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조선시대 10

보은군 동헌, 고을 수령이 업무를 보는 건물

옛 보은군 관아터에 남아 있는 동헌이다. 동헌은 지방 수령이 업무를 보던 사무실에 해당하는 건물이다. 건물 내력은 정확하게 남아 있지 않으나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 순조때 크고 고쳐지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7칸으로 오른쪽에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왼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 동쪽 1칸과, 안쪽을 높게 만들어 누마루 형태를 하고 있다. 조선후기 관아 건물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은군 읍소재지 옛 관아터에 남아 있는 동헌. 앞면 7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왼쪽편에 앞면 4칸 규모의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있다. 대청마루 안쪽과 오른쪽 1칸을 높게 만들어 누마루와 같은 효과를 주고 있다. 조선후기 관아건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대청마루 앞 통로 역활을 하는 툇마루. 뒷편에서 본 모..

조선 관아 2017.02.07

함양 안의 광풍루

조선시대 안의현 읍치였던 함양군 안의면 소재지에 남아 있는 광풍루(光風樓)이다. 남강이 내려다 보이는 읍치 동쪽편에 선화루라는 이름으로 조선초기에 처음 세워졌다. 조선중기 안의현감을 지낸 정여창이 광풍루라 이름을 붙였다. 관아에서 공식적인 연회나 회의를 위해서 세운 2층 누각으로 앞면 5칸, 옆면 2칸의 비교적 큰 규모이다. 내부는 넓은 마루로 되어 있으며, 사방이 뚫려 있다. 시골이지만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남강과 읍치의 옛 풍경은 남아 있지 않지만, 웅장한 누각의 모습은 잘 남아 있다. 안의현(安義縣)은 경남 함양군 안의면과 주변지역이 설치되었던 조선시대 지방행정 조직이다. 이 지역은 덕유산 남쪽의 여러 갈래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에 자리잡고 있는데, 덕유산에서 발원한 남강을 중심으로 마을이나 농경..

조선 관아 2016.08.30

함양 남계서원(사적 499호)

조선중기 학자이자 관리였던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함양 남계서원(사적 499호)이다. 이 서원은 영주 소수서원에 이어 두번째로 세워진 서원이다. 아래쪽에 강학공간인 강당과 동.서재를 두고 위쪽에 사당을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처음으로 구현한 서원으로 후대 세워진 서원들의 모범이 되었던 곳이다. 문루, 강당, 동.서재, 경판고(장판각), 내삼문, 사당, 전사청, 고직사 등 서원이 갖추어야 할 건물을 제대로 갖추고 있다. 대원군의 서월철폐령에도 살아 남은 전국 47개 서원 중 하나로 서원건축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정여창(1450~1504년)은 성종대에 활동한 인물이다. 조선중기 사림세력을 이끌었던 김종직 문하에서 김굉필과 함께 수학하였다. 성종 때 여러차례 관직에 추천되었으나..

부여 부여현(扶餘縣) 관아 객사(客舍)

부소산성 아래 삼국시대 백제 왕궁터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건물 중 하나인 부여 객사(客舍)이다. 객사는 조선시대 관아의 중심건물로 국왕을 상징하는 궐패(闕牌)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건물이자 공식적으로 지역을 방문한 중앙 관리나 외국 사신이 묵을 수 있는 숙소이다. 건물은 궐패를 모시는 정당(正堂)을 가운데에, 양쪽에 좌.우익랑을 두고 있다. 정청은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좌.우익랑은 앞면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부여 객사는 구한말인 1869년에 지은 건물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부여박물관 전시실 등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부여객사가 있는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일대는 삼국시대 백제의 왕궁터였던 곳으로 조선시대에는 부여현 관아가 있었다. 이곳에는 옛 부여박물관이 있었으며, 관아 건물로는 객사..

조선 관아 2015.03.26

부여 부여현(扶餘縣) 동헌

부여읍 옛 부여박물관 마당에 남아 있는 부여현 관아 건물 중 동헌이다. 동헌은 고을 수령인 종6품 부여현감이 재판이나 민원인 알현 등 공식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공간이다. 건물은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지방관아 동헌 중에서는 작은 편이다. 왼쪽 3칸은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으며, 오른쪽 2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으며, 앞쪽에 툇마루를 놓았다. 대청마루 처마 밑에 '초연당(超然堂)'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인 1869(고종6)에 지은 것이라 한다. 부여현(扶餘縣)은 백제의 마지막 수도연 사비성에 설치된 지방행정단위이다. 백제가 멸망하면서 부여도독부가, 통일신라시대에는 부여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공주와 병합되었다가 조선초 독립하여 부여현이 되었다. 조선시대..

조선 관아 2015.03.12

김포 통진이청(通津吏廳), 관아 아전들이 근무하던 곳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옛 통진도호부 관아터에 남아 있는 관아 건물인 통진이청(通津吏廳)이다. 구한말 병인양요 직후인 1869년에 중건된 건물로 관아 실무자인 이방을 비롯한 아전들이 근무하던 곳이다. 건물은 앞면 7칸으로 비교적 큰 규모이다. 통진군이 김포군과 합병된 이후 주택으로 사용하다가 최근에 복원되었다. 통진도호부는 오늘날 김포시의 서쪽편에 위치한 지역으로 월곶면, 통진면, 하성면 일대를 포함하며, 읍치는 문수산성 동쪽편에 오늘날 월곶면사무소가 있는 군하리 일대에 자리잡고 있다. 옛 통진도호부 관아가 있던 자리에는 면사무소와 초등학교 들어서 있다. 관아의 흔적으로는 면사무소 내에 남아 있는 고목들과 이방청 건물, 선정비 등이 있으며 근처에 중등교육기관인 통진향교가 남아 있다. 옛 통진도호부 관아 건..

조선 관아 2015.01.19

[청주박물관] 학문과 충절의 본향

한반도 중앙에 위치한 충북지역은 영남지방과 한강유역을 연결해 주는 육로와 남한강, 금강을 이용한 내륙수운이 발달한 지역으로 역사이래로 한강유역과 한반도의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중요한 지역이었다. 한반도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삼국간 치열한 전쟁이 있었던 삼국시대에는 많은 산성을 비롯한 국방유적들이 한강과 금강유역을 비룻한 주요 교통로에 남아 있으며, 주거유적 또한 많이 발굴되는 편이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국교였으며, 지방호족들이 주요 교통로에 세운 사찰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이며, 그 중 일부는 오늘날까지 사찰로서 유지되고 있으나 많은 사찰들은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폐사되어 그 절터만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조선시대에는 한강유역을 다투던 전쟁이 임진왜란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었고, 불교 또한 크게 번성하지..

지역박물관 2013.02.11

서울 문묘 성균관, 조선시대 공립 교육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가장 오래된 대학

성균관의 정식명칭은 서울 문묘로서 제례와 교육을 담당하는 기능이 있으며 성균관은 보통 향교나 서원은 뒷편 안쪽에 제사를 올리는 사당이 있고, 앞쪽에 교육을 담당하는 건물이 있으나, 성균관은 제사 기능을 하는 대성전이 앞쪽에 있고 강당인 명륜당이 뒷편에 자리잡고 있다. 성균관에서 교육기능을 담당하는 영역으로 강당인 명륜당,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도서관인 존경각, 관리들이 근무하던 정록청, 제2과장이 열렸던 비천당이 있다. 명륜당 앞에는 넓고 높은 월대가 있고, 지붕에는 잡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격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명륜당 앞에서는 조선시대 과거도 많이 치러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명륜당은 성균관의 상징적인 건물로 주변 동네 이름도 명륜당에서 이름을 따서 명륜동이다. 성균관에서 제..

영조가 당쟁을 없애려 세운 성균관 탕평비

성균관 대학을 들어가는 입구에는 영조가 세운 탕평비가 있다. 아마 당시 당쟁의 중심이 성균관 이었던 모양이었는지 성균관에 탕평비를 세웠다. 예나 지금이나 학생들은 말을 잘안들어서인지 영조시대에도 탕평책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당쟁이 해소되지는 못한것 같고, 결국 그것이 조선을 멸망에 이르게 한 원인이 되었던 것 같다. 영조가 세운 탕평비입니다. 《예기》 가운데 한 구절인 <周而弗比 乃君子之公心 比而弗周 寔小人之私意(신의가 있고 아첨하지 않는 것은 군자의 마음이요, 아첨하고 신의가 없는 것은 소인의 사사로운 마음이다)>가 적혀 있습니다. 성균관 대학 입구에 있는 성균관 탕평비 뒷면에 적힌 글씨입니다. 성균관 탕평비 기단과 지붕입니다. 성균관 탕평비가 있는 누각은 성균관 대학 입구에 있습니다. 역사는 참 가까..

[국립중앙박물관 역사관] 조선시대 중앙관청의 출판

조선은 교서관.주자소.규자각 등 출판 관련 중앙부서을 두고서 조선실록을 비롯하여 상당히 많은 분량을 책을 출판하였던 국가이다. 국가라 할 수 있는 중앙관청에서는 유교서적.역사책.법전을 비롯한 관청의 업무에 필요한 필요한 책을 출판하였으며, 출판된 책은 국가 부처에서 보관하거나 상으로 관리들에게 하사하거나, 지방 관청으로 보내서 복제품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오륜행실도를 찍은 한글 나무활자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한글 나무활자가 소장되어 있다. 그 중 여기에 전시된 나무활자는 '오륜행실도'를 찍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이 활자는 츶면의 모양이 사다리꼴인 다른 활자와 구별되는 , 직방형의 육면체로 바닥도 평평하다. 또한 글자 모양은 붓으로 쓴 듯한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

중앙박물관 2010.02.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