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수표 6

[경기도박물관] 국왕의 통치와 정치 관련 문서

조선시대는 국왕을 중심으로 한 유교사회로 국왕과 관련된 많은 문서들로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조선왕조실로과 승정원일기등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서 정치란 국가의 통치와 관련된 사회적 활동으로 대부분은 국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사회에서는 기록으로 남겨 놓고 있다. 이런 정치와 관련된 것으로는 국왕을 중심으로 사관들이 당대의 역사를 기록한 실록,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승정원에서 기록한 승정원 일기, 국가의 기본이 되는 경국대전과 같은 법전, 왕의 명령을 적은 교서, 교지와 유지, 관청간 오고간 문서, 신하가 왕에게 올린 글인 상소문, 왕의 비공식적인 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문서들이 있다. 이들 문서들은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를 받은 신하들이 이런 문서들을 집안의 보물로 ..

지역박물관 2012.01.15

서울 청량리 세종대왕기념관

서울 청량리 옛 명성황후 홍릉의 능역 안에 세워진 세종대왕기념관이다. 우리나라가 한참 경제개발을 준비하던 60년대말에 세워진 이 곳 세종대왕기념관이 세종대왕과 별로 관련이 없는 홍릉 능역에 세워진 것은 논리적으로는 잘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주변이 70년대 경제개발의 브레인 역할을 하던 곳이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왕릉이 있는 지역은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국유지로 남아 있었고, 해방이후 서울 부근의 활용가능한 국유지인 능역에는 많은 관공서들이 들어섰었다. 그 중 홍릉능역은 70년대 경제개발의 브레인역할을 했던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연구원(KEIT) 등 국가 산업 및 기술정책을 주도하고 이끌었던 기관들이 많이 들어섰고, 지금도 대부분 그런 기..

한국의 풍경 2010.10.14

수표, 청계천 수위를 측량하던 장치 (보물 838호)

서울 청량리 명성황후 홍릉이 있었던 자리에 조성된 영휘원 뒷편으로는 세종대왕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 지금 기준으로는 그리 크지 않은 건물로 약간을 낡은 분위기를 주고 있는 곳이지만, 아마도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낮았던 60년대에 세워져서 그런것으로 보인다. 세종대왕 기념관 건물 앞에는 보물 838호 지정된 청계천 수위를 측정하던 장치인 수표가 서 있다. 수표는 조선 세종때 강우량을 측정하더 측우기와 함께 기상현상을 측정하던 시설이다. 세종때 만든 수표는 나무로 만들었으며, 촌.푼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었다고 한다. 현재의 수표는 청계천 수표교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성종때 만든 수표를 개량하여 영조때 만들어 설치한 것이라 한다. 청계천 수표교에 설치되어 있던 수표. 60년대 청계천 복개공사를 하면서..

세종대왕 능 (영릉) 전시물 - 자격루, 풍기대, 측우기

☞ 자격루 자격루는 조선 세종 16년(1434년)에 장영실 등이 제작한 물시계로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저절로 움직여 자동으로 시각을 알려주는 장치를 부착한 것이다. 자격루의 작동원리는 파수호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이 수수통에 고이면 시각의 눈금이 있는 살대가 떠오르면서, 지렛대 원리의 자동조절장치를 움직여 스스로 종과 북과 징을 쳐 시각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었다. 이 자격루는 16세기초 중종때 개량되었으나 지금은 복잡한 자동시보장치가 없어지고 3개의 파수호와 2개의 수수통만 남아 덕수궁에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본떠 제작한 것이다 ☞ 풍기대 풍기대는 바랑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는 바람 깃발을 세운 풍향기의 대이다. 세종시대에는 농업기상학이 발달하여 기상관측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강우량의 측정과 함께 풍..

청계천 수표교, 하천 수위를 측정하는 수표가 있던 다리

서울 장충단 공원 옆을 흐르는 개천에는 옛날 청계천에 있던 돌다리 중의 하나로 청계천 수위를 측정하던 수표가 설치되었던 다리인 수표교가 옮겨져 설치되어 있다. 60년대 청계천을 복개하면서 이 곳으로 옮겼다고 하는데, 청계천 돌다리 중 원형대로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다리인 것으로 생각된다. 청계천 다리는 조선초 태종부터 세종때까지 돌다리로 건설되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 토목기술을 볼 수 있는 하나의 샘플같은 다리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는 아치교를 많이 세웠는데 청계천 돌다리는 화강석으로 조립식에 가깝게 다리를 건설하고 있는데, 아마도 큰비가 왔을 경우 무너지는 경우가 많아서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수표교에 설치되어 있던 수표는 이 곳에 같이 있다가 현재는 세종대왕기념관으로 옮겨..

[공주박물관 특별전] 공주의 명가 - 영월엄씨(수표,준호구), 장기정씨

영월 엄씨는 관직에 많이 등용한 집안은 아니지만 공주지역에서 유력가문으로 지위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수표, 준호구 등 실생활과 관련된 유품들이 많이 전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장기정씨도 관직에 등용한 인물이 많은 집안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향약절목 등 실생활과 관련된 유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엄전 준호구 嚴絟準戶口(1687). 당시의 호적과 같은 기능을 하는 문서. 한성부의 용산방 2리에 사는 엄전(4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로, 처는 덕수이씨(德水李氏)로 51세이며 48세 때에 기록되지 않았던 딸(26세)이 유학 이명배(李命培, 22세)와 혼인(본관은 全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공주로 처음 입향했다고 전하는 유학 한중(漢重, 24세)이 전주이씨(全州李氏, 24세)와 혼인하였음이 기록되어 있다...

중앙박물관 2009.12.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