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콤옴보 신전
1. 나일강 뱃길을 지켜보고 있는 탑문 2. 콤옴보 신전 입구, 신전 앞 우물
3. 콤옴보 신전 열주실 4. 콤옴보 신전 주위 풍경






콤옴보는 아스완 주에 있는 아스완 하이 댐에서 북쪽으로 48㎞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카움움부 시는 농산물시장이자 사탕수수 가공 및 조면업 중심지로서, 계곡을 가로지르는 주요간선도로와 카이로-아스완 철도 사이에 있는 나일 강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바로 동쪽에서 나일 협곡이 북에서 남으로 길이 32㎞, 너비 16㎞에 달하는 계곡으로 변한다. 1959~70년 아스완 하이 댐이 건설되면서 나세르 호가 새로 생기게 되자 거주지가 물에 잠기게 된 6만 명 이상의 누비아족 이집트인들이 이 계곡 근처로 이주해와 사막을 개간하여 만든 마을과 계획도시에 정착했다. 이주민들은 오늘날 댐의 수로를 통해 관개되는 경작지에서 사탕수수와 다른 여러 환금작물들을 재배하여 예로부터 자급해오던 밀과 옥수수의 부족분을 충당한다. <출처:브리태니커>
신전의 북쪽 절반을 통치하는 매는, 세베크의 화신이자 신전의 남쪽 절반의 주인인 악어와 화해하는 수 밖에 없었다. 신전 근처에 있는 미라로 만들어진 악어들의 묘지는 이 무서운 동물들을 꿀과 고기를 주어 길렀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물에서는 악어의 공격성과 그 잽싼 동작은 공중에서의 매의 행동에 비길 만하다. 하지만 매 호루스와 악어 세베크가 그저 사나운 약탈자들었던 것만은 아니다. 둘 모두, 매일 같이 어둠에 맞서 싸우는 태양의 동맹군이기도 했다. 때로는 매가, 또 때로는 악어가 눈부신 힘을 과시했다. 호루스는 지상의 악을 근절하고 만물이 성장하도록 빛을 준다. 태초의 바다에서 나온 세베크는 비밀스런 위대한 형상이다. 어느 여신의 젖을 먹고 자라 육신이 너무나 튼튼해져 만물을 등에 짊어질 수 있다 그는 사자의 부활을 도우며 대지가 비옥해지도록 성장의 물이 넘쳐흐르게 한다. <출처:크리스티앙 자크와 함께하는 이집트 여행, 문학세계사>
반응형
'이집트(Egy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로 중심부 나일강변 풍경 (1) | 2010.08.30 |
---|---|
카이로(Cairo) 거리 풍경 (0) | 2010.08.30 |
이집트 콤옴보 신전, 호루스신과 세베크신의 타협의 산물 (3) | 2010.06.01 |
이집트 콤옴보 신전, 주위 풍경들 (0) | 2010.06.01 |
이집트 콤옴보 신전 - 원기둥이 있는 홀 (0) | 2010.06.01 |
이집트 콤옴보 신전, 나일강 뱃길을 지켜보고 있는 탑문 (0) | 2010.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