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려 조선 유적_왕릉

화성 융건릉, 융릉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합장릉

younghwan 2010. 9. 10. 16:08
반응형

 화성 융릉은 정조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이다. 원래 양주에 있던 사도세자의 무덤을 이 곳 화산으로 옮기면서 영우원으로 했다가, 장조로 추존하면서 융릉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이 곳 화성 융릉,건릉이 있게 했으며, 수원 화성을 건축하게 된 동기중이 하나가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이다. 정조의 정성이 깊었던지 서쪽편 정조대왕의 건릉보다도 사도세자의 융릉이 더 웅장해 보인다.

사도세자의 능인 수원(화성) 화산의 융릉. 원래 조성시에는 세자의 능으로 조성했지만, 왕릉 보다도 잘 만든 것으로 보인다.

여러 방향에서 본 사도세자의 융릉

제사를 올리는 공간이 융릉 정자각

측면에서 본 정자각

정자각 뒷쪽.

정자각 월대를 오르는 계단

정자각 월대 위 제사를 올리는 공간

융릉 정자각 추녀마루 잡상

홍살문에서 정자각 사이 참도. 혼령이 다니는 신도와 국왕이 다니는 어도로 구성되어 있다.

융릉 입구 홍살문

홍살문 서쪽편 수라방

정자각 동쪽편 비각

제물을 올리던 판위

사도세자 융릉 전경




융릉은 훗날 장조로 추존된 장헌세자와 훗날 헌경의황후로 추존된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이다. 융릉은 세자의 묘인 원의 형식에 연꽃이 새겨진 병풍석을 설치하고, 상계 공간과 하계 공간으로 나누어 공간을 왕릉처럼 조영하였다. 상계에는 능침, 혼유석,망주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하계에는 문무인석, 석마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융릉은 정자각과 능침이 일직선상의 축을 이루지 않으며, 홍살문 오른쪽에 작은 연못을 둔 특이한 공간 구성을 보이는데, 이는 모두 풍수적 논리에 의해 조영되었다고 한다. 추존 장조의 능은 원래 당시 경기도 양주군 남쪽 중랑포 배봉산에 있었는데, 능명을 세자의 예에 따라 영우원(永佑園)이라 하였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바로 아버지의 존호를 장헌(莊獻)으로 올리고, 화성의 화산으로 묘를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로 하였다가 후에 장조로 추존하면서 능호를 융릉(隆陵)으로 바꿨으며, 고종 때 의황제(懿皇帝)로 추존함과 동시에 어머니도 의황후(懿皇后)로 올렸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