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토기 27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가야의 토기, 상형토기

가야지역에는 신라와 더불어 여러가지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토기가 많이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수레,신발,집,배 등 다양한 물건들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어서 당시의 생활상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또한 지역별로 존재한 가야연맹체의 국가별로 특징적인 토기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가야를 대표하는 토기인 바뀌달린 잔. 둥글고 큰 수레바퀴를 뿔잔의 양 옆에 붙여 만든 것으로 무덤에서 출토되었다. 영혼을 나르는 의미로써 제사 등의 의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모양 토기 뿔모양의 잔 사슴이 있는 구멍단지 집모양 토기 집신모양 잔 신선로 모양 잔과 그릇받침모양 토기 집모양토기 삼각구멍무늬 잔 상형토기란 인물이나 기물 또는 동물 등 여러가지 모양을 본떠서 만든 토기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

중앙박물관 2010.01.04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백제의 토기

백제의 토기는 한성기, 웅진기, 사비기의 토기로 분류할 수 있다, 한성기의 토기는 이전의 토기 제작기법에 낙랑과 고구려의 기술이 더해져서 실용성이 돋보이는 토기들이 제작되었다. 웅진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토기가 제작되었는데 실제 발굴되는 유물은 무덤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사비기에는 그룻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의 토기가 만들어졌고, 토기의 규격이 통일되었다고 한다. 한성기의 토기 백제 토기는 이전의 전통적인 토기 제작 기법에 낙랑과 고구려의 기술이 더해져 만들어졌다. 토기의 형태는 매우 다양해졌는데, 꾸밈을 자제한 실용성이 돋보이며 부드럽고 우아한 것이 특징이다. 한성기에는 백제 고유의 토기인 검은간토기와 세발 접시가 등장하고, 곧은목항아리.장란형 토기 등도 만들어졌다. 웅진기의 토기 사비기의 토기. ..

중앙박물관 2010.01.02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삼한의 토기, 신앙

삼한은 새가 곡식의 씨앗을 가져다 주거나 죽은 이의 영혼을 천상으로 인도한다는 조령신앙을 믿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우리나를 거쳐 지나가는 시베리아의 철새가 계별의 변화를 인상적으로 보여주기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후대 가야연맹체에서도 새와 관련된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갑골문자 유래와 같이 동물의 뼈를 이용해서 점을 치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남 해남의 조개무지에서 출토된 점을 치던 동물의 뼈 삼한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인 오리모양토기. 이런 형태의 토기는 후대의 가야연맹체까지 이어진다. 다양한 형태의 새모양 토기 오리모양이 새겨진 청동기. 경남 고성에서 출토된 유물로 제례의식 등에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표적인 제례도구인 세발달린 솥(鼎) 고대 사람들은..

중앙박물관 2009.12.31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고조선의 토기, 미송리식토기

고조선은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오랜기간동안 존속한 고대국가로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형태의 토기를 남겨놓고 있다. 초기에는 토기 겉면에 무늬가 없는 민무늬 토기를 사용했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미송리식토기, 배부른 단지 등 발전된 모습의 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미송리토기는 고조선을 대표하는 토기로 납작한 바닥에 아가리 점차 벌어지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청천강 이북지역에 고루 출토되고 있다. 청천강 이남지역에서는 팽이모양토기가 사용되어 졌다. 초기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민무늬토기 붉은 간 토기. 토기 겉면을 문질러 붉은색을 띠고 있다. 검은 간토기 청동기시대에는 토기 겉면에 무늬가 거의 없는 민무늬토기를 사용하였다. 이 시대 토기는 굵은 모래나 돌가루를 섞은 다소 거친 진흙으로 빚어 한뎃가마에서 구웠..

중앙박물관 2009.12.29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신석기 시대의 토기 (덧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인 빗살무늬토기와 덧무늬토기이다. 덧무늬토기는 토기 중에서 가장 연대가 빠른 유물로 부산 동삼동 유적지에서 발굴된 것이 대표적이며, 양양에서 발굴되었다고 한다. 이 덧무늬토기는 전국에 걸쳐서 발굴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굴되는 토기라 한다. 후대의 토기인 빗살무늬 토기는 한반도 전역에 걸쳐서 발굴되는 유물로 지역마다 다른 특색을 보여주고 있는데, 동일한 문화라고 보기 어렵다는 견해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부산 동산동에서 발굴된 덧무늬토기. 대표적인 덧무늬토기 양양 오산리에서 출토된 누른무늬 토기. 융기문토기(隆起紋土器)라고도 한다. 덧무늬토기는 토기를 만든 다음 그 기벽 위에 또다시 흙띠를 덧붙여 돋아오르게 한 것을 말한다. 토기의 바탕흙살을 세게 눌..

중앙박물관 2009.12.28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신라실1 - 서수형토기, 말탄 무사 토기, 등잔형 토기

삼국시대 생활도구를 대표하는 것은 역시 다양한 토기류가 아닐까 생각된다. 장식적 의미를 가지는 동물모양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장식용도의 토기를 비롯해서 실생활에 사용되던 등장, 주전자, 그릇 등이 있다. 지금도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에서는 당시의 분위기를 주기 위해서 이런 토기로 만든 생활용구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 같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토기류 중 대표적인 유물 중 하나인 서수형토기. 거북 모양의 몸통에 용 모양의 머리와 꼬리를 하고 있는 상형토기이다. 용도는 ?? 거북과 같은 둥글고 납작한 몸통에 머리와 꼬리는 용 모양을 하고 있는 독특한 형태의 상형토기이다. 툭 불거진 눈망울, 금방이라도 불길이 뿜어져 나올 듯 쫙 벌어진 입과 길게 뻗은 혀가 매우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

지역박물관 2009.06.24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 원삼국실 - 토기들

경주박물관 주전시관인 고고관에서 제일 처음 들어가는 입구인 원삼국실에 전시된 토기류들이다. 빗살무늬토기에서 시작해서 무늬없는 토기, 원삼국시대의 단단한 와질토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토기들이 전시되어 있는 데 아마도 교과서에 나오는 것들도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 박물관을 다녀보면 생각보다 토기류가 많인 발굴 전시되고 있다. 후대의 유물에 비해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주 황성동에서 발굴된 신석기 시대 유물인 '빗살무늬토기'와 동시대에 만들어지 토기의 파편들. 교과서 같은 서적에 많이 등장하는 유물이 아닌가 한다. 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진 토기이다. 순수하게 곧은 입술, 뾰족한 바닥의 포탄 형태를 띠며, 겉면에 빗모양의 무늬새기개(施文具)로 찍거나 그어서 여러 가지 기하학..

지역박물관 2009.06.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