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국보 289호), 백제계 석탑 양식 흔적 남은 고려전기 석탑

younghwan 2010. 1. 25. 13:53
반응형

 익산 왕궁리는 마한시대 도읍지로 알려져 있으며, 백제 무왕이 왕궁을 조성했던 장소에 있는 오층석탑이다.
왕궁리는 서동요로 잘 알려진 무왕이 궁궐로 조성했으나, 의자왕대에 이르러 사찰로 변모했다가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존속했다고 한다. 이 왕궁리 오층석탑은 궁궐이 사찰로 변한 후에도 존재않지 않았으며, 지금 석탑이 있는 자리는 원래는 목탑이 있던 자리였다고 한다.

 
 국보 289호로 지정된 왕궁리 오층석탑은 고려전기에 세워진 석탑으로 밝혀졌으며, 1단의 기단과 5층의 탑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석탑 기단부가 낮아서 약간 균형미가 떨어지는 느낌을 주고 있다. 백제계 사찰에 많은 여러가지 면에서 백제 석탑의 양식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현재 이 왕궁리 석탑 주변에는 발굴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백제시대 왕궁터의 흔적을 드러내고 있다. 이 석탑에서는 국보로 지정된 아름다운 모양의 사리함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낮은 1단의 기단부와 오층의 탑신으로 이루여 있다.

왕궁리 오층석탑의 탑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연상시킨다.

이 석탑은 기간부가 낮은 대신 1층 탑신이 크고 높게 만들어져 있어서 기단의 역할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왕궁리 오층석탑 기단부. 기단은 1단으로 되어 있으며, 통일신라 석탑들에 비해서 낮다. 1층 탑신과 합쳐져서 기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정면에서 본 왕궁리 오층석탑

석탑 아래에서 올려다 본 왕궁리 오층석탑

측면에서 본 석탑

석탑까지 들어가는 통로에서 보이는 석탑의 모습. 왕궁리 유적 정비 작업이 진행중인 관계로 석탑까지는 측면으로 돌아가야 한다.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탑의 기단은 네 모서리에 8각으로 깎은 주춧돌을 기둥삼아 놓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아 목조탑의 형식을 석탑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이 팔각기둥과 네모난 돌들 사이는 흙을 다져서 메웠는데 이 속에서 백제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발굴 중에 기단 각 면의 가운데에 2개씩 기둥조각을 새긴 것이 드러났으며, 탑의 1층 지붕돌 가운데와 탑의 중심기둥을 받치는 주춧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1층부터 5층까지 탑신부 몸돌의 네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1층 몸돌에는 다시 면의 가운데에 2개씩 기둥 모양을 조각했다. 지붕돌은 얇고 밑은 반듯하나, 네 귀퉁이에서 가볍게 위로 치켜 올려져 있으며, 방울을 달았던 구멍이 뚫려 있다. 각 층 지붕돌의 윗면에는 몸돌을 받치기 위해 다른 돌을 끼워놓았다. 5층 지붕돌 위에는 탑머리장식이 남아있다. 지붕돌이 얇고 넓어 빗물을 받는 낙수면이 평평한 점이나, 탑신부 1층의 지붕돌이 기단보다 넓은 점 등 백제석탑의 양식을 일부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언제 제작되었는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였으나 1965년 보수작업 때 기단의 구성양식과 기단 안에서 찾아낸 사리장치의 양식이 밝혀지면서 그 시기가 비교적 뚜렷이 밝혀졌다. 즉, 백제의 옛 영토 안에서 고려시대까지 유행하던 백제계 석탑양식에 신라탑의 형식이 일부 어우러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이 석탑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유물들은 국보 제123호로 일괄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최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의 발굴과정에서 지금의 석탑에 앞서 목탑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이 탑 밑부분에서 발견되어 다시금 주목을 끌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