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독무덤 3

[경주박물관 고고관] 4~6세기 신라토기, 독무덤, 수레모양토기

신라토기는 4세기 후반에 다리에 엇갈린 구멍을 뚫은 굽다리토기가 출현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되는데 회전하는 물레를 사용하여 형태를 빚은 뒤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밀폐된 가마에서 구워서 얇고 단단한 그릇을 만들게 된다. 신라토기는 그릇 종류로 큰 항아리, 굽다리접시, 잔, 그릇받침 등 다양한 종류가 출토되고 있으며 가야 토기에 비해서 직선적인 것이 특징이다. 4~6세기에는 경주 월성 북서쪽으로 많은 왕이나 귀족층 등의 무덤들이 많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들 고분에선 금관을 비롯한 금속세공품과 더불어 상당히 많은 양의 토기들이 같이 출토되고 있다. 그 중 황남대총에는 4천여점의 토기들이 껴묻거리로 묻혀 있었다. 고분에 묻힌 토기들은 다량의 껴묻거리를 만들기 위해 대량생산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 사용하..

지역박물관 2011.10.11

[경주박물관 고고관] 신라의 성립, 무덤의 변천과 껴묻거리용 와질토기

지금까지 남아 있는 삼국시대 이전의 유물들은 대부분 지배층의 무덤인 고분 발굴을 통해서 출토된 것들이다. 고조선에서 시작해서 삼한, 가야, 삼국의 고분들은 그 형태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어 보이며 가야를 제외하고는 초기에는 대부분 평지에 무덤을 조성하고 있으며, 후대에 들어서는 대부분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낮은 구릉에 무덤을 조성하고 있다. 무덤은 초기에는 현재와 비슷한 나무로 된 널무덤이 주를 이루었으며 후대에 들어서면서 돌무지 덧널무덤,굴방을 만드는 석실분으로 변했으면 특이한 형태로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독무덤의 형태를 한 곳도 있다. 후대에 화장이 성행하면서 뼈항아리를 묻는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유물들은 대부분 무덤의 껴묻거리 형태로 매장되었는데 묻힌자들이 권위와 지위를 말해 주고 있다. 금관을 ..

지역박물관 2011.10.01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영산강 유역의 백제문화, 독무덤과 움무덤

영산강 유역은 마한시대부터 토착세력이 발전한 곳으로 3세기 후반 ~ 4세기 초에 독널무덤이 만들어지기 시작였다고 한다. 독널은 금동관, 금동신 등 화려한 꾸미개와 무기가 출토되기도 한다. 그래서 마한 이후의 이지역 토착지배세력의 무덤으로 보고 있다. 영산강 유역의 고분은 나주 반남면을 중심으로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영산강 일대에 많은 곳에서 당시의 무덤이 발견되고 있다. 전남 영암에서 출토된 전형적인 영산강 유역의 독무덤에서 발굴되는 독널. 독널은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사용된 양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한성 백제기에 영산강 유역에서 유행했다고 한다. 나주 반암면 신촌리고분. 나주 반암면 일대 신촌리, 대안리, 덕산리에 많은 고분들에서 독무덤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영산강 유역 독무덤에 출토된..

중앙박물관 2010.01.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