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서원_향교_사당

남원향교, 남원도호부 관할의 큰 향교

younghwan 2010. 11. 18. 16:59
반응형


남원향교는 조선 태종때 처음 창건된 남원지방의 향교로 처음에는 남원성 서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잦은 홍수로 인해서 세종 때 현 위치로 옮겨졌다고 한다. 남원성 동북쪽 약간 언덕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이 향교는 향교의 학규를 비롯하여 유생들들 내무생활규범 등 많은 책을 보관하고 있어 조선시대 지방사회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남원향교는 향교 중에서 면적은 넓지 않지만, 건물로는 공자와 제자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무.서무, 강당인 명륜당,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사마재와 전사청, 그리고 웅장한 문루를 두고 있는 규모가 큰 향교이다. 남원향교는 대성전이 임진왜란때 불타버린 것을 재건한 것으로 가장 오래된 건물이고, 고종때 중건한 명륜당이 약간 내력이 있는 건물로 보인다. 나머지 건물들은 후대에 중건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남원군은 종3품이 수령인 남원도호부였으며, 1부 1군 9현( 담양·곡성·창평·구례·순창·임실·무주·진안·장수 등)을 관할한 큰 고을이었다고 한다. 남원지역은 호남과 영남을 연결해주는 역사적,지리적으로 아주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성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의 무대이기도 한다. 또한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황산이 남원에 있으며,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을 지키다 1만의 관민이 죽은 곳 또한 남원으로 역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고장이다.


남원향교는 앞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큰 문루가 있고, 그 옆에 별도의 출입문인 솟을대문이 있다.


문루는 출입문이라기보다는 남원향교를 찾은 손님들을 맞는 접대장소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남원향교 문루에 올라서면 멀리는 지리산과 가까이는  광한루가 있는 남원성의 관아들이 내려다 보였을 것이다. 남원향교가 큰 문루와 동.서재와 별도로 사마재라는 숙소를 갖고 있는 것은 남원이 호남지역에서 지리산과 영남지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였기때문에 찾아오는 손님이 많아서 그랬을 것으로 보인다.


남원향교 출입문인 솟을대문.


남원향교는 강당인 명륜당과 문루사이를 통로로 연결하고 있다는 것이다. 향교 마당은 다른 향교에 비해서 넓어 보이지는 않는다.


명륜당과 문루을 연결해주는 통로. 조선시대 건축물에서는 보기 힘든 구조물이다.


남원향교 강당인 명륜당. 앞면 5칸 규모로 큰 건물에 속한다. 고종때 불타버린 것을 중건한 것이라고 한다.


강당은 축대를 세워서 그 위에 건물을 지은 것이 아니라 누마루처럼 기둥 위에 건물을 세웠다.


남원향교 명륜당. 앞쪽에 문루가 있어서 그런지 강당 대청마루의 환기와 전망을 크게 중시하지는 않아 보인다.


출입문에서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길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동재 뒷편의 아궁이들


공자를 모신 사당인 대성전


공자와 제자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출입문인 외삼문. 대성전은 높은 축대위에 세워서 권위를 느끼게 한다.


공자와 제자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대성전 앞에 있는 사당인 동무.서무


대성전 동쪽편으로는 앞면 4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형 살림집 같이 생긴 유생들의 숙소인 사마재가 있다.
 

사마재는 대청마루는 없고 방과 작은 마루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아마도 남원을 찾은 손님들이 묵었던 숙소로 사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남원향교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던 전사청.


향교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거처하는 살림집. 고직사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남원향교는 지금도 거처하는 사람이 있으며 상당히 활성화된 향교인 것 같다. 


향교 입구의 하마비와 향교 내부에 있는 비석들

향교란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고, 지방 백성들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던 국립교육기관을 가리킨다. 남원향교는 조선 태종 10년(1410) 대곡산에 세웠다. 세종 10년(1428)에는 덕음봉 기슭으로 옮겨 지었다가, 홍수 때마다 길이 막히는 일이 많아 세종 25년(1443)에 현 위치로 다시 옮겼다.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지었는데, 대성전은 선조 32년(1599)에 지었고, 고종 29년(1892)에 수리하였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수리가 있었으며, 지금 있는 건물은 1982년에 크게 수리를 한 것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사당인 대성전 안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책·노비를 지급받아 운영하였다.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