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조선시대 궁중음악과 국립국악원이었던 장악원

younghwan 2011. 7. 12. 22:42
반응형


 궁중음악은 조선시대 통치이념인 유학에서 특히 강조되는 부분 중 하나로 조상을 찬미하고 임금과 신하가 화합하며, 백성을 교화시키기 위한 음악으로 중국에서 유래했다고도 볼 수 있는 음악이다. 이는 고대사회에서 하늘과 통하는 매개체 역할을 했던 음악의 기본적인 본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이다. 조선시대 궁중음악은 크게 종묘제례로 대표되는 제례에서 사용했던 음악, 경축행사에 사용했던 음악, 과거장에서 사용했던 음악, 활쏘기대회에서 사용했던 음악, 각종 연회에 사용되었던 음악 등이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종묘제례악과 연향이라고도 불리는 국가와 왕실의 경사가 있을때 벌리는 잔치에서 사용하는 음악이 있다.

 유교사회인 조선에서 음악은 국가가 관장하는 법률에 준할 정도로 체계적으로 관리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정부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악원에서 관장하였다. 장악원에는 관리직인 '제조'를 비롯하여 실무관원들이 있었고 이들은 과거를 통과한 문신으로 음악과 관련된 행정업무와 교육을 담당하였다고 한다. 실제 연주를 담당한 것은 실무자이자 연주자라고 할 수 있는 악인들이었으며, 장엄하고 화려한 궁중음악은 이들을 통해서 명맥이 이어져와서 오늘날 국립국악원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악원 관원과 악인
장악원은 궁중의 제사의식, 연회 등에서 음악과 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관청이다. 장악원에는 최고 관직인 '제조'를 비롯하여 실무직 관원들이 소속되었다. 이들은 과거시험을 통과한 문관 출신의 행정관리로서 음악교육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였다. 궁중의 행사에서 실제 연주를 담당한 것은 악인이다. 계절마다 근무성적에 따라 녹봉을 지급받는 '체아직' 관원으로, 가장 높은 품계인 전악을 비롯하여 악공과 악생들이 소속되었다. 화려하고 장엄한 궁중음악 문화는 장악원 관원과 악인에 의해 그 명맥이 이어져 왔으며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장악원제조가 사용한 인장, 장악원에서 행정과 음악 교육을 책임지던 최고의 직책인 제조가 사용했던 인장이다. 장악원 제조는 문관출신으로 경국대전에는 정2품에 해당하는 높은 관직이다.


이현보 교지, 중종 22년(1527)에 이현보를 통훈대부 직급을 내리고 장악원 정으로 삼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장악원 원로들을 위한 잔치 그림, 이원기로회도, 영조6년(1730) 조선시대 궁중음악을 관장한 장악원에서 '기로연'을 그린 그림이다. 장악원의 관원 김홍권이 원로들을 초청하여 기로연을 열고 그것을 기념하기 위해 기록과 그림으로 남겼다. 여기서 장악원 원로는 행정직을 맡았던 문신들을 일컫는 것으로 보인다.


가전악선행안, 장악원 최고악사들의 명부, 장악원 전악은 음악 실기인의 대표로서 연습, 연주 등 모든 것을 책임진다. 이 명부에는 전악 개개인의 본관과 자, 위촉연월 등을 기록하였다. 장악원에서 악사들은 천인출신 악공인 정원 572명의 우방과, 양인출신의 정원 399명의 좌방이 있었다고 하며 이들의 최고관직은 체아직 녹관으로 종6품이었다고 한다. 장악원 악공 중에서 녹봉은 받는 이는 소수였으며, 상당수는 생활이 곤란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지금의 연주자들처럼 고관대작의 잔칫집에서 연주를 하면서 생계를 꾸려오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궁중의례의 정수, 연향
연향은 국가와 왕실에 축하할 일이 있을 때 격식을 갖추어 성대하게 벌이는 잔치를 말하며, 음악과 춤을 통해 기쁨과 즐거움을 나눈다는 의미이다. 궁중연향은 왕실의 번영, 권위와 위엄을 선보이고 왕의 장수를 기원하는 자리이다. 또한 임금과 신하, 백성들이 서로 화목을 나누는 '화합의 장'이었다. 궁중연향에는 종묘의 제사 음악과 달리 경사스러움을 한껏 드높이기 위한 경쾌하고 화사한 느낌의 음악이 연주되었다. 연향에는 편경, 편종, 견고 등 일반 연회와 차별화되는 크고 화려한 악기들이 사용되었다. 궁중 연향이 끝나면 전반적인 행사내용을 오늘날 사진을 찍어 남기듯 의궤에 기록하여 남겼다. <출처:중앙박물관>


궁중연향은 왕실의 번영, 권위와 위엄을 선보이고 왕의 장수를 기원하는 중요한 자리로 종묘의 제사 음악과 달리 경사스러움을 한껏 드높이기 위한 경쾌하고 화사한 느낌의 음악이 연주되었다. 연향에는 편경, 편종, 견고 등 일반 연회와 차별화되는 크고 화려한 악기들이 사용되었다.


궁중의 잔치를 그린 그림, 무신진찬도병, 헌종 14년(1848) 3월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잔치 그림이다. 이 잔치는 헌종의 할머니인 순원왕후의 육순과 어머니인 신정황후의 41세를 맞아 열리게 되었다. 당시 선유락, 무고 등 여러 궁중무용의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궁중 잔치에 쓰여진 악기. 일반적인 잔치에서 사용되는 악기에 비해 격조가 높고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었다.


좌고는 소리가 커서 음량이 큰 악기들과 함께 연주된다. 관악합주나 삼현육각에 편성되어 춤 반주에 쓰인다. 민간에서는 좌고 대신 북을 사용하였다.


박,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악기. 음악을 시작하거나 끝날 때 '척'하고 쳐서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악기이다. 박은 제례학이나 연례악을 연주할 때, 악절 사이에 박을 쳐서 음악과 무용수의 몸짓을 변화시킨다.


장구. 허리가 잘록한 통 양쪽에 가죽을 댄 북편과 대편을 친다. 궁중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두루 애용하던 악기이다.


금은칠을 입힌 철제대금과 옥피는. 철제대금은 조선조 궁중에서 전해오는 화려한 장식과 재료로 된 유일한 철제악기이다. 표면에 당초무늬와 학무늬를 금은입사 기법으로 장식하였고, 마디가 져 있어 마치 대나무와 같은 인상을 준다. 옥피리는 병화 이형상이 평소에 애용하던 옥피리로 평소 음악에 대한 관심과 조예가 깊었음을 보여 준다.


아쟁, 가장 낮은 음역의 현악기. 오동나무와 밤나무로 만든 울림통에 명주실로 된 줄을 할대로 긁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줄이 굵어 음색이 나지막하다.


생황, 유일의 화음악기. 몸통에 대다무관을 꽂은 것으로 관 아래에 지공을 손가락으로 막았다 열었다 하여 소리를 낸다. 국악기 중 유일한 화음악기로 다른 악기와의 협주, 병주에 잘 어울린다.


해금, 뿌리나 나무로 만든 뿌리통 혹은 갈통 위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현 두개를 매달고 말총으로 만든 활대로 연주한다. 줄풍류와 대풍류, 노래반주는 물론 민간 음악 등에 두루 쓰인다.

궁중연향의 무용과 홀기
궁중연향에는 다양한 음악과 무용이 행해진다. 중중 무용에는 왕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는 장생보연지무나 오락적 의미를 가지는 포구락 등이 있다. 연향에는 여자와 어린 남자가 춤을 추었다. 여자는 왕비 등 여자 중심의 잔치에서, 무동은 왕과 대신들이 모인 자리에서 춤을 추어 남녀를 구별하였다. 홀기는 연향의 춤을 구성하는 반주음악과 노래의 순서, 배치 및 절차 등을 세밀하게 기록한 춤을 위한 교본이다. 연향에서 춤은 종류가 다양하고 수십명이 동작을 맞춰야 했기 때문에 연습할 때 참고하기 위한 홀기를 만들어 연습에 사용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궁중 제사 무용의 그림책, 시용무보, 조선 역대 왕들의 제사 때 추는 춤에 대한 무용악보이다.


악학궤범홀기, 숙종31년(1705)에 제작된 <악학궤범홀기>는 악학궤범에 수록된 궁중행사의 순서와 배치 등을 실제 행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다.


아박은 궁중무용에 동원된 여자 무용수가 춤출 때 사용하는 악기로 궁중음악에 사용되는 박에 비해 길이가 짧다.


정재무도홀기. 궁중에서 펼쳐지는 여러 춤의 순서, 가사, 동작 등을 간략하게 적어 놓은 무용교본이다. 언제나 쉽게 꺼내 볼 수 있도록 작게 만들어 사용하였다.


정재무도홀기 언해본, 19세기 제작된 정재무도홀기 언해본은 정재무도홀기를 한글로 풀어쓴 것이다.


궁중무용 '선유락' 인형. 선유락은 궁중무용 가운데 가장 화려하며 많은 인원이 출연한다. 배 위에 노는 춤이라는 뜻의 선유락은 실제 배 모양을 만들어 무대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궁중무용 '포구락'인형. 포구락은 고려 문종 27년(1073) 중국 송나라로부터 전래된 춤으로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무용수들이 포구문 위의 구명에 공을 던져 넣어 성공을 하면 상으로 꽃을 받고 실패하면 벌로 얼굴에 먹점을 그린다.

* 자료참조: 1.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2. 브리태니커 사전
                3. 위키백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