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궁궐_종묘

서울 동묘(보물142호), 삼국지 영웅 관우 장군 제사를 모시는 곳

younghwan 2013. 5. 22. 15:06
반응형


 서울 동묘는 삼국지의 영웅인 관우 장군 제사를 모시는 묘로서 중국에서는 공자의 제사를 모시는 묘인 대성전 만큼 인기가 좋은 곳이지만 우리나라에는 많지 남아 있지 않아서, 이 곳 서울의 동묘가 거의 유일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동묘를 짓게 된 이유는 임진왜란 때 조선과 명나라가 왜군을 물리치게 된 까닭이 성스러운 관우 장군께 덕을 입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서 인데, 명나라의 왕이 직접 액자를 써서 보내와 공사가 이루어졌다. 동묘는 선조 32년(1599)에 짓기 시작하여 2년 뒤인 1601년에 완성되었다. 서울에는 동.서.남.북 4곳에 지어졌으나 지금은 동쪽편에 지어진 동묘만이 남아 있다. 동묘에는 관우와 그의 최측근인 관평, 주창 등 4명의 상을 모시고 있다. 동묘는 조선중기에 세워진 중국풍의 건물로 우리나라에서는 흔치 않은 형태를 하고 있다. 동묘 앞에는 오래된 향나무 또한 중국 분위기를 느끼게 하고 있다. 무(武)를 숭상하지 않는 조선시대의 특성으로 인해 관리가 잘 되어 있지는 않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건물배치와 형태는 깔끔하게 되어 있다.

 동묘 건물은 임진왜란때 급하게 세워진 건물이라서 그런지 그 규모가 각급 향교나 성균관의 대성전보다 크지도 않으며, 토착화되지 않아서 중국 북경의 공자묘인 대성전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건물은 한국의 전통적인 사당과는 달리 관우의 조각상과 그의 부하들을 모신 본실과 제사를 올리는 공간인 전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중국의 사당이나 절에서 볼 수 있는 건물의 양식이다. 목조구조물을 기본으로는 하는 한옥과는 달리 구운벽돌을 이용해서 쌓은 건물로 중국 건축물과 한옥의 특징이 합쳐진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서울 동관왕묘, 보물 142호, 1601년(선조 34), 서울 종로구 숭인동
동관왕묘는 서울의 동쪽에 있는 관왕묘라는 뜻으로, 관왕묘는 중국의 장수 관우의 조각상을 두고 제사를 드리는 사당이다.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를 도와준 명나라의 요청으로 1601년(선조34)에 지었다. 명나라에서는 공자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문묘처럼 관우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을 무묘라 하여 크게 숭배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 후기에 무묘를 많이 지었다. 동관왕묘의 중심건물은 두 개의 건물이 앞뒤로 붙어 있는데, 이것은 중국의 절이나 사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다. 지붕은 높은 丁자 모양과 -자 모양이 합쳐진 工자 모양이다. 실내 공간도 앞뒤로 나뉘어 있는데, 앞은 제례를 위한 전실이고 뒤는 관우와 부하장군들의 조각상을 둔 본실이다. 전실과 본실을 감싼 벽돌 벽의 바깥에는 다시 기둥을 두어 처마를 받치고 있다. 관왕묘는 서울의 동서남북에 모두 지어졌는데 그 중 동관왕묘가 제일 규모가 크고 화려하다. 넓은 벽돌벽과 독특한 지붕모양, 조각상, 실내의 구성과 장식 등에서 중국풍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는 17세기 제사시설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서울 동묘는 원래명칭은 동관왕묘로서 임진왜란때 세워진 건물이다. 보통 특정한 사람의 위패를 모시는 경우 사당이라 부르지만, 종묘나 공자묘인 성균관 대성전처럼 이곳도 동묘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동묘는 앞면 5칸, 옆면 6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지붕은 정(丁)자 모양을 하고 있다. 지붕은 한국식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벽은 구운 벽돌로 쌓은 중국식 건물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자체는 중국식도, 한국식도 아닌 퓨전한 양식으로 아마도 임진왜란이라는 혼란기에 세워져서 그런것으로 보인다.


동묘 내삼문. 벽돌로 쌓은 건물로 한옥과 중국식 건물이 절충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동묘 들어가는 길에는 답도나 삼도를 만들어 놓고 있지는 않으며 입구에 하마비와 '금잡인'이라고 적힌 비석을 세워 놓고 있다.


내삼문에 걸린 동묘 현판


내삼문에서 보이는 동묘


동묘 정전. 2개의 건물이 합쳐진 형태로 앞쪽에는 출입문있고 3면에 벽돌로 쌓아 지붕을 받치고 있다.


동묘는 전체적으로 '丁'자 모양의 지붕을 하고 있으며 앞쪽 '-'자형 건물에는 맞배붕을 하고 있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6칸이고 지붕은 T자형의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지붕 무게를 받치는 장식은 새의 부리처럼 뻗어 나오는 익공계 양식이다. 평면상의 특징은 앞뒤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는 점과 옆면과 뒷면의 벽을 벽돌로 쌓았다는 점이다.


동묘 지붕.


관우의 목조상을 비롯한 4명의 상을 모시고 있는 동묘 정전 내부.


관우상이 있는 중앙에 걸린 현판들


양쪽에는 관우를 수행했던 부하인


양쪽 천정에 걸린 현판들. 우리나라 건물의 현판과는 달리 붉은색 바탕에 금색을로 글씨를 쓰고 있다.


동묘 정전 앞 월대에 있는 동물상. 월대도 낮게 조성되어 있고, 동물상도 간소하게 만들어졌다.


동묘 앞 석물들


동묘 정전 앞에 심어진 향나무에서 중국풍을 느낄 수 있다.


동묘 정전에서 내려다 보이는 동묘 들어오는 길. 삼도의 형식을 하지 않고 넓은 판석을 깔아 놓고 있다.


뒷편에서 본 동묘 정전


뒷편 출입문


마당 양쪽의 동.서무. 앞면 5칸, 옆면 1칸반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성균관이나 향교와는 달리 판문을 하지 않고 있다.


2011년 동묘


동묘 내삼문


내삼문 내부


동묘 외삼문


동묘 주변에는 벼룩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