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삼국시대 유적_고분

공주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을 체험할 수 있는 모형관

younghwan 2010. 9. 7. 14:26
반응형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웅진시대 왕들의 무덤을 공산성 서쪽 금강변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1~7호분과 무령왕릉이 함께 모여 있는데, 고분에 대한 발굴작업은 완료되었으며, 고분 내부는 폐쇄되어 일반인이 출입을 할 수 없다. 대신 송산리 고분군 입구에는 송산리고분모형관이 마련되어 있어, 무령왕령과 5호분, 6호분을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다. 실제 고붑의 모습과 현장은 외관만으로 확인하고 고분 내부의 모습은 이 곳 모형관에서 체험할 수 있는데, 관람객에게 고분의 특징과 형태를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송산리고분군모형관에 전시된 무령왕령 내부 모형.

무령뢍릉 벽면은 구운 벽돌로 쌓았으며, 중국 남조 귀족층 무덤의 양식을 받아들여서 만들었다고 한다.

무녕왕릉은 도굴되지 않은 유일한 왕릉으로 바닥에는 수많은 국보급 문화재들이 깔려있었다고 한다. 이 유물만으로 국립공주박물관 전시유물의 절반이 채우고 있다.

무령왕릉 입구 외관

무령왕릉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가 합장된 무덤이다. 1971년 5호분과 6호분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 작업을 하던 도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묘실을 벽돌로 축조한 벽돌무덤으로 너비보다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바닥면은 벽돌을 삿자리 모양으로 깔았고, 벽면은 4단를 뉘어쌓은 다음 1단을 세워 쌓는 4평1수의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사용된 벽돌에는 연화문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벽면에는 등잔을 올려 놓았던 등감과 창문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송산리 고분군에 있는 무덤 중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것으로, 108종 2,906점에 달하는 많은 양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 문화의 우수성을 새롭게 이해하게 되었다. 특히 입구에서 출토된 지석은 무덤의 주인공 뿐만 아니라 무덤이 만들어진 시기를 말해 줌으로써 동아시아 문물 연구의 기준이 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송산리 고분군 중 6호분은 벽돌로 쌓은 벽면에 사신도 벽화가 그려져 있어 송산리 벽화고분이라고도 부른다. 1930년대 발굴조사가 완료되었으며, 발굴 당시에는 도굴이 끝난 뒤라서 유물은 발굴되지 않고, 목관을 올려 놓았던 관대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송산리 6호분 입구


송산리 6호분
1932년 우연히 발견된 것으로, 무령왕릉과 더불어 벽돌로 축조된 벽돌무덤이다. 동쪽에는 5호분, 서쪽에는 29호분이 인접해 있으며, 바로 뒤쪽으로는 무령왕릉이 자리하고 있다. 지하로 토광을 파고 그 안에 벽돌로 모실을 만들었다. 벽면에는 등잔을 올려 놓았던 등감이 마련되어 있으며, 등감 위쪽에는 마치 창문처럼 꾸민 시설물도 있다. 동.서.남.북의 네 벽면에는 청룡.백호.주작.현무와 같은 사신도가 그려져 있으며, 벽돌 중에 "중국 양나라의 벽돌을 모방하여 만들었다"라고 새겨진 명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 양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도굴되어 유물은 남아 있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목관을 올려 놓았던 관대가 하나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한 사람만 묻혔던 것으로 추정된다.

송산리 5호분은 6호분, 무령왕릉과는 달리 돌로 쌓아 만든 무덤으로 발굴시 출토된 유물은 없다고 한다.

송산리 5호분 입구

송산리 5호분
송산리 6호분의 동쪽에 붙어 있는 무덤이다. 1932년에 우연히 발견되어 조사된 것으로, 6호분과는 달리 돌로 만든 굴식 돌방무덤이다. 무덤은 지하로 땅을 파고 그 안헤 벽돌처럼 깬 돌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바닥에서 130cm까지는 벽면을 수직으로 쌓고 그 위쪽으로부터는 안으로 기울어지게 쌓은 다음, 정상부에는 판석 1매를 얹어 천정이 둥근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바닥에는 목관을 올려 놓은 관대2기가 나란히 놓여 있었는데, 그 중 규모가 큰 서쪽이 남성, 동쪽이 여성의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도굴되어 토기 1점과 약간의 장신구, 그리고 관못 등이 남아 있었다. 무녕왕릉, 6분 등과 서로 인접해 있어 웅진시대 백제의 왕이나 왕족의 무덤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하게 누구의 무덤인지는 알 수 없다.

공주 송산리 고분군 입구에 위치한 모형관 입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