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보물 122호), 통일신라때 만들어진 마애석불

younghwan 2011. 9. 25. 21:01
반응형


 경주시 율동 벽도산 자락에 바위를 깎아 만든 마애여래삼존입상이다. 태종무열왕릉을 비롯한많은 유적지들이 산재해 있는 경주시가지 서쪽편 선두산과 마주보고 있는 벽도산에 이 마애불이 위치하고 있다. 선두산과 벽도산 사이의 골짜기는 경주와 영천을 비롯한 경북 내륙지방을 연결해주는 주요한 교통로로서 건천읍의 금척리 고분 등 많은 유적지들이 산재해 있는 곳이다.

 이 마애불의 원래이름은 두대리마애석불이었것으로 보아 이 불상이 있는 마을입구의 원래 명칭이 두대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삼존불 입상은 서방극락세계를 다스린다는 미래불로 여겨지는 아미타불을 본존불로 하고, 왼쪽에는 관세음보살상이,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이 있다. 후대에 세워진 마애불에 비해서 돋을새김을 한 형태가 입체적이고 세련된 느낌을 주고 있다. 통일신라의 조각기술이 절정기에 이러렀던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자연석을 깎아서 돋을새김으로 불상을 새겼는데 1,500여년의 세월 동안 비바람을 거치면서도 그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후대에 새겨진 여러 조각상 중에는 그 형태를 알아보기 힘든 것이 많은데, 당시 불상을 새기던 조각가들의 바위재질에 대한 지식과 뛰어난 조각기술 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전기에 많은 사랑을 받았던 서방세계를 다스린다는 미래불로 여겨지던 아미타불을 본존불로 하고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양쪽에 서 있는 삼존불 입상이다.


이 마애삼존불의 본존불인 아미타불.  연꽃 모양의 받침에 서 있으며, 머리는 아주 크고 입체감있게 돋을새김을 하고 있으며, 뒷면에는 광배를 새겨놓고 있다. 양어깨를 감싸는 옷은 얇게 표현되어 있으며 몸의 굴곡을 잘 드러낸다.


왼쪽편에는 정병을 들고 있는 관세음보살상이, 오른편에는 대세지보살상이 표현되어 있다. 관세음보살은 중생을 구제한다고 알려진 보살로,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도 민중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 협시보살이라고 불리는 대세지 보살을 지혜와 광명을 상징하는 보살이다. 아마도 서역과 관계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마애불상 앞 제단.


마애불상 앞 바위


왼쪽에서 본 율동 마애삼존불입상.


오른편에서 본 모습


경주와 대구를 연결해주는 옛국도에서 경부고속도 아래를 지나면 두대리 마을을 지나서 산길로 조금 들어오면 마애불상이 있는 이곳으로 올라 올 수 있다.


산길을 따라서 걸어 올라오다 보면 처음으로 보이는 최근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 산신각.


마애불상 아래에 있는 작은 암자로 정식 사찰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


불상 앞쪽에 놓여진 바위때문에 아래에서는 삼존불상이 잘 보이지는 않는다.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보물 122호), 경주시 율동
이 삼존불은 벽도산 자락의 암벽을 깎아 삼존불 입상을 돋을새김한 석불입상으로 모두 연꽃 받침 위에 서 있다. 높이 3.3m인 중앙 본존불은 서방 극락세계를 다스린다는 아미타불이고 풍만한 얼굴에 당당한 체구이며 어깨는 넓고 반듯하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을 얇게 표현되어 몸의 굴곡을 잘 드러낸다. 머리는 아주 큼직하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가 낮게 있어 모자를 쓴 것처럼 보인다. 오른손은 내리고 있고 왼손은 가슴부근까지 들어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고 있다. 왼쪽에는 정병을 든 관세음보살상이,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이 있으며, 이 불상들의 머리 뒤에는 모두 둥근 선으로 머리 광배가 표현되어 있다. 조각솜씨로 보아 8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출처:경주시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