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259

[경주박물관 야외전시실] 석등, 밝게 빛나는 부처님 말씀

석등은 사찰의 가람배치에서 불상을 모신 불전 앞을 밝히는 석조물이다. 불교에서 등불은 부처님의 진리를 비춰줌으로 중생을 착한 길로 인도하고, 탑과 불상 앞에 등불을 밝히면 내세에 복을 받을 수 있다는 기복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지금도 사찰에서는 부처님이 태어난 초파일에 사찰입구에서부터 불전까지 끝없이 이어지는 연등을 볼 수 있다. 사찰의 가람배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서 석등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 백제의 큰 사찰이었던 미륵사 절터에서 가장 오래된 석등의 화개석과 팔각연꽃무늬 하대석이 발견되었다. 원래 석등은 불전 앞을 밝히던 기능을 갖는데, 그 역할이 승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을 비롯하여 고려시대부터는 능묘를 밝히는 장명등의 형태로 확장되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본격적..

[경주박물관 야외전시실] 한국 석탑의 모범이 된 신라 석탑

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곳으로 인도 산스크리트어 '스투파(Stupa)'에서 유래되었다. 스투파는 흙이나 돌로 쌓아 올린 무덤을 뜻하는 것으로 원래는 진흙을 구워서 만든 반원형돔형태였다. 인도 아소카왕이 기존에 봉안되었던 사리를 분배하여 8만 4천기의 탑을 세우면서, 무덤의 성격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바뀌었다. 불교가 여러 경로를 통해 전파되면서 여러 지역에서 탑이 세웠졌는데 탑의 형태른 각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는 벽돌로 쌓아 만든 전탑이, 한국에서는 돌을 다듬어서 만든 석탑이, 일본에서는 목탑이 많이 세워졌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처음에는 목탑이 많이 세워졌으며, 사찰은 탑을 중심으로 건물을 배치하는 여러 형태를 가람배치를 보였다. ..

[경주박물관] 영원한 생명력을 가진 석조불상

불상은 부처의 형상을 표현한 것으로 좁은 의미로는 석가모니를 비롯한 여래의 모습을 표현한 것을 말하지만, 대체로 보살상.신장상 등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불상이라 일컫는다. 원래 불교에서는 신앙의 대상이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신 탑이나 보리시, 금강보좌 등이 중심이었으나 이집트와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지방과 인도의 마투라에서 처음 만들어져 대승불교의 전파경로를 통해 한국에 전해졌다. 사찰의 가람배치에 있어서도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초기까지는 부처의 사리를 모신 탑을 중심으로 가람이 배치되었으나 후대에 들어서면서 탑보다는 불상을 보신 금당이 사찰의 중심이 되었다. 불상은 만든 재료에 따라서 석조불상, 목조불상, 철조불상, 금동불상 등이 있다. 불상이 처음 만들어진 인도나 서역에서는 진흙으로 빚어서 만든 ..

[경주박물관 야외전시실] 불법의 수호자, 사천왕.팔부중.금강역사.십이지신.사자

불교에서 불법을 수호하는 존재로 여겨지며 사찰 입구를 지키거나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탑에 새겨져 있는 사천왕, 금강역사, 팔부중, 사자 등을 볼 수 있다. 대체로 인도 고유의 신이었다가 불교가 생겨나면서 자연스럽게 불법을 수호하는 존재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사천왕은 오늘날에서 사찰출입문인 천왕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존재로 원래는 부처님의 세상을 악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신장으로 인도에서는 귀신 무리의 왕이었다가 불교에 귀의하여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이 된 존재이다. 불법의 세계인 수미산을 사방으로 지키는데, 동쪽은 지국천왕, 서쪽은 광목천왕, 남쪽은 중장천왕, 북쪽은 다문천왕이 머물면서 불법의 세계를 지킨다고 알려져 있다. 팔부중은 사천왕 비슷한 존재로 불법을 수호하고 대중을 교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63호), 경주 남산에 흩어져 있던 석불들을 옮겨 놓은 삼존불상

경주시 배동 경주 남산 등산로 입구에 옮겨져 있는 보물 63호로 지정된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이다. 원래 경주 남산에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서 현재의 위치에 옮겨놓고 있다. 본존불은 얼굴과 몸이 어린아이를 묘사하고 있으며, 조각수법이 투박하면서도 입체감이 있어 보인다. 왼쪽의 보살상은 보관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볼 때 관음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오른쪽 보살상은 투박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석불들은 일제강점기에 여러곳에 흩어져 있던 것을 옮겼지만, 석불의 기본적인 양식이 같기 때문에 처음부터 삼존불이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불상의 조각솜씨는 다른 불상에 비해서 투박하지만 종교적인 느낌이 강조되고 있는 7세기 신라의 불상조각을 대표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금오산이라고도 부르는 경주 남산은 신..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보물 107호), 부여박물관 야외로 옮겨진 고려말에 세워진 탑비

부여군 성주산 보광서 절터에 남아 있던 것을 부여박물관으로 옮겨서 전시하고 있는 보물 107호로 지정된 부여 보광사지대보광선사비이다. 이 비는 고려시대 보광사를 크게 일으킨 원명국사의 공적이 새겨져 있다. 고려말 공민왕때인 1358년에 세워진 것으로 바침돌과 머릿돌은 남아 있지 않고 공적이 새겨진 비몸만 남아 있다. 앞면은 비가 처음 세워질 때 새겨진 것이고, 뒷면은 영조대인 1750년에 추가하여 적은 놓은 것이다. 화려하고 섬세하게 만들어졌던 고려중기 이전의 탑비와는 달리 간략하게 만들어 놓고 있다. 부여박물관 정원에는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를 하여 충남지역에 흩어져 있던 고승들이 부도와 비석 부재를 옮겨서 전시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백제 멸망이후 오래된 고찰이 많지 않았던 까닭에 비석들이 많이 전시되..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보물121호), 백률사 언덕아래 남아 있는 통일신라 전성기 조각수법을 보여주는 불상

경주시 동천동 소금강산 기슭에 위치한 이차돈 순교 설화가 전해내려오는 백률사 아래 절터에 남아 있는 거대한 사면석물인 보물 121호로 지정된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이다. 이 불상은 거대한 돌에 불상을 새겨 놓고 있는데 서쪽에는 아미타삼존불, 동쪽에는 약사여래상, 남쪽에는 삼존불입상을, 북쪽에는 여래입상과 11면 관음입상을 새겨놓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에 만들어진 석조불상으로 입체감과 생동감이 넘치는 표현을 하고 있어, 당시의 빼어난 조각수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다만, 전체적인 양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통일성이 부족하여, 전체적으로는 조화롭지는 못한 편이다. 굴불사는 기록에 따르면 8세기 경덕왕이 백율사를 행차할 때 땅속에서 염불소리가 들려 땅을 파서 보니 큰 돌이 나와 이곳에 절을 세우고 돌에는 ..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보물 910호), 연화문이 새겨진 특이한 당간지주

경주시 보문동 농경지 한가운데에는 보물 910호로 지정된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가 남아 있다. 현재 명칭은 동남쪽에 위치한 보문사의 당간지주라고 이름 지어져 있지만, 실제로는 보문사 절터와는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고, 또한 보문사에는 별도로 당간지주가 남아 있어 이 곳에 별개의 사찰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이 당간지주는 현재 남아 있는 많은 당간지주들 중에서 팔엽의 연화문이 새겨져 있는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 당간지주는 오늘날까지도 원래의 위치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당간지주가 세워져 있는 보문동 일대는 신라를 건국한 경주 6촌 중 명활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던 명활산 고야촌으로 신라가 6촌을 6부로 개편할 때 습비부가 되었으며 설(薛)씨 성을 ..

[부여박물관] 부여 석조 (보물 194호), 관북리 왕궁터에서 발견된 백제 왕궁에서 사용했던 수조

석조(石槽)는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 큰 돌을 넓게 파고 물을 받아 사용하도록 만든 일종의 돌그릇으로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많이 사용되었다. 흔히 사찰에서 샘물과 연결하여 물을 담아두는 석조가 오늘날까지 많이 남아 있다. 이는 카톨릭 성당이나 이슬람 사원을 출입하기 전에 손과 발을 씻는 곳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불교의 전파와 함께 사원을 구성하는 요소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석조는 단단한 화강석을 파서 만든 큰 구조물로 그 재료의 견고성 등으로 인해서 삼국시대 이후 만들어진 많은 석조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지금도보물 1523호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불국사 석조는 오늘날까지 불국사를 찾는 사람들에게 시원한 샘물을 제공하고 있다. 부여박물관 중앙에는 백제의 마지막 왕궁터로..

[부여박물관] 야외 정원에 전시된 고려시대 석탑 外

부여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석조문화재 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탑들이다. 석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곳으로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찰의 가람배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으며, 신앙의 중심이 되었던 공간이다. 탑은 석탑, 목탑, 전탑 등 여러가지 재료를 가지고 만들었으며 통일신라시대 감은사지와 고선사지 석탑을 만든 이후에는 2개의 탑을 사찰 중심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그 조각수법 또한 전성기를 이룬다. 통일신라 이후에는 석탑을 세우기 위한 부처님 사리의 희소성때문인지는 몰라도 신앙의 중심이 탑에서 부처를 형상화한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바뀐다. 통일신라 말기부터 정형화되기 시작한 석탑은 고려시대에 들어서는 그 중요성이 많이 떨어져서 그런지 조각수법이 빼어난 석탑이 거의 등장하지 않고..

[부여박물관] 충남지역의 석조불상

부여박물관 야외 정원에 전시된 충남지역의 석조불상들이다. 백제는 초기에 백제의 미소로 잘 알려진 서산마애석불을 비롯하여 태안마애석불 등을 만들기는 했지만, 사찰에 모시기 위한 석조불상은 그리 많이 만들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불교를 도입한 초기에는 불상을 만들기는 했지만, 당시 불교 신앙의 중심을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탑을 중요시했기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의 도읍이었던 웅진과 사비성이 있었던 충남지역에는 백제시대의 석조불상보다는 고려시대 호족들이 만들었던 투박한 형태의 석조불상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많이 남아 있다. 논산 관촉사, 부여 대조사, 논산 개태사, 예산 삽교읍, 아산 평촌리, 부여 정림사지 등 많은 곳에 석조불상들이 남아 있는 곳이며, 그 중 관촉사나 대조사의 불상은 고려..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 (보물 168호), 보문단지 앞 마을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경주시 천군동 마을 농경지 가운데 남아 있는 보물 168호로 지정된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이다. 통일신라시대 가람배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전형적인 '두 개의 탑' 모습을 하고 있는 삼층석탑이다. 원래는 들판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목원한 것으로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형식을 하고 있다. 현재 동탑은 기단과 탑신만 남아 있고, 서탑에는 머리돌 장식이 일부 남아 있다. 머리장식이 남아 있는 서탑의 높이가 7.7m로 전성기 석탑의 위용을 갖추고 있다. 두개의 탑은 같은 양식을 하고 있는데, 2층의 기단부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석가탑과 마찬가지라 기단부와 탑신 몸돌에 특할한 장식을 하고 있지 않으며, 탑신 몸돌 모퉁이에 기둥을 새겨 놓..

경주 남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124호), 형식이 다른 두개의 탑이 세워져 있는 절터

경주 남산 동쪽 서출지 남쪽편에는 불국사처럼 형식이 다른 두개의 탑이 세워져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가 끝나가는 9세경에 세워진 보물 124호로 지정된 이 석탑은 모전석탑 형식의 동탑과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 형식을 하고 있는 서탑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두개의 석탑 배치 등으로 볼 때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사찰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사찰이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남산사 또는 양피사 등이 부근에 있었다는 후대의 기록이 있다고 한다. 부근에는 경주 외각의 오래된 저수지인 서출지와 통일신라 쇠퇴기의 왕릉인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이 있다. 동탑은 탑신은 일반 석탑과 비슷해 보이지만, 기단부가 3칸의 큰 육면체돌을 벽돌처럼 쌓아서 만든 것으로 진흥왕릉 아래에 있는 서악동삼층석탑과 ..

경주 원원사지삼층석탑 (보물 1429호), 통일신라 밀교를 대표하는 원원사 절터에 남아 있는 두개의 탑

경주에서 동남쪽을 20여 km 떨어진 외동읍 모화리 동쪽 산에 위치한 통일신라 밀교의 중심지였던 원원사 절터에 남아 있는 보물 1429호로 지정된 원원사지 삼층석탑이다. 이 석탑은 통일신라 전성기의 정형화되어가던 삼층석탑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절터 가운데 두개의 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두개의 탑은 같은 양식으로 만들어졌으며, 2단으로 기단부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부분적으로 파손된 곳이 많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석탑의 기단부에는 연화좌에 앉아 있는 십이지신상이 새겨져 있으며, 탑신 1층 몸돌에는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무덤 등에는 각 방위를 지키는 신장으로 십이지신상을 새겨 넣는 경우는 많지만 석탑 기단부에 십이지신상을 새긴것..

원주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 (보물 190호), 통일신라 승탑의 형식이 잘남아 있는 고려전기 승탑

원주시 부론면 남한강과 가까운 내륙수운의 교통로에 자리잡고 있는 큰 절터인 거돈사 터에 남아 있던 보물 190호로 지정된 원공국사 승묘탑이다. 이 승탑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사람 집에 소장되어 있던 것으로 1948년 경복궁으로 옮긴 이래 현재는 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다. 현재의 모습은 바닥돌 없이 기단부와 탑신으로 구성된 8각형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양식을 하고 있는 승탑이다. 기단부는 팔각으로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가운데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새겨놓고 있다. 팔각으로 이루어진 탑신부 몸돌에는 사천왕상과 문모양을 새겨 놓고 있으며, 지붕돌을 팔각형으로 기와지붕을 모방하여 새겨 놓고 있다. 전체적으로 구성요소간 비례가 뛰어나며 당시 목조건축물의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한다..

원주 흥법사 진공대사 탑과 석관(보물 365호)

국립 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중인 보물 365호로 지정된 문화재인 흥법사 진공대사 탑과 석관이다. 승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단부의 아래.위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고, 북모양을 하고 있는 가운데 몸돌에는 구름과 용이 뒤엉켜 있는 부조상이 새겨져 있다. 팔각으로 이루어진 탑신의 몸돌에는 꽃무늬가 장시되어 있고, 앞뒤에 자물쇠가 달린 문짝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에 서까래가 표현되어 있고 기와모양을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석관에는 불교경전과 관련 유물들이 담겨 있었다고 한다. 진공대사는 통일신라말기 당나라에 유학을 하고 돌아와 신덕왕의 스승이 되었으며, 고려초에도 태조의 왕사가 되어 두터운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이 부도가 남아있던 원주 흥법사지는 원주 문막읍에서 여주방향으로 연..

양평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보물 361호)

국립 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보리사터에서 발견된 고려 초 승려인 대경대사 탑비이다. 머릿돌에 새겨진 구름과 용의 무늬가 인상적으로 중국에서 많이 본듯한 느낌을 준다. 받침돌은 거북이 모양을 하고 있는데, 비석의 크기에 비해서 작아 보인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활동한 성주산문의 대경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비로 양평 보리사 절터에서 발견되어 경북궁으로 옮겨졌다고 현재는 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비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거북받침돌과 비몸, 머리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거북받침돌에 비해서 용으로 장식되어 있는 머리돌을 크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균형을 잃고 있다. 머릿돌에 새겨진 용무늬 장식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매우 힘차게 조각되어 있다. 대경대사는 처음에는 교..

창원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보물 326호)

국립 중앙박물관 외부에 전시된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은 통일신라시대 후기의 사리탑이지만 다양한 후대의 양식이 보이는 것으로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전체적으로 눈에 띄는 조형미를 갖추고 있지는 않아 보인다. 탑신에는 특별한 조각상이 없고 머리돌 끝에 있는 꽃봉우리 장식이 인상적이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 후기 승려이 진경대사의 사리탑으로 창원 봉림사 절터에 있던 것을 191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중앙박무관으로 옮겨졌다. 이 승탑은 전형적인 8각형 부도로 장식이 많지 않고 조각 수법 또한 빼어나다지는 않다. 기단부는 8각형의 바닥돌위에 안상이 새겨진 아래받침돌과 북모양의 가운데돌, 연꽃모양의 윗받침돌로 이루어져 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몸돌은 가늘고 날렵한데 비해서 지..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국보 39호), 이끼가 끼지 않아 '나원 백탑'이라 불렸던 석탑

경주시 현곡면 나원리 산속에 홀로 남아 있는 나원리오층석탑이다. 높이 9m에 이르는 통일신라 전성기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석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쌓아 올린 석탑이다. 탑의 기단이나 몸돌에 별다른 장식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기단부와 탑신의 비례가 뛰어난 석탑으로 조성당시의 원혀이 크게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2층으로 된 기단부는 그리 높지는 않으나 5층의 탑신을 안정감있게 잘 받치고 있다. 5층으로 이루어진 탑신 1층 몸돌과 지붕돌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며, 위로 올라갈 수록 작아지고 있다. 이 석탑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석탑인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또는 무영탑)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그 조각수법이나 조형미에 있어서 완성되어가는 통일신라석탑의 조각기술을 잘..

경주 정혜사지십삼층석탑(국보 40호), 통일신라 석탑 중 보기 드문 13층으로 이루어진 석탑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이 있는 계곡에 남아 있는 국보 40호로 지정된 정혜사지십삼층석탑이다. 높이 5.9m의 이 석탑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기단부는 단층으로 토축을 쌓아 놓고 있는데 원래의 모습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석탑는 13층의 탑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에만 거대한 몸돌과 지붕돌이 있고, 2층부터는 몸돌.지붕돌이 급격히 작아진다. 기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1층 몸돌에는 4면에 불상을 모시는 감실이 있고, 지붕돌 또한 위층에 비해서 상당히 큰 편이다. 2층부터는 몸돌이 거의 보이지 않아 마치 지붕돌만 13층으로 올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 정혜사지십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만들어진 많은 석탑 중에서도 그 층수가 보기 드물게 13층을 이루고 있으며, 기단 또한 토축을 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