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한강나루 3

고양 행주나루터와 먹거리촌이 형성된 행주산성마을

행주산성 아래 행주대교 부근에는 1978년 행주대교가 건설되기 전까지 많은 사람이 오고가던 행주나루터가 있다. 행주나루는 옛 양천현 공암진(개화산 부근) 나루와 연결되며, 한강 하류에서는 일산 이산포나루와 함께 중요한 나룻터였다. 행주나루는 남쪽 부평, 부천 지역과 북쪽 고양, 파주를 연결해 주는 육상교통로의 주요 나루이자 한강수운을 이용하는 세곡선을 비롯하여 화물선들이 서해안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기 위해 잠시 쉬어가던 나루였다. 행주나루의 한성백제시기부터 중요한 교통의 요지로 행주산성에는 지금도 백제가 쌓았던 토성이 남아 있다. 행주산성 아래 나루터 부근은 1970년대 행주대교가 세워지기 전까지도 나루가 운영되었으며, 나루를 오가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던 마을로 한강이북 수도권에서는 명동성동, 약현성당 ..

한국의 풍경 2014.02.11

[서울역사박물관] 도성밖 성저십리와 한강나루

조선시대 성저십리는 도성밖 10리까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대체로 북으로는 북한산, 남으로는 한강, 동으로는 중랑천, 서로는 홍제천까지 지역을 일컫는다. 이들 지역은 도성안과 함께 오늘날 서울시청에 해당하는 한성부 관할 지역이었으며, 지금의 그린벨트처럼 많은 규제를 받던 지역이었다. 성서십리 지역은 성묘, 벌목 등이 금지되었으며, 농사를 짓거나 주민이 거주하는데에서 많은 규제를 받았기때문에 조선초기에는 인구가 상당히 적었다고 한다. 조선중기 이후 지방에서 서울로 인구가 유입되고, 상업이 발전하면서 상업에 종사하거나 날품을 파는 빈민을 중심으로 이들 지역에 사는 인구가 증가하여 조선후기에는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성밖에 거주하였다고 한다. 한양도성 밖에는 숭례문(남대문), 돈의문(서대문), 흥인문(동대문..

지역박물관 2013.11.22

[중앙박물관 조선실] 서울과 지방, 조운과 조창

조선시대를 이야기할 때는 주로 국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정치와 사회, 과거제와 관료제, 붕당정치 등을 위주로 하기때문에 지방의 통치조직이나 통치제도에 대해서 논하는 경우는 별로 많지 않다. 특히, 조운과 교통로, 도시의 발달과 역할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았다. 작년에 개편된 중앙박물관 조선실에는 조선시대 지방통치와 조운, 교역과 상업의 중심이었던 나루와 포구에 대해서 잘 정리해 놓고 있다. 전시된 내용 중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조선시대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화가인 김홍도가 그린 을 들 수 있다. 옛말에 "평양감사도 저하기 싫으면....."이라는 말이 실감할 수 있는 화려한 잔치그림이다. 여러 문헌과 연구자료 등에서 조선시대 관료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경제력의 근간이 되는 지방수령들..

중앙박물관 2011.02.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