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웅진전 4

운길산 수종사, 대웅전을 비롯한 불전들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는 산중턱에 위치하고 있는 조그만 암자같은 사찰로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지는 두물머리를 내려다 보고 있다. 수종사는 조선초기에 중창한 사찰로 한강이 흘러가는 모습을 보면서 수양을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 사찰로 보인다. 이 수종사의 중심불전은 대웅전으로 조선시대 사찰의 일반적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대웅전 외에 보조적인 불전으로 웅진전과 약사전을 두고 있으며 운길산 산신을 모신 것으로 보이는 산신각이 있다. 대웅전 왼쪽편 언덕에 위치한 웅진전에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수종사가 수행 도량임을 말해 주는 것 같다. 운길산 수종사 중심 불전인 대웅보전.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2칸의 평이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대웅전 앞에는 건물을 세우지 않고 있어 한강의 두물머리가 있는..

가야산 해인사, 불전들(대비로전, 웅진전, 명부전, 독성각, 국사단, 학사대 전나무)

해인사는 신라시대부터 존재해 온 아주 오래된 사찰이지만,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 판전을 제외하고는 유서깊은 사찰전각이 별로 없는 편이다. 현재 중심불전인 대적광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비로전, 웅진전, 명부전이 있다. 토속신앙과 관련된 전각으로 사찰입구에 국사단이 있는데 이는 보통 사찰의 산신각에 해당하는 전각이고 뒷쪽에는 또다른 민간신앙의 대상인 독성각이 있다. 대부분 오래되어 보이지는 않는 불전이다. 해인사 국사단. 국사단은 국사대신을 모신 단으로서 국사대신은 도량이 위치한 산국을 관장하는 산신과 토지가람신을 가리킨다. 가람을 수호하는 신을 모셨기 때문에 도량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해인사 웅진전. 오래된 전각으로 보이지는 않고, 해인사에 상주하는 스님들이 많고, 수행을 중시한다는 의미로 웅진..

영주 부석사, 불전들 (웅진전, 자인당, 단하각)

부석사 중심 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숲속길을 따라가다 보면 의상대사 초상을 모신 국보인 조사당이 있고, 숲속길을 조금 더 들어가면 마지막 건물인 웅진전, 자인당과 조그만 단하각이 자리잡고 있다. 웅진전은 부처님의 제자를 모신 불전으로 보통 사찰의 경우 대웅전 옆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부석사 웅진전은 무량수전 뒷쪽편 숲속에 자리잡고 있다. 자인당은 원래 스님들의 선방으로 사용했던 건물인데 인근 사찰터에서 옮겨온 삼존여래 좌상을 모시고 있다. 부석사 조사당을 지나 숲속에 자리잡고 있는 웅진전과 자인당. 부처님 제자를 모신 불전인 웅진전 인근 사찰에서 옮겨온 삼존 여래좌상을 모신 자인당. 원래는 선방으로 쓰였던 건물이라 한다. 웅진전 뒷편에 있는 작은 건물인 단하각. 손에 쥐를 쥐고 있는 나한상을 ..

양산 영축산 통도사 - 명부전, 웅진전

☞ 관련: 국내여행, 한국의 사찰, 통도사(개요) 통도사의 상위영역인 상로전의 주 불당인 금강계단 및 대웅전의 좌우측에 자리하고 있는 명부전과 웅진전입니다. 이곳에서 제일 중시하고 있는 곳이 어딘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로전에서 금강계단의 우측편에 자리잡고 있는 명부전입니다. 크고 화려하게 지어졌습니다.건물이 화려하게 지어졌습니다. 웅진전은 나한전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이 건물에 부처님의 16제자를 봉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한은 범어로 '아라하트'라고 한다. 나한을 모신 불전으로는 웅진전과 오백나한전이 있다. 웅진전에는 일반적으로 중심불과 그 협시불을 중심으로 16나한만을 모신다. 16나한은 이미 성자의 위치에 오른 수많은 나한 중에서도 부처의 열반 후 중생에게 그 복덕을 성취하게 하고 올바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