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낙안읍성과는 달리 해미읍성내에는 주민들이 살지 않는 텅빈 공간이다. 지금 읍성내에는 관청건물과 서산지역의 민가들을 재현해 놓고 있다. 서산지역 민가들은 대부분 ㅡ자형 주택을 하고 있으며, 이 곳을 방문한 사람들이 쉬어 갈 수 있거나,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해미읍성 동헌 앞쪽에 재현해 놓은 서산지역 초가 주택들
시골마을 돌담길
부농의 ㄱ자형 주택.
조선시대 민가로 부농의 집을 재현하였다. 전형적인 서산지역의 민가로서 대청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이런 ㄱ자형의 가옥은 ㅡ자형 가옥의 기본평면에서 발전된 것으로, 부억 1칸, 방 1칸의 기본적인 생활공간의 형태로 필요에 따라 칸이 덧붙여져 확대된 것이다. 이 가옥은 부유한 농가로 각종 농기구와 농산물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와 부속채가 딸려 있는데 부속건물을 마당 한쪽에 치우쳐 지어 농경작업을 위한 마당의 공간 활용을 높였다. <출처:해미읍성>
방2칸의 일자형 초가주택.
조선시대 민가로 상인의 집을 재현하였다. 대들보 아래의 방을 일렬로 배치한 홑집 즉 단일형 가옥으로, 우리나라 서부와 남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조선 후기 민가의 보편적 형태이다. 이 지역 민가들은 일반적으로 몸채를 ㅡ자형으로 하고 광, 외양간, 측간 등을 하나로 묶어 부속채를 구성한다. 이 가옥 역시 부엌1칸, 방2칸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3칸 초가이며 부속채가 딸려 있다. 장사가 주업이지만 텃밭 경작을 위한 기본적인 농기구를 갖추었다. <출처:해미읍성>
조선시대 서민주택. 관청에서 일하던 말단관리의 주택
조선시대 민가로 말단관리인 서리의 집이다. 부엌1칸, 방2칸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서산지역의 3칸 초가집이다. ㅡ자 형의 평면구성은 우리나라 농촌민가의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 되는 공간배치로서 부엌과 방들이 일려로 연속배채되어 있다. 모든 방이 남쪽으로 출입구를 두어 쾌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하고 있다. 방에 갖춘 간단한 문구류가 집주인의 직업을 말해준다. <출처:문화재청>
마을 공동우물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 덕숭산 수덕여관에 있는 고암 이응로 화백의 암각화 (0) | 2010.09.11 |
---|---|
예산 덕숭산 수덕여관, 고암 이응로 화백이 머물던 곳 (0) | 2010.09.11 |
영주 선비촌 해우당 고택, 경북지역 양반집 대저택 (0) | 2010.09.11 |
영주 선비촌 김상진 가옥, 중류층 양반 가옥의 전형 (0) | 2010.09.11 |
영주 선비촌, 소수서원과 함께 하는 선비들의 삶을 보여주는 곳 (0) | 201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