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백제의 지방통치

younghwan 2014. 3. 19. 15:38
반응형


 백제는 기원전 18년 졸본부여에서 남하한 세력이 한강유역 토착세력과 함께 세운 나라이다. 초기 성읍국가 연맹체였던 마한의 소국이었지만, 북방에서 남하한 세력으로 북방유목민과 중국 대륙의 선진 문물과 기술을 바탕으로 점차 한반도 중부지역을 장악하면서 마한지역 전체를 장악하면서 고대국가로 발전하게 되었다. 백제가 남하하는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웅진(공주)로 천도하기까지 왕도 한성(하남 위례성)은 백제 역사의 73%에 해당하는 493년간 왕성으로서 백제의 전성기를 보냈던 곳이다.

 백제는 3세기 중반 한반도 중부지역을 장악하면서 고대국가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4세기 후반에는 고구려를 압박하면서 황해도 일대를 장악하고, 남쪽으로는 남해안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다. 한반도 지역 성읍국가들이 점차 고구려, 백제, 신라의 영역으로 통합되면서, 이전까지 한.중.일 해상무역로 주도권은 중국의 영향을 받는 낙랑, 대방군에서 백제로 넘어오게 된다. 백제는 해상교역로를 장악하면서 중국 남조, 왜와 활발히 교역하면서 두각을 나타나게 된다. 백제의 수도 한성과 전국 각지역은 육상과 해상교통로를 통해 연결되었으며, 육상교통로는 주로 군사적인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었으며, 해상무역로와 한강수운이 실제 교역의 중심이 되는 교통로였으며, 한강유역에 자리잡은 수도 한성은 육상, 해상교통로의 중심이 되었다.

땅을 잇고 물길을 열다.
백제는 3세기 중엽 한반도 중부지역을 장악했으며, 4세기 후반 북쪽으로는 황대도 일대, 남쪽으로는 남해안까지 세력을 넓혀 최고의 전성기를 맞았다. 백제는 각 지방의 주요한 지역에 거점성을 두어 통치하였다. 거점성은 주로 산성이며 하천의 물줄기가 큰 물길과 서로 만나는 교통의 요충지에 배치하였다. 백제는 초기부터 한강 뱃길을 확보했으며 서해안 항로를 개척하였다. 낙랑과 대방이 멸망한 뒤 백제는 서해안 해상권을 독점했으며 중국 및 왜와 바닷길을 통해 활발히 교류하였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한성으로 통하는 길
교통로는 육상교통로와 수상교통로로 나뉜다. 백제 한성기의 육상교통로는 고구려지역과 연결되는 북방교통로와 마한.신라.가야 지역으로 통하는 남방교통로가 있었다. 백제는 북쪽으로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했으며 남쪽으로 마한을 정복하였다. 이때 군사들은 주로 육상교통로를 이용하였다. 수상교통로는 강과 작은 하천을 이용하는 내륙수로와 바다를 이용하는 해상수로가 있다. 백제의 내륙수로에서는 한강이 가장 중요했으며 그 중심에 한성이 있었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백제 수도 한성으로 통하는 길. 한강은 백제의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다. 백제의 도읍 한성은 한반도 중앙을 가로지르는 한강변에 자리하여, 동쪽으로 북한강과 남한강으로 연결되고, 서쪽으로 서해 바다와도 연결되었다. 한강 하류의 김포.고양.하남, 상류의 가평.여주.원주 등에는 백제 한성기 유적이 널리 분포한다. 한강 북쪽에 임진강과 한탄강도 백제의 매우 중요한 교통로였다. 특히 임진강이 흐르는 파주, 연천 등에서 육계토성.칠중성.강내리유적 등 백제의 주요 유적이 발견되었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큰독, 곧은입 항아리(화성 발안리유적)

 
단지, 시루(화성 발안리유적)


병, 사발, 경질무문토기(화성 발안리 유적)


굽다리접시, 사발, 세발 작은단지, 뚜껑(화성 석우리 유적)


시루(화성 석우리 유적)


유적 분포도


단지, 검은간토기(파주 와동리유적)


계란모양토기(파주 와동리유적)


그물추, 경질무문토기(파주 주월리유적)


귀달린접시, 단지, 병, 뚜껑, 검은바리(하남 미사리유적)


곧은입항아리, 검은간토기, 뚜껑접시, 병(원주 법천리유적)

깊은바리, 단지, 단지(가평 대성리유적)

집자리
마한과 백제사람의 집은 기본적으로 땅을 살짝 파고 만든 반지하 형태의 구덩식(수혈식)이다. 청동기시대 이래 집의 평면모양은 대개 원형, 방형, 모를 죽인 사각형 등이었다. 기원 전후부터 건물의 규모가 커지고 출입공간이 따로 분리되면서 본실과 전실로 나뉘는 철(凸)자형, 여(呂)자형 평면으로 발전하였고, 3세기 무렵에는 본실이 육각형인 백제 특유의 형태가 나타났다. 육각형 집자리는 서울과 임진강유역, 남한강 상류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데, 특히 풍납토성 안에서 많이 발견되어 풍납동식 집자리라고도 한다. 육각형 집자리는 다른 형태에 비해 규모가 커서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큰항아리, 단지, 굽다리접시, 병, 작은단지(용인 청덕동 유적)


큰입항아리(용인 두창리유적), 바리(용인 마북동유적)


계란모양토기, 깊은바리, 단지, 잔(군포 부곡동유적)


작은단지, 굽다리접시(용인 수지유적)


단지(오산 수창동유적)


작은단지, 시루, 합, 사발(용인 구갈동유적)


항아리, 작은단지, 사발, 깊은 바리 (안성 도기동유적)


곧은입항아리, 검은간토기, 단지, 계란모양토기, 뚜껑접시, 용인 신갈동유적
 
성(城)
백제는 한성기에 낙랑.말갈.마한.고구려 등과 전쟁을 치루면서 성장하였따. 지방에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주요 요충지에는 산성과 목책을 만들었다. 한국의 성은 지형에 따라 평지성.평산성.산성으로 나뉜다. 국토의 70%이상이 산인 한국에는 산성이 가장 많다. 산성은 높고 경사진 지형을 이용해 흙이나 돌로 방어벽을 쌓았으므로 적이 다가오는 것을 쉽게 알아챌 수 있으며 방어하기도 쉽다. 서울 인근의 대표적인 백제성으로는 육게토성.월롱산성.고모리산성.모락산성.소근산성.설봉산성.망이산성 등이 있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영토확장과 대외진출
백제는 3세기 중엽 이후 마한의 여러 나라를 통합하면서 지금의 경기도 일대는 물론 충청도 일부까지 장악하는 큰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국력을 바탕으로 3세기 후반 중국의 서진에 사신을 파견하여 교류하였다.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에는 북쪽의 고구려와 충돌하며 황해도로 영토를 확장하였고 남쪽의 마한 잔여세력을 공략해 전라도 일대를 영역으로 편입하였다. 한반도 서.남해안의 주요 거점을 확보한 백제는 바다를 통해 이웃나라와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해상강국으로서 전성기를 누렸다. 중국의 역사책 '송서', '양서'와 '양직공도' 등에는 백제가 중국 요서지역에 군화 현을 두어 사스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백제가 중국 요서지역까지 진출하였다는 견해의 근거가 된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지방을 다스리다.
3~5세기에 백제는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다. 새로 얻은 지역에는 중앙에서 관리를 파견하기도 했으나, 대개는 그 지역의 기득권 세력을 회유하고 통제하는 방식으로 다스렸다. 지방의 수장을 회유할 때에는 좀처럼 얻기 어려운 고급물품(위세품)도 내려 주었다. 물품의 종류로는 금동관모.금동신발.고리자루큰칼.도자기.장신구.청동초두.거울 등 다양하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금동관, 국보 295호, 백제 5세기, 전남 나주 신촌리, 복제품


금동관모, 복제품, 공주 수촌리무덤 출토유물

 

허리띠장식, 환두대도, 복제품, 공주 수촌리무덤 출토

허리띠장식, 금귀걸이, 금동신발, 금동관모, 복제품

위세품, 중앙과 지방의 네트워크
백제의 중앙에서 지방의 수장에게 내린 고급물품이 출토된 유적은 원주 법천리, 천안 화성리.용원리, 공주 수촌리, 청주 신봉동, 서산 부장리, 익산 입점리, 나주 신촌리, 고흥 길두리 무덤이 대표적이다. 한편,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 에다후나야마 무덤에서도 백제의 중앙에서 내린 금동관모와 금동신발 한세트가 출토되어 백제의 지배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한성백제박물관>


백제 금동관모 출토 유적


흑유병, 백제 5세기, 공주 수촌리, 복제품


흑유닭모양항아리, 백제 5세기, 공주 수촌리, 복제품

흑갈유항아리, 백제 5세기, 공주 수촌리, 복제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