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담양 소쇄원, 유학자 양산보가 조성한 자연환경을 활용한 가장 한국적인 정원 중 하나

younghwan 2013. 3. 11. 23:37
반응형


 담양 소쇄원은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소쇄 양산보가 1530년 건립한 정자와 정원으로 우리나라 정원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곳 중 하나이다. 자연계곡을 중심으로 애양단, 광풍각, 제월당, 고암정사 증 정자를 세우고 대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을 주위에 심어 정원을 이루고 있다. 자연지형에 맞추어 정자를 세우고 수목을 심어 자연과 인공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창덕궁 후원이 자연환경에 적극 활용한 궁궐정원을 대표한다고 하면, 소쇄원은 당시 양반계층이 선호했던 정원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소쇄원에는 원래 10여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계곡을 중심으로 3동의 건물이 남아 있다. 소쇄원의 사랑채격인 광풍각은 계곡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는데 앞면 3칸, 옆면 2칸의 건물로 가운데 1칸은 온돌방으로 하고 그 주위에 마루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담양지역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광풍각 뒷편에 있는 제월당은 앞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형 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왼쪽 1칸은 온돌방, 오른쪽 2칸은 대청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계곡 남쪽편에 위치한 대봉대는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초가지붕을 얹은 사방이 개방된 작은 정자이다. 광풍각 뒷편에는 양산보의 아들이자 필암서원에 배향된 대표적인 유학자인 양자징이 지은 고암정사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의 소쇄원은 양산보의 5대손 양택지가 보수한 것이라고 한다.

 소쇄원을 세운 양산보는 창평(담양) 출신으로 어린 시절 서울로 상경하여 조광조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조광주가 죽자 벼슬을 하지 않고 낙향하여 소쇄원을 짓고 학문에 열중하였다고 한다. 소쇄원에는 그는 이종사촌인 가사문학의 선구자인 송순, 인종의 스승으로 장성으로 낙향하여 호남을 대표하는 유학자로 평가받는 김인후 등과 소쇄원 등에서 교류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양자징은 김인후의 사위로 그의 학문을 계승한 대표적인 유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김인후와 함께 필암서원에 모셔진 인물이다. 양산보가 처음 소쇄원을 세웠을 때는 작은 정자만 있었다고 하며, 그후에 지역의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여러 건물들이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소쇄원 부근에는 김윤제가 세운 환벽당, 가사문학의 산실인 식영정, 증암천 상류에 조선초 전신민이 세운 독수정 등이 있다.

담양 소쇄원, 담양군 남면 지곡리
소쇄원은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중기의 대표적인 원림으로 우리나라 선비의 고고한 품성과 절의가 풍기는 아름다움이 있다. 양산보(1503~1557)가 조성한 것으로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를 당하여 죽게되자 출세에 뜻을 버리고 이곳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소쇄원이라 한 것은 양산보의 호인 소쇄옹에서 비롯되었으며, 맑고 깨끗하다는 뜻이 담겨있다. 오곡문 담장 밑으로 흐르는 맑은 계곡 물은 폭포가 되어 연못에 떨어지고, 계곡 가까이에는 제월당(비 개인 하늘의 상쾌한 달이라는 뜻으 주인집)과 광풍각(비온 뒤에 해가 뜨며 부는 청량한 바람이란 뜻의 사랑방)이 들어서 있다. 소쇄원에는 영조 31년(1755) 당시 모습을 목판에 새긴 '소쇄원도'가 남아 있어 원형을 추정할 수 있다. 이곳은 많은 학자들이 모여들어 학문을 토론하고, 창작활동을 벌인 선비정신의 산실이기도 했다. 지금의 소쇄원은 양산보의 5대손 양택지에 의해 보수된 모습이다. <출처:담양군청>


작은 계곡의 자연지형을 적절히 활용하여 건물을 세우고 수목을 심어서 한국적인 정원을 만들고 있는 소쇄원 전경. 계곡 바로 옆에는 사랑채격인 광풍각이, 뒷편에는 살림집인 제월당이 있다.


소쇄원 입구. 소쇄원은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창평천, 영산강 합류하는 증암천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정자는 넓은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작은 동산이나 강,개천 등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데, 소쇄원은 작은 계곡을 정원처럼 사용하고 있다.


소쇄원을 들어가는 대나무숲 길.


대나무 숲길을 따럿 들어가면 작은 계곡 주위에 크고 작은 정자들을 세워 놓은 소쇄원이 나타난다.


소쇄원 입구의 작은 연못. 계곡의 물을 인공적으로 끌어다 방형 연못을 조성해 놓고 있다.


연지 안쪽으로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초가지붕을 얹은 작은 정자인 대봉대가 있다.


대봉대 마루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축대를 쌓고 세운 사랑채격 건물인 광풍각. 광풍각은 앞면 3칸, 옆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가운데 1칸짜리 온돌방을 두고 4면에 널찍한 마루를 두고 있다. 주로 마루에 앉아 계곡을 내려다 보면, 지역인사들과 교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광풍각 현판


계곡을 담장으로 막고 그 아래로 물이 흐르도록 하고 있다. 담장 아래로 계곡물이 흐르는 통로를 오곡문이라가 한다.


오곡문 담장 뒷편에는 작은 우물인 정천이 있다.


오곡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자연 계곡을 활용하여 꾸며 놓은 소쇄원 정원. 오곡문 바로 아래에 있는 바위를 광석이라 한다.


오곡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광풍각


광풍각 뒷편으로 소쇄원 살림집이라 할 수 있는 제월당이 있다. 제월당 앞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자형 집으로 온돌방 1칸과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있다.


광풍각에서 올려다 보이는 제월당.


제월당


제월당 넓은 대청마루에는 소쇄원을 찾은 유명인사들이 남겨 놓은 글들이 적혀 있는 현판들이 걸려 있다.


사랑채 격인 광풍각은 전형적인 담양지역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가운데 온돌방을 중심으로 뒷편 아궁이를 제외하고는 마루로 둘러져 있다. 광풍각 뒷편에는 양산보의 차남이자 김인후의 사위로 김인후의 학풍을 계승한 유학자인 양자징이 세웠던 고암정사가 있었다고 한다.

고암정사
양자징은 48세가 되는 1570년까지 소쇄원에서 줄곧 생활하며, 학구당 창건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차남인 그가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소쇄원은 적지 않은 제약이 뛰따랐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에게도 독립적인 공간이 필요하였을 것 같다. 이를 위해 소쇄원 안에 건립한 것이 고암정사다. 고암정사가 언제 건립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자세히는 알 수 없다. 선조 7년(1574)에 고경명이 지어 양자정에게 준 시에 따르면, 양자정의 활동 공간인 부훤당이 고암정사 서쪽에 있다고 하였다. 이로 보아 고암정사는 양자직이 관직에 나아가기 전인 1570년 이전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마 그 시기는 훨씬 이전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에 제작된 '소쇄원도'를 보면, 고암정사는 팔작지붕 형태의 다른 건물과는 달리 맞배지붕을 한 3칸 건무이었다. 고암정사는 중간에 사라지고 현재는 대나무로 덮힌 터만 남아 있다. <출처:필암서원>


광풍각 앞에서 본 대봉대. 자연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축대를 쌓아서 인공적으로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광풍각 앞에서 본 오곡문 주변. 그 앞 약간의 공터에는 애향단이 있었다고 한다.


소쇄원 대나무숲


소쇄원 앞 들판. 아주 넓은 평야는 아니지만, 경제적으로 소쇄원을 뒷받침할 정도의 충분한 농토가 있는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