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조선 관아

대구 경상감영 징청각, 관찰사가 머물던 거처인 내아

younghwan 2013. 4. 15. 13:13
반응형


  대구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은 조선시대 경상감영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일제강점기에 관아건물들이 해체되면서 대구시와 경북도를 관할하는 많은 관청건물들이 들어서 있던 곳이다.  원래 경상감영에는 응향당, 제승당, 응수당 등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옛 관아 건물로 관찰사 집무공간이었던 선화당과 살림집인 징칭각이 남아 있다. 선화당 뒷편에 위치한 징칭각은 관찰사가 머물던 살림집으로 1601년(선조34)에 대구에 감영이 설치될때 세워진 건물로 여러 차례의 화재로 소실된 것을 1806년(순조6)에 중건한 것이라 한다. 일제감정기에 감영을 해체하고 감영에 경북도청이 설치될 때 많은 건물들은 없어졌지만 징칭각은 사무실로 개조하여 사용했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970년 이곳에 중앙공원을 조성하면 대청마루만 있고 사방이 개방된 누각처럼 복원했으나, 2000년 관찰사가 머물던 내아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 전국의 주요 대도시에 설치되었던 감영건물은 도청을 비롯하여 관청건물이 들어서고, 도심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남아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경상감영 관아 건물인 선화당과 함께 감영을 구성했던 관청건물로서 의미가 있는 건물이다.

 조선시대 감영는 지방행정 조직의 최고 조직으로 전국 8도에 감영을 설치하고 관찰사를 파견하였다. 감영의 수장인 관찰사는 종2품의 고위직으로 임기는 2년(초기는 1년)으로 도내 군사와 행정을 통제하였으며, 관할 지역내 고을 수령들을 지휘.감독하면서 근무성적 등을 평가하는 등의 임무를 가지고 있었다. 조선초기 관찰사는 특정지역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관할지역을 순회하면서 업무를 보았으나 점차 특정지역에 감영을 설치하고 해당고을 수령을 겸하게 되었다. 경상감영은 조선이 개국한 이래 경주, 상주, 칠곡, 안동을 거쳐 1601년(선조34)에 대구에 정착하였다.

징청각, 대구시 중구 포정동
징청각은 경상도 관찰사의 처소로서 선조 34년(1601) 경상감영이 대구에 정착하면서 선화당 등 여러채의 건물과 함께 세워졌다. 그후 여러차례의 화재로 불탄 것을 순조 7년(1807)에 다시 지었고 1970년 공원 조성때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출처:대구시청>


대구 도심 중앙에 위치한 경상감영공원에 남아 있는 관찰사가 머물던 숙소 건물인 징청각. 보통 지방관아의 내아는 부엌이 있는 살림집 형태를 하고 있으나 관찰사의 거처인 징청각은 동헌건물처럼 지어놓고 있다. 이는 관찰사가 종2품의 고위직으로 나이도 많고 임기도 2년 정도로 길지 않아서 가족을 동행하지 않고 단신부임하는 경우가 많아서 살림집이라기보다는 집무공간처럼 건물을 꾸며놓고 있다.


건물은 앞면 8칸, 옆면 4칸의 상당히 큰 건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가운데 3칸은 집무를 보거나 많은 사람들이 모여 회의 등을 할 수 있는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으며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징청각'이라 적힌 현판. 익공계 공포를 하고 있으며 겹처마에 단청으로 화려하게 꾸며놓고 있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다.


건물 앞쪽은 통로로 사용되는 1칸 넓이의 툇마루가 있다.


대청마루 뒷편에도 툇마루를 달아 놓아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청마루 양쪽에는 2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온돌방 뒷편에는 휴식공간으로 작은 누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건물 왼쪽편 1칸에도 누마루를 설치해 놓고 있다.


경상감영 징청각


대구역 정면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한 경상감영공원은 원래 경북도청을 중심으로 많은 관청들이 모여있는 행정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공원으로 바뀌어 시민들의 휴식공간이 되고 있다.


칭청각 앞쪽에 남아 있는 관찰사 집무공간인 선화당.


대구 도심에 위치한 경상감영공원


경상감영공원 앞 큰 길. 주변에 지금도 관청들이 일부 남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