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극락전 10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1574호), 봉암사에서 제일 오래된 작은 불전

문경 봉암사 경내에 남아 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전이다. 이 불전은 외관상 2층건물처럼 보이는 독특한 형태의 건물을 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단층건물이지만, 바깥쪽에 1칸씩 차양칸을 둘러서 2층건물처럼 보인다. 이건물은 신라 경순왕이 피난하였다는 건물이라고 하나, 현재의 건물은 대체로 조선 중.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원래 불전이 있었던 자리로 기단과 초석은 고려시대 것이라고 한다.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 자락에 위치한 봉암사는 통일신라 헌강왕 때 지증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시대 선종 구산선문 중 희양산파의 본산이기도 하며 고려초 정진국사가 크게 중창하였다고 한다. 봉암사는 직지사의 말사이기는 하지면 대표적인 참선도량으로 해방이후 참선..

부여 무량사 극락전 (보물 356호), 삼국시대 장륙전의 모습이 남아 있는 불전

부여 무량사는 통일신라 말기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세한 내력은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다만 조선초 생육신의 한사람인 김시습 선생이 말년에 이 사찰에 머물다 세상을 떠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무량사는 부여군에 속해 있는 만수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지만 실제로 부여읍에서는 거리가 떨어진 곳으로 보령시와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무량사 극락전은 우리나라 사찰 불전 중 삼국시대 지어진 황룡사나 미륵사에 있었던 큰 불전인 미륵불을 모신 장륙전과 비슷하게 외부에서는 2층, 내부는 단층으로 이루어진 불전이다. 남아 있는 불전 중 비슷한 형태로는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대웅전을 들 수 있다. 이런 사찰들은 대부분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대형사찰들로 전란과 조선시대 억..

강진 월출산 무위사, 극락전으로 유명한 남도답사일번지

강진 월출산 무위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중의 하나인 극락전으로 유명한 사찰이다. 월출산 자락 아래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 바다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사찰이다. 이 무위사는 산중턱도, 계곡도 아닌 도로 옆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지만, 인가가 많은 지역에서는 약간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한 작은 암자규모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후대에 도선국사가 중건하여 사찰규모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근처에 있던 월남사는 폐사가 되었지만 무위사는 그 명맥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이 사찰에는 원래 국보로 지정된 극락전 외에는 불전이 거의 없었다고 전해지며, 최근에 여러 불전을 짓고 경내 마당도 넓혀서 큰 사찰같은 분위기를 주고는 있다. 사찰 경내에는 고려시대에 세운 작은..

전국 사찰 2010.09.12

안동 봉정사,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 극락전이 있는 안동지역의 고찰

안동 봉정사는 안동과 화회마을이 있는 풍산 그리고 영주 사이에 있는 부석사와 함께 경북 북부지역을 대표하는 고찰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인 봉정사 극락전이 있다. 봉정사가 있는 경북 북부지역은 도산서원, 병산서원을 비롯한 많은 서원들과 많은 종택들로 대표되는 유학이 강조되는 지역으로 봉정사가 이 곳 사회에서 유림들과 공존하면서 오랜 세월을 지내왔다는 사실 또한 많은 사람을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봉정사가 있는 지역은 교통이 편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지나가는 곳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과는 멀지도 않으면서, 약간 깊은 산중에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들을 가진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사찰들인 예산 수덕사, 영주 부석사와 비슷한 위치와 구조를 가지고..

전국 사찰 2010.09.12

안동 봉정사 극락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대표적인 고려 주심포 건축 양식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알려져 있고, 봉정사를 대표하는 불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봉정사 극락전을 처음 보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황하게 된다. "이렇게 새 건물 같은 봉정사 극락전이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라니???"라는 느낌을 가지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목조 건축물의 특성상 오랜 세월동안 중수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일 것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찬찬히 건물을 뜯어 보면 맞배지붕을 하고 있고 고려의 주심포 건축 양식이 아주 선명하게 남아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이 봉정사 극락전은 다른 불전에 비해서 다른 양식을 하고 있다는 것도 인상적인 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

강진 무위사 극락전(국보), 직선적인 단아함이 뛰어난 조선초기 건축물

강진 무위사는 월출산 남쪽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크지 않은 사찰로 남해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모양으로 남해보살로도 불리는 관음보살을 위해 원효대사가 지은 사찰로 알려져 있다. 무위사는 국보로 지정된 조선초기 건축물인 극락전을 잘 알려져 있는 사찰로 극락전 건물을 보면 무위사가 추구했던 단아함, 간결함, 절제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무위사 극락전. 조선 세종때 지은 건물로 앞면3칸, 옆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조선초기 건축물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직선적이고 간결하게 만들어졌다. 측면에서 본 무위사 극락전. 사람 인(人)자 모양이 지붕을 하고 있다. 봉정사 극락전과 비슷한 모양새이지만 건물전체적으로는 본당으로서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선전기에 유행한 주심포계 형식의 공포이다. 주심포계란 공포가 ..

서울 봉원사, 불전들 (반월전, 극락전, 미륵전)

봉원사는 한양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사찰로 신라 진성여왕때부터 존재해 왔다고 전해진다. 불교 종파 중 태고종의 총본산으로 고려 공민왕때 개혁 승려인 보우스님이 크게 중창하였고, 영조대왕이 봉원사 편액에 글씨를 하사할 정도로 번창했던 사찰이다. 하지만 서울에 있었던 까닭에 사찰의 규모가 지방의 사찰에 비해서 작고 대웅전은 한국전쟁 때 타 버렸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전각 중에서는 극락전과 만월전, 칠성각이 오래된 건물로 보이며 다른 건물들은 대부분 최건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봉원사 만월전. 만월전은 과거불인 약사여래를 모시는 불전으로 보통 약사전으로 불리지만 봉원사에서는 만월전으로 부른다. 봉원사 극락전. 미래불인 아미타불을 모신 불전으로 무량수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봉원사에서는 특이하게 유리창문으로..

경주 불국사 극락전, 무한도전에 등장한 황금돼지로 유명해진 곳

불국사에서 대웅전과 두개의 탑이 있는 영역 다음으로 중요한 영역으로 생각되는 극락전이 있는 영역입니다. 불국사 극락전이 있는 영역에는 두개의 탑은 없고 극락전 앞 마당에는 석등만이 홀로 서 있습니다. TV 쇼 '무한도전'에서 소개된 황금돼지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의 호기실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불국사 극락전이 있는 영역 또한 축대를 쌓아 평지처럼 만들어서 평지 사찰의 특징인 회랑으로 둘러져 있습니다. 불국사 극락전에는 국보인 통일신라시대 3대 불상중의 하나인 '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佛國寺金銅阿彌陀如來坐像)'이 모셔져 있으나, 관심있게 보는 사람은 드물고 대부분 황금돼지만 찾고 있습니다. 토함산 불국사 가람배치의 특징으로 중심 불전인 대웅전 서쪽편 아래에 축대를 쌓아도 대웅전이 있는 영역의..

경주 토함산 불국사 - 극락전 회랑과 출입문인 안양문

불국사 중심영역인 대웅전 경내보다 한단계 낮은 곳에 있는 극락전도 하나의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회랑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극락전 경내는 대웅전과는 달리 탑이 없고 마당 한가운데에 석등만이 홀로 서 있습니다. 불국사 극락전은 연화교.칠보교의 계단을 걸어 올라서 안양문을 통해서 경내로 들어올 수 있으면 사방으로 둘러싸인 회랑에 있는 문을 통해서 대웅전, 법화전지를 출입할 수 있습니다. 불국사 연화교.칠보교 계단을 걸어올라서 안양문을 지나면 극락전 경내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국보로 지정된 연화.칠보교를 걸을 수는 없습니다. 불국사 극락전 경내에서 본 안양문과 안양문 양쪽의 회랑입니다. 안양문을 들어서면 황금돼지 모형이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불국사 안양문 외부에서 본 안양문과 ..

양산 영축산 통도사 - 극락전

양산 통도사는 우리나라의 불보 사찰답게 다양한 종류의 법당들이 있습니다. 그 중 사천왕문을 지나면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건물이 극락전입니다. 정면을 서쪽 서방세계를 향하고 있고 앞 마당에는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극락보전입니다. 내부에 불상이 살짝 보입니다.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우측편에 볼 수 있는 건물이 극락전입니다.석탑과 마주 보고 있는 극락전, 통도사란 절의 규모에 비해 크지 않은 듯 합니다.안내표지판아미타여래를 봉안하는 극락전은 아미타전이라고도 하며, 또 극락세계에서 영원히 평안한 삶을 누린다 하여 무량수전이라고도 한다. 아미타여래가 다스리는 곳이 서방 극락 정토이기 때문에 극락전은 언제나 중심 불전의 서쪽에 위치하여, 참배하는 사람들이 그곳을 향하도록 세워져 있다. 극락정토는 고통이 전혀 없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