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이야기

통일신라 불교 구산선문 사굴산문(闍崛山門)과 조계종

younghwan 2021. 5. 27. 17:46
반응형

통일신라 선종(禪宗)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사굴산문(闍崛山門)이다. 사굴산문은 범일(梵日, 810~889년)이 846년에 강릉 사굴산 굴산사(掘山寺)에서 처음 열었다. 범일은 당나라에 유학하여 16년간 머물다 847년 귀국하여 굴산사를 창건한 후 40여 년간 머물면서 선법을 베풀고 제자를 가르쳤다. 범일의 제자 행적은 당나라에 유학한 후 귀국하여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면서 구산선문 중 사굴산문이 가장 번창하게 되었다. 이후 고려 초 혜소국사 혜조(慧照)가 사굴산문을 이끌고 천태종에 밀려 위축되고 있던 선종을 크게 부흥시켰다. 그는 송나라에 유학하여 당시 유행하던 선풍(禪風)과 유교와 융합되는 경향을 체험했으며 왕명으로 송과 거란의 대장경 등을 가져오는 등 고려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 사굴산문에서는 불일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 ~ 1210년)이 불교개혁 운동인 정혜결사를 통해 한국 불교의 주류인 조계종을 이끌었다. 

<굴산사지 승탑(보물 85호), 범일국사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추정된다.>

강릉 사굴산 굴산사(掘山寺)

강릉시 구정면에 위치한 굴산사지(사적448호)이다. 굴산사(掘山寺)는 통일신라 후기(851년)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굴산사는 강릉지역 호족들의 지원을 받았던 사찰로, 굴산사를 창건한 범일국사 또한 이 지역 호족의 후손이다. 절터 대부분은 지금은 농지로 사용되고 있기때문에 정확한 사찰규모와 영역은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에 절터 일부분이 발굴조사되었다고 한다. 절터에는 당간지주(보물86호)와 범일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보물85호)와 석조불상 등이 남아 있다.

<강릉 굴산사지(사적 448호)>
<굴산사지 당간지주(보물 86호)>

2012년 발굴.조사 때 법당, 승방, 회랑, 탑이 있었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고 한다. 굴산사는 전성기 사찰영역의 반경 300m에 이를 정도로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발굴, 조사 중인 건물터>

절터 한쪽편에 있는 작은 샘인 석천은 범일스님의 탄생설화가 남아 있는 곳이라고 한다. 범일은 강릉 지역 민간신앙의 대상으로 숭앙되고 있다고 한다.

<절터 한쪽편에 남아 있는 작은 샘인 석천>

부여 무량사(無量寺)

무량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만수산에 위치한 사찰로 통일신라 때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인근에 있는 성주산문 중심사찰 성주사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고려초에 조성한 오층석탑(보물185호)와 석등(보물 233호) 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크게 번창했던 것으로 보인다. 매월당 김시습이 만년을 보낸 곳으로 조선후기 지역의 중심사찰로 자리잡고 있다. 

<만수산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보물 356호)>
<오층석탑(보물 185호)과 석등(보물 233호)>
<영산전을 비롯한 불전들>

매월당 김시습이 머물렀던 흔적으로는 영각에 모셔진 김시습 초상화(보물 1479호)와 그의 승탑이 있다. 김시습의 무덤이라 할 수 있는 승탑 앞에는 막걸리가 항상 놓여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임을 알 수 있다. 

<김시습 초상이 모셔진 영각>
<영정각에 모셔진 김시습 초상화(보물 1479호)>
<김시습 승탑>

순천 조계산 송광사(松廣寺)

송광사(松廣寺, 사적 506호)는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와 함께 3대사찰로 여겨지며 수행을 중시하는 승보사찰로 불리우고 있다. 통일신라 때 창건된 길상사라는 작은 사찰이 있었는데, 고려중기 보조국사가 불교개혁 운동인 정혜결사의 중심지로 삼으면서 송광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송광사는 크고 작은 불전들이 불전이 있기는 하지만 그 규모가 크거나 유서깊은 내력을 가진 불전은 많지 않다. 반면에 승려들이 수행하는 공간인 승방이나 요사채가 상당히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송광사를 대표하는 국사전(국보 56호)도 원래는 승려들이 수행하는 공간이었으며, 고려말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는 하사당(보물 263호) 또한 승려들이 수행했던 공간이다. 전성기 때 송광사에는 많은 승방들과 사찰 관련 일을 보던 사람들이 살던 건물들로 아주 큰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고 한다. 

<보조국사 감로탑>

송광사는 축대를 쌓아 공간을 조성하여 질서를 추구하는 전통적인 사찰 가람배치와는 달리 동.서로 흘러내리는 계곡을 중심으로 전각을 배치하여 편안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주고 있다. 입지조건이나 가람배치 등에 있어 수행중심 공간으로서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순천 송광사>
<송광사를 대표하는 장면으로 손꼽히는 삼청교 주변>
<주불전인 대웅보전>
<영산전(보물 303호)>
<약사전(보물 302호)>

송광사는 수행도량이라는 사찰의 성격에 걸맞게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크고 작은 요사채 건물들을 두고 있다. 대웅전 뒷편 언덕에 고승들의 영정을 모신 국사전(국보 56호)를 중심으로 하사당(보물 263호), 상사당, 응진당, 시자실, 설법전 등 유서깊은 요사채 건물들이 모여 있는데 이 공간은 담장으로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수행을 위한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승방들이 모여있는 수행공간>
<국사전(국보 56호)>
<하사당(보물 263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