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서원_향교_사당

[안동 병산서원] 서애 유성룡을 모신 사당인 존덕사

younghwan 2010. 9. 19. 20:15
반응형

 병산서원의 제향공간인 존덕사와 전사청이다. 병산서원은 서애 유성룡 선생의 풍악 서당에 선생을 기리는 존덕사를 세움으로서 서원으로 기능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존덕사에는 서애 유성룡 선생을 주향으로 하고 후손인 그의 아들 유진 선생을 배향으로 하고 있다. 병산서원의 특징 중의 하나로 제사를 준비하는 전사청이 존덕사 외부에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제사의 편의성과 건물의 조화를 고려한 실용주의적 성격을 잘 보여주는 듯 하다.

병산서원에서 뒷편에 자리잡고 있는 서애 유성룡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존덕사. 정면 3칸으로 규모가 웅장하거나 화려하게 지어 지지는 않았고 소박하고 검소한 유교정신을 잘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병산서원 존덕사 앞 마당에 있는 팔각 기둥 모양의 노주석. 야간 조명을 위해 불을 밝히는 역할을 한다.

존덕사 尊德祠
서원에서 가장 윗부분에 우치하고 있다. 서애 선생과 수암의 위패가 모셔진 사당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 구조이며 풍판이 설치된 맞배지붕 건물이다. 변형된 익공 양식의 겹처마로 단청되어 있으며 전면 좌우에 계단을 두고 있다. 존덕사 앞에는 정료대라는 기둥이 있는데 야간 조명이 필요한 곳에 세워 놓은 석조물로 노주석이라고도 한다. 솔가지나 기름통을 올려놓고 불을 밝혔다. 마당 좌.우에 1쌍이 있으며 팔각형 기둥모양으로 이는 주역의 팔괘를 의미한다. <출처:병산서원>

병산서원 사당인 존덕사을 들어가는 출입문. 솟을대문으로 된 내삼문

신문神門
서원의 내삼문에 해당되며, 향사때에 제관들이 출입하였다. 정면 3칸의 솟을 삼문으로 사당의 출입문답게 붉은 색칠을 하여 부정한 것의 접근을 막고 있다. 향사례에서 신문 앞의 마당은 중요한 장소가 된다. 집례를 맡은 임원들은 신문 안마당으로 들어갈 수 있지만 일반 학생들은 앞마당에서 참관하여야 한다. <출처:병산서원>

병산서원에서 제사를 준비하는 전사청. 보통 전사청은 사당과 같은 공간에 있지만, 병산서원 전사청은 제사준비의 편의성과 전체 건물의 조화를 고려하여 외부에 있다고 한다. 

전사청 典祀廳
전사청은  사당에 올릴 제수를 준비하는 곳으로 사당과 한 울타리 안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병산서원의 경우에는 전사청과 사당이 각각 독립된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는 아래쪽에 있는 주소 건불과 중심축을 맞춤으로써 전사청으로 올라오는 제수를 마련하는 주소의 작업을 충실히 지휘 감독하기 위함이다. 존덕사 오른편에 자리하고 있다. <출처:병산서원>

전사청을 출입하는 아담하고 작은 쪽문

병산서원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로 사당의 제사를 준비하고, 서원에서 공부하는 유생들을 뒷바리지 하는 사람들이 머무러는 공간이라고 한다. 지금도 사람이 거주해서 살고 있는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