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성곽(산성_읍성)

남한산성, 제1남옹성에서 남장대까지

younghwan 2011. 12. 13. 17:14
반응형


 남한산성은 한강 남쪽에 위치한 청량산을 중심으로 동쪽의 남한산, 남쪽의 검단산 사이에 형성된 분지를 둘레 8km의 석축으로 쌓은 조선시대 산성이다. 남한산성은 한성백제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후기 인조대에 청나라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쌓은 대표적인 산성으로 장대.돈대.암문 등 다양한 방어시설과 행궁 등 관아 건물들을 두고 있다.

 남한산성은 전체적으로는 높고 경사진 지형에 석축을 쌓았기때문에 천혜의 요새라고 할 수 있으며, 역사 이래로 성이 함락된 적이 없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남한산성에서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은 남쪽편 검단산 정상과 연결되는 능선지역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검단산과 약간 떨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산성을 쌓아서 방어하기에는 그 범위가 넓어지는 약점을 가지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가 검단산 일대를 장악하여 화포로 남쪽 성벽을 공격하여 상당히 어려움을 겪었던 곳이기도 하며,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게 된 원인 중 하나였던 곳이라 한다. 이런 이유때문에 남한산성 남쪽에는 다른 곳에 비해서 독특한 방어시설을 두고 있는데, 남장대를 중심으로 3개의 옹성을 두고, 화포를 전진해서 배치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주로 옹성의 방향은 검단산 정상 주변을 향하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어려움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남한산성 남쪽편에 설치된 암문 중에서 가장 통행이 많았던 것으로 보이는 제1남옹성을 출입하는 암문. 지금도 이 곳을 통해 검단산 정상과 연결되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제1남옹성에서 남장대로 오르는 성곽길. 성곽길의 지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지역은 남장대를 중심으로 남쪽편 산정상부를 이루며 상대적으로 경사기 완만한 편이다.


산성 안쪽으로 멀리 청량산 부근의 남문에서 수어장대까지의 성곽이 보인다. 지세가 상당히 험하여 청량산으로 공격을 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남한산성 남쪽은 적의 공격에 매우 취약한 지역이라 석벽을 상당히 높게 쌓아 두고 있다.


남장대까지는 경사가 거의 없는 완만한 지형이 계속 이어진다.


성벽길 아래로 남한산성에서 제일 중요한 방어시설인 제2옹성으로 나가는 암문이 보인다.


제2옹성과 연결된 암문. 높은 성벽 아래에 석축으로 쌓은 작은 홍예문으로 상당히 견고해 보인다. 이 곳 남장대 부근이 남한산성 방어에서 아주 중요했음을 잘 보여준다.


암문 서쪽편 성벽.


제2남옹성을 보호하고 남장대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쌓은 제2남옹성치. 일반적인 치에 비해서 그 규모가 상당히 큰 편으로 옹성을 보완하고 옹성과 연계하여 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만든 방어시설이다.

제2남옹성치
치는 성벽이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입체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물 중의 하나로 남한산성에는 모두 다섯개의 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본성에 4개, 봉암성에 1개가 있다. 제2남옹성치는 남장대 바로 앞에 설치되어 있으며 남한산성에 설치된 치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남한산성은 대부분 성벽이 굴곡이 심하여 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나 남쪽은 지형이 완만하고 성벽의 굴곡이 약하여 방어력을 높이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출처:광주시청>


남장대 압쪽으로 돌출되게 쌓은 제2남옹성. 성문을 둘러싸고 있는 일반적인 옹성과는 달리 성문 앞쪽에 독립된 성곽을 이루고 있다. 전체 둘레 318m로 그 규모가 큰 편으로 옹성이라기 보다는 돈대난 용도와 비슷한 기능을 하고 있는 방어시설이다. 옹성 전면에 보이는 곳이 검단산으로 그 사이에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어서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군이 이쪽에 주둔하면서 화포로 남쪽편 성벽을 끊임없이 공격하면서 공포심을 조장했던 곳이라고 한다.

제2남옹성
옹성은 일반적으로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으로 한 겹의 성벽을 더 둘러쌓은 이중의 성벽을 말한다. 그러나 남한산성의 옹성은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3면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하고, 요충지에 대한 거점확보를 위해 성벽에 덧대어 설치한 시설물로 다른 성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남한산성에는 모두 5개의 옹성이 있는데, 이 중 3개의 옹성이 산성 남쪽의 완만한 지형을 보완하고 신남성으로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이 중 제2남옹성은 이 3개 중 중앙에 있는 두번째 옹성이다. 제2남옹성은 둘레가 318m이며, 다른 옹성과는 달리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옹성 끝에는 포대가 있는데, 그 곳으로 들어가는 홍예문이 있으며, 포대는 동.서.남 3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성과 연결되는 지점에는 전투시에 성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암문을 설치하였다. 남한산성에 설치된 옹성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출처:광주시청>


남장대 동쪽편 성벽


남장대 부근 성벽길


남장대 앞에 넓은 공간을 만들고 있는 제2옹성치 내부. 남쪽편 검단산 일대를 향하고 있다. 주로 이 곳에서 남한산성 남쪽편 방어를 지휘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한산성 남쪽편 성곽. 전체적으로 경사가 완만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옹성치 뒷편은 남한산성 남쪽에서 제일 높은 곳으로 지휘소로서 남장대가 설치되었다.


현재 남장대 누각 건물은 남아 있지않고 잘 다듬어진 주춧돌만 그 터에 남아 있다.

남장대터
장대란 지휘와 관측을 위해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누각 건물로 남한산성에는 5개의 장대가 있었다. 이 곳은 남장대가 있던 곳으로 성 남쪽에 있다하여 남장대라 불린다. 이 곳에는 남한산성에 주둔하던 수어청에 소속된 5명 중 전영장을 지휘하던 곳이다. 제2남옹성 바로 안쪽에 있었던 장대로 주변 지형을 보더라도 장대가 위치할 입지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1788년 부윤 이태성이 수어장대와 같이 이층으로 고치고 타운루라는 편액을 걸었으나, 지금은 둥글게 잘 다듬어진 주춧돌만 남아 있다. 남장대가 있는 이 지역은 제2남옹성치를 설치하여 장대앞의 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3개의 남옹성을 설치한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전략적으로 중요한 장대임을 알 수 있다. <출처:광주시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