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39

안동 임청각(보물182호), 안동지방을 대표하는 99칸 대저택.

경북 안동을 대표하는 고택인 임청각(臨淸閣, 보물182호)이다. 권문세가의 세거지가 많은 안동지역에서도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99칸 대저택이다. 중종때 처음 지었으며, 영조대 중건하면서 99칸으로 크게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중앙선 철도가 집앞을 지나가면서 행랑채를 비롯한 부속건물들이 철거되어 그 규모가 많이 줄어들었다. 건물은 살림집에 해당하는 안채와 이에 딸린 행랑채, 조선중기에 지은 건물이 아직도 남아 있는 별당 건물이 군자정(君子亭)과 사당 등이 남아 있다. 임청각은 상해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을 비롯하여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집으로 국가현충시설로도 지정되어 있다. 영남산 동쪽 기슭에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는 배산임수의 풍수적 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저택으로 낙동강변 경사..

고택_정원 2015.09.17

안동 임하마을 국탄댁(菊灘宅

임하댐 건설로 수몰된 지례마을에 있던 국탄댁(菊灘宅)이다.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임하마을로 옮겨졌다. 이 집은 영조대인 1757년에 지어졌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합쳐져서 ‘ㅁ’자형 주택을 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모두 간단한 구조로 지어졌는데, 안채는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이다. 국탄은 조선중기 숙종대 문신인 김방걸의 후손이다. 천전마을 의성김씨의 후손으로 임동면 지례마을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지례 마을에 있던 여러 고택들은 이곳 임하마을을 비롯하여, 천전마을, 원래 마을이 있던 곳으로 흩어졌다. 안동 임하댐 아래 전통마을인 임하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국탄댁이다. 원래 반변천 상류쪽 지례마을에 있던 것을 임하댐 건설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고택_정원 2015.09.02

안동 임하마을 이우당종택

안동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에 있는 이우당 종택이다. 이 집은 권환(權寏)이 살았던 집으로 조선중기 인조대에 지어진 집이다. 집은 마을 앞을 휘감으며 흐르는 반변천을 향해서 북동쪽을 향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의 ‘ㅁ’자형 안채와 북쪽으로 돌출된 사랑채, 불천위 조상을 모신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동 와룡면 출신인 권환이 천전마을 의성김씨 집안의 사위가 되면서 터를 잡고 살면서 안동권씨 집성촌이 되었다고 한다. 안동시 임하면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인 이우당종택. 조선중기 인조대에 처음 지어진 고택으로 비교적 규모가 큰 편이다. 이우당이라 적힌 현판이 결려 있는 사랑채. 앞쪽으로 돌출된 누마루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구한말에 증축된 부분을 당시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ㅁ'자형 살림집 ..

고택_정원 2015.07.28

안동 천전마을 추파고택

영남지역 4대 길지(吉地)로 손꼽히는 양반들의 세거지인 천전마을 종택 인근에 있는 추파고택(楸坡古宅)이다. 이 집은 종손의 아우였던 추파 김정락과 그의 아들 김병식이 살았던 집으로 원래는 천전마을 종택 안에 있었다고 한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 형태 한옥으로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19세기에 지어진 저택으로 당시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이다. 이 집 주인이었던 김병식은 1907년 안동지역 근대교육의 출발점이 되었던 협동학교 교사와 교장을 역임하였다고 한다. 안동 천전마을 종택 부근에 위치한 추파고택. 19세기경 종갓집에서 분가하면서 지은 고택을 당시의 주택양식이 잘 남아 있다고 한다.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데, 중문 왼쪽편에 앞면 3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다. 오른..

고택_정원 2015.07.20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퇴계 이황과 제자들을 모신 호계서원(虎溪書院)이다. 조선 선조 8년(1575)에 백련사 절터에 여강서원(麗江書院)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어졌다. 1605년에 대홍수 유실되어 다시 지었으며, 숙종대에 호계로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구한말 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없어졌다가 강당만 새로 지었다. 강당은 앞면 3칸이 대청마루이고 양쪽에 앞면 1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원래는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은 와룡면 도곡리에 있었는데 1973년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이곳으로 옮겼다. 향후 안동댐 부근으로 옮길 예정이라 한다. 안동시 임하면 임하댐 아래에 위치한 호계서원. 호계서원은 퇴계 이황과 제자들인 류성룡, 김성일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강당만 복원되었다. 원래는 도산서원과 멀지 ..

안동 임하댐,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을 막아 건설한 다목적댐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에 세워진 다목적댐인 임하댐이다. 댐은 높이 73m, 길이 515m로 저장된 용수는 하루 40만톤 규모이다. 임하댐은 안동지역 농업용수나 수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은 것은 아니고 이곳에서 멀리 떨어진 제철소가 있는 포항지역에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 저장된 물은 금호강 상류 영천댐으로 공급되어 포항지역의 공업용수와 영천지역의 농업용수로 사용된다고 한다. 1984년 착공하여 1992년에 준공하였다고 한다. 댐건설로 안동시 임동면을 비롯하여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 주변에는 영남4대 길지 중 한곳으로 손꼽히는 천전마을을 비롯하여 양반들이 살았던 고택들과 전통마을들이 아직도 주변에 많이 남아 있다.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을 막은 임하댐 전경 댐은 계..

한국의 풍경 2015.06.25

[맛집] 안동찜닭 골목으로 유명한 안동구시장

안동은 동쪽과 북쪽으로 낙동강 상류방향이며 산이 맣은 고장이고, 서쪽과 남쪽으로 들판이 비교적 넓고 많은 지역과 교통로가 연결되고 있다. 이런 지리적인 조건 등으로 옛 안동읍성 서문 근처에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되었다. 안동시 남문동에 위치한 안동구시장은 이 지방의 명물로 바뀐 '안동찜닭'이 생긴 곳이기도 하다. '안동찜닭'이라는 이름에서 안동지방 전통음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1980년대부터 안동 재래시장에서 즐겨먹기 시작한 음식이라고 한다. 닭도리탕처럼 토막낸 닭고기에 채소와 당면을 넣고 간장에 조린 음시이다. 맛이 뛰어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음식양이 푸짐해 보여서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안동찜닭이 처음 생겼다는 안동구시장 찜닭골목. 주변지역에서 안동을 주로 출입하는 옛 안동읍성 ..

맛집 2015.06.12

단양 구인사, 소백산 자락에 자리잡은 사찰

소백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인 단양 구인사(救仁寺)이다. 이 사찰은 1945년에 처음 건립되었다. 사찰은 전통사찰과는 달리 5층 높이이 대법당을 중심으로 콘크리이트로 지은 거대한 건물들로 이루어 졌다. 불교 27개 종단 중 하나로 1967년에 이곳에서 시작된 대한불교 천태종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을 종조(宗祖)로 삼고, ‘법화경’을 근본경전으로 삼는다고 하고 있다. 고려시대 천태종을 계승하고 있다고 하나, 전통불교인 조계종이나 태고종과는 달리 신흥종교 중 하나로 불 수 있다. 전국에 200여개소의 사찰이 있으며, 신도수로 170여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대한천태종의 총본산인 단양 구인사. 일반 사찰과는 달리 대형 콘크리트 건물인 대웅전을 중심으로 많은 신도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큰..

전국 사찰 2015.06.08

부여 부여현(扶餘縣) 관아 내아(內衙), 부여현감이 거처하던 살림집.

백제 마지막 수도 사비성을 지키던 부소산성 아래 부여읍 관북리는 옛 백제왕궁터였으며, 조선시대에는 부여현 관아가,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백제를 대표하는 부여박물관이 있었던 곳이다. 옛 부여박물관 정원을 장식하고 있는 조선시대 관아터에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는 객사, 부여현감의 공식 업무공간인 동헌, 살림집인 내아(內衙)가 남아 있다. 내아(內衙)는 현감이 살던 살림집으로 여러 동의 건물이 있었겠지만 지금은 본채만 남아 있다. 건물은 앞면 5칸의 ‘-’자형 건물로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 그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백제시대의 주춧돌과 기단석을 사용하여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내아 뒷편에는 부여지역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모신 사당인 도영강당(道江影堂)이 있다. 옛 부여현 관아 건물터 동쪽편에 위치한 내아. ..

조선 관아 2015.06.01

단양 대명리조트,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위치한 대형 숙박시설

충북 단양군 단양읍 삼봉로에 위치한 대명리조트이다. 남한강변에 내려다 보이는 단양읍 입구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대규모 물놀이시설과 큰 규모의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건물과 시설들은 최근에 신축한 것으로 보이며 여행 중 하루 묵어가기에 좋은 곳이다. 멀지 않은 곳에 단양팔경을 대표하는 도담상봉을 비롯하여 단양 고수동굴이 가까이 있으며, 오염되지 않은 남한강변이 가까이 있다. 또한 최근에 각광받은 레포츠인 패러글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위치한 단양 대명리조트 전경. 많은 객실을 두고 있는 대형 리조트이다. 옆쪽에 있는 객실 건물 대명리조트 로비 로비 카운터 객실 있는 각층 로비의 휴게실 객실복도 객실 내부 객실에서 내려다 본 남한강. 이곳 주..

한국의 풍경 2015.05.18

[맛집] 강릉 사천진항, 물회로 유명한 장안회집

사천진항(沙川津港)은 강릉시 사천면 사천진리에 있는 작은 포구이다. 항구는 백두대간에서 흘러내려온 사천천(沙川川)이 동해바다로 흘러드는 지점에 위치하고 하고 있다. 동해안에 있는 다른 포구들과는 달리 암석해안이 없어 큰 항구가 형성되지는 못했다. 동해안의 많은 어촌마을 중에서도 규모가 상당히 작은 마을이다. 실제 항구로 발달하기 힘든 지형조건이지만, 동해안 최대의 해수욕장이자 관광지인 경포해안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지리적 장점으로 최근에 관광어촌으로 횟집을 비롯하여 많은 숙박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사천진항은 항구의 규모가 작아 활어를 거래하는 어시장이나 횟집이 발달되지 않았으며,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지만 물회가 대표음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물회는 싱싱한 생선을 잘게 썰어 고추장이나 된장에 야..

맛집 2015.04.16

부여 부여현(扶餘縣) 관아 객사(客舍)

부소산성 아래 삼국시대 백제 왕궁터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건물 중 하나인 부여 객사(客舍)이다. 객사는 조선시대 관아의 중심건물로 국왕을 상징하는 궐패(闕牌)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건물이자 공식적으로 지역을 방문한 중앙 관리나 외국 사신이 묵을 수 있는 숙소이다. 건물은 궐패를 모시는 정당(正堂)을 가운데에, 양쪽에 좌.우익랑을 두고 있다. 정청은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좌.우익랑은 앞면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부여 객사는 구한말인 1869년에 지은 건물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부여박물관 전시실 등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부여객사가 있는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일대는 삼국시대 백제의 왕궁터였던 곳으로 조선시대에는 부여현 관아가 있었다. 이곳에는 옛 부여박물관이 있었으며, 관아 건물로는 객사..

조선 관아 2015.03.26

부여 부여현(扶餘縣) 동헌

부여읍 옛 부여박물관 마당에 남아 있는 부여현 관아 건물 중 동헌이다. 동헌은 고을 수령인 종6품 부여현감이 재판이나 민원인 알현 등 공식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공간이다. 건물은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지방관아 동헌 중에서는 작은 편이다. 왼쪽 3칸은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으며, 오른쪽 2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으며, 앞쪽에 툇마루를 놓았다. 대청마루 처마 밑에 '초연당(超然堂)'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인 1869(고종6)에 지은 것이라 한다. 부여현(扶餘縣)은 백제의 마지막 수도연 사비성에 설치된 지방행정단위이다. 백제가 멸망하면서 부여도독부가, 통일신라시대에는 부여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공주와 병합되었다가 조선초 독립하여 부여현이 되었다. 조선시대..

조선 관아 2015.03.12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보물184호)

부여 사비성 남쪽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보물184호)이다. 백제 석탑을 대표하는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서 만든 석탑이다. 얇은 판석을 3층으로 쌓아 기단으로 하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1층 탑신 몸돌은 정림사지 석탑처럼 4개의 기둥을 세우고 그 안쪽에 판석을 끼웠으며 2,3탑신의 몸돌은 하나의 돌에 기둥모양을 새겨 감실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 탑신 몸돌에서는 사리구, 상아불상, 목제소탑 등 고려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정림사지 석탑을 모방하여 만들었다고 하나 전체적으로 균형미가 없고 조형미도 떨어지는 편이다. 통일신라가 멸망한 이후 옛 백제의 향수를 자극하고자 지역 호족이 정림사지 석탑을 모방해서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석탑이 남아 있는 이곳은 금강나루터가 있었던 교..

부여 흥학당,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서당 건물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흥학당(興學堂)이다.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서당 건물로 'ㄷ'자형으로 지어진 본채만 있고 행랑채 등 부속건물을 두고 있지 않다. 가운데 4칸은 넓은 대청마루, 양쪽에 방과 부엌들을 두고 있다. 흥학당은 과천현감을 지낸 조태진을 모신 사당인 남산사 부속건물로 1770년에 지어졌다. 이 지역에 세거지를 두고 있는 풍양조씨 집안에서 지은 것으로 제사를 준비하는 재실 성격도 같이 가지고 있다. 뒷편에는 사당인 남산사(南山祠)와 영당(影堂)을 두고 있다. 흥학당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서당으로 지어졌다. 건물은 넓은 넓은 대청마루와 방, 부엌으로 된 본채를 제외하고 행랑채를 두고 있지 않다. 흥학당 출입문 흥학당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은 서당 건물이다. 가운데 4칸 넓은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217호)

부여 가림성(加林城, 성흥산성)이 있는 성흥산 중턱 대조사(大鳥寺)에 있는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217호)이다.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함께 고려초기 이 지역에 성행했던 미륵신앙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높이 10m의 거대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이중 보개(寶蓋)를 얹은 관(冠)을 쓰고 있는 전형적인 미륵보살의 형상을 하고 있다. 몸통에 비해서 얼굴을 크고, 얼굴은 4각형으로 넓적하며, 귀와 눈은 크고 코와 입은 작게 표현하고 있는 등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으며 조각수법은 투박하다. 대조사(大鳥寺)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전통 깊은 사찰이다. 13세기(고려 원종)에 크게 중건되면서 현재와 비슷한 사찰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삼층석탑이 같이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조사(大鳥寺)라는..

부여 대조사(大鳥寺), 성흥산성 아래에 자리잡은 고찰

부여 대조사(大鳥寺)는 부여 서남쪽 성흥산성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다.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겼던 성왕대에 처음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따른 노승이 성흥산 중턱에서 예배를 올리던 중 꿈속에서 큰 새가 나타나 이곳에 앉안느데, 그곳에 관세음보살이 나타났다고 한다. 이 사실이 성왕에게 보고되어 큰 사찰을 짓게 하였다고 한다. 대조사(大鳥寺)란 사찰이 이름은 큰 새가 앉았다는 전설에 따라 지은 것이라 한다. 사찰은 남쪽방향으로 틔어 있는 성흥산 중턱 양지바른 곳에 자리잡고 있다. 창건 전설에 따라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보전을 주불전으로 삼고, 미륵보살을 모신 용화보전과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과 산신을 모신 산신각을 두고 있다. 사찰마당에는 큰 요사채 건물이 있고, 뒷편에도 별장같은 작은 요사건물..

전국 사찰 2015.02.27

[일본 나가사키] 데지마네덜란드상관(出島和蘭商館蹟)

나가사키에 있는 데지마네덜란드상관터(出島和蘭商館蹟)이다. 데지마는 1636년 천주교 포교를 막는 목적으로, 시내에 흩어져 살던 포르투갈인을 한 곳으로 보아 거주시키기 조성한 부채 모양의 인공섬이다. 포르투갈인들이 추방된 이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소속 상인들이 거주했던 상관으로 에도시대 일본의 유일한 대외창구 역할을 했다. 전체 면적 5천평정도의 부채꼴모양 작은 인공섬이다. 19세기 일본의 전면적인 개항 이후 그 기능이 없어지고 주변지역이 매립하여 근대적인 항구를 조성하면서 원래의 모습은 없어졌다. 일본은 1922년 에도시대 대외 교류의 창구였던 상징적인 의미를 고려하여 국가사적으로 지정하였다. 1996년 이후 나가사키시는 이곳을 복원하여 상관장의 자택, 일본관리 거주지 등 여러채의 건물을 복원하였다. 일..

일본(Japan) 2015.02.24

[한국의 도교문화] 도교와 불교, 유교, 동학

동아시아에서는 고대 이래로 유(儒).불(佛).선(仙)이라 하여 도교을 불교, 유교와 함께 중요한 사상 또는 신앙으로 여겨왔다.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전통적인 제천의식이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한국적인 도교의 모습을 보여왔다. 고려시대에는 도교적 지식을 갖추고 신선처럼 생활하는 것이 미덕으려 여겨졌으며, 도교의 지위가 낮아진 조선시대에도 지식인층에서는 도교에 대한 연구가 성행하였다. 이는 구한말 창시된 동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선약, 주문, 장생과 같은 도교 용어나 개념이 동학의 교리가 일반인들에게 친밀감을 주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 도교의 신들은 중국 토착 신앙과 신선사상 등에 유래한 것이 많은데 그 중 자연과 관련된 신들을 고유의 토착신들과 서로 상통되는 면이 많았다.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

중앙박물관 2015.02.23

단군성전, 사직공원에 위치한 단군사당

사직공원 뒷편 황학정이 있는 언덕에 위치한 단군성전(檀君聖殿)이다. 우리 민족의 시조인 단군을 모신 대표적인 사당이다. 이 사당은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고 해방 이후인 1968년에 처음 세워졌다. 이후 1990년대 쌍용그룹의 지원으로 개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당은 단군 영정과 단군상을 모시고 있으며 단군성전 또는 백악전(百惡殿)이라 부른다. 역사적인 배경이 있거나 국가적인 지원을 받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사직공원 뒷편 인왕산길에서 볼 수 있는 단군성전 정문. 사직공원과 연결된 계단에서 출입하는 문 단군상과 영정을 모신 사당. 사당내부. 안내표지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