간인들이 사는 사가(私家)에 이름만 궁(宮)이라고 붙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한말 고종이 등극하기 전에는 이렇게 크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아마도 계속 확장을 했던 것 같습니다.

입구는 권세가의 상징인 솟을대문을 통해서 들어가며, 솟을대문을 들어서며 정면에 대원군이 거처했던 사랑채인 노안당을 들어가는 출입문이 보이고 오른쪽편에 운현궁에 소속돤 관리들이 거처했던 수직사 건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수직사 앞으로는 원래부터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넓은 마당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운현궁에 소속된 관리들이 거처했던 수직사 건물입니다. 구한말 고종의 아버지인 대원군의 권세가 막강해서 상당히 많은 관리들이 운현궁에 파견되어 근무했다고 합니다.

운현궁 사랑채인 노안당 입구 솟을대문입니다. 대문 옆 문간방에는 운현궁에 파견된 정부관리가 대기하고 있는 모습을 재현해 놓은 것 같습니다.

운현궁 사랑채인 노안당입니다. 대원군이 직접 이름을 짓고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집자하여 현판을 달고 있는 건물입니다. 구한말 당시에 유행했던 사랑채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원군 개혁을 논의하던 정치의 중심지가 되었던 건물입니다. 흥선대원군이 기거했던 건물임에도 일반 한옥에 비해 규모가 크지 않으며 소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안당 옆 행랑채에 당시 흥선대원군을 방문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재현해 놓고 있습니다. 아마도 흥선대원군을 면담하기 위해 기다리는 사람의 모습인 듯 합니다.

운현궁 안채인 이로당과 노락당을 출입하는 솟을대문입니다.

노락당을 출입하는 정문입니다. 정문을 들어서면 좌측편에는 노락당 건물과 부엌이 있고, 우측편에는 행랑채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운현궁에서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건물인 노락당(老樂堂)입니다. 정면 10칸이나되는 상당히 규모가 큰 건물로 구한말에 지어진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락당은 원래 운현궁의 안채였으나, 명성황후가 이곳에서 왕비수업을 받았던 까닭에 안채는 노락당 뒷편에 이로당을 신축해서 옮겨지고 이곳 노락당은 회갑연 등 흥선대원군 일가의 가족모임을 갖는 장소로 용도가 바뀌었다고 합니다.


노락당 안방에 있는 운현궁의 안주인과 궁궐에서 파견된 상궁을 재현한 모습인 듯 합니다.

노락당에 딸린 행랑채들입니다.

노락당 부엌입니다. 건물 양쪽편에 각각 부엌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구한말 흥선대원군이 거처했던 운현궁에서 제일 안쪽에 위치한 안주인의 공간이 이로당(二老堂)입니다. 원래는 노락당이 안채였으나 그 곳에서 고종의 가례의식을 치러 안채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새로 신축한 건물이라고 합니다. 마루와 문창살, 건물 간 통로 등 구한말에 지어진 한옥의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는 건물이기도 합니다.

이로당 뒷마당입니다. 운현궁은 전체적으로 구한말에 지어진 건물로 그 특징들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뒷마당 쪽에 작은 툇마루가 있어 정자와 비슷한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운현궁 탐방: 
 1. 입구/수직사          2. 사랑채인 노안당        3.명성황후가 왕비수업 받았던 노락당
 4. 안채 이로당          5. 운현궁 생활상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이 살아던 집으로, 고종이 태어나서 왕위에 오를 때까지 자란 곳이기도 하다. 흥선대원군의 집과 1910년대 새로 지어 덕성여자대학 본관으로 사용하던 서양식 건물을 합쳐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한옥은 제일 앞 남쪽에 대원군의 사랑채인 노안당이 자리잡고, 뒤쪽인 북쪽으로 행랑채가 동서로 길게 뻗어있으며 북쪽에 안채인 노락당이 자리잡고 있다. 고종이 즉위하자 이곳에서 흥선대원군이 정치를 하였고, 궁궐과 직통으로 연결되었다. 흥선대원군은 10여년간 정치를 하면서 세도정치의 폐란을 제거하고 인사·재정들에서 대폭적인 개혁을 단행하였고,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경북궁을 다시 짓기도 하였다. 지금은 궁의 일부가 덕성여자 대학으로 사용되고 있고 방송국 시설이 있기도 하다. 이로 인해 대원군이 즐겨 사용하던 아재당도 헐려 나가고 영화루와 은신군·남연군의 사당도 모두 없어졌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