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수레모양토기 2

[경주박물관 고고관] 4~6세기 신라토기, 독무덤, 수레모양토기

신라토기는 4세기 후반에 다리에 엇갈린 구멍을 뚫은 굽다리토기가 출현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되는데 회전하는 물레를 사용하여 형태를 빚은 뒤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밀폐된 가마에서 구워서 얇고 단단한 그릇을 만들게 된다. 신라토기는 그릇 종류로 큰 항아리, 굽다리접시, 잔, 그릇받침 등 다양한 종류가 출토되고 있으며 가야 토기에 비해서 직선적인 것이 특징이다. 4~6세기에는 경주 월성 북서쪽으로 많은 왕이나 귀족층 등의 무덤들이 많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들 고분에선 금관을 비롯한 금속세공품과 더불어 상당히 많은 양의 토기들이 같이 출토되고 있다. 그 중 황남대총에는 4천여점의 토기들이 껴묻거리로 묻혀 있었다. 고분에 묻힌 토기들은 다량의 껴묻거리를 만들기 위해 대량생산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 사용하..

지역박물관 2011.10.11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신라실2 - 삼채뼈항아리, 수레모양토기, 독무덤, 항아리

삼국시대 신라의 매장 풍습을 보여주는 유물들로 독무덤, 뼈항아리 등과 함께 다양한 테라코타들이 부장품으로 함께 묻혔던 것 같다. 예술적인 멋을 보여주는 유물은 많지 않은 것 같고, 당시의 생활상, 정신세계 등을 간접적으로나마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수레모양의 토기를 보면 거의 현재까지 변하지 않은 수레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경주 조양동에서 발굴된 8세기 경의 삼채뼈항아리 경주조양동. 중국에서 유래한 연유도기 기술이 신라로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삼채도자기는 중국 한대(漢代) 연유(緣釉)나 갈유(褐釉)와 같은 저화도 연유도기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당대(唐代)에 다채로운 색으로 만개되었다. ‘삼채’라는 명칭은 주로 사용된 갈색, 녹색, 백색의 세가지 빛깔로 인해 붙여졌으며, 동물·인물을 비롯한 다..

지역박물관 2009.06.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