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부산박물관] 삼국시대의 부산

younghwan 2013. 6. 14. 16:50
반응형


 부산지역은 바다를 터전으로 삼아 구석기시대 이래로 인류가 정착해서 살아왔던 지역으로 많은 유적지들 곳곳에 산재해 있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를 지나면서 도구의 발달로 농업생산력이 늘어남에 따라 촌락을 이루어 살기시작했으며, 계급의 분화가 이루어졌다. 바닷가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던 촌락들이 점차로 온천천과 수영천이 흐르는 동래지역을 중심으로 성읍국가를 형성하였다. 삼한시대에는 변한12국 중 하나인 독로국이 자리잡았으며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부산은 김해의 구야국과 함께 가야연맹체에서 가장 강력했던 금관가야의 중심지로 발달한다. 동래의 복천동고분군은 이지역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당시 이지역의 번영을 보여주는 큰 무덤들과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어 김해의 대성동고분군과 함께 금관가야의 대표적인 유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4세기경에는 한반도 남부지역에 큰 변화가 생기는데, 일본과의 대외교역창구로 크게 번성했던 가야는 고구려가 남쪽지역을 정벌하게 됨에 따라 고구려의 지원을 받은 신라가 크게 확장하면서 금관가야는 쇠퇴하게 된다. 이 시기 이후 부산에는 삼국시대의 유물이 많이 발견되지 않는 편이며, 부산지역은 신라의 지방으로 그 세력이 크게 쇠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삼한.삼국시대의 부산
청동기시대 후반 무렵 중국으로부터 철기문화의 유입으로 삼한사회(기원전 2세기~기원후3세기)가 성립되면서 부산도 역사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이때의 부산은 변한 12국 중 하나인 독로국으로 추정된다. 이 시대의 생활유적은 동래패총.내성유적이 있고, 분묘유적은 복천동.구서동.노포동유적이 있다. 유적이 온천천과 수영천 주변에 집중되어 분포하는 것은 이 세력의 중심지가 동래일대였음을 알려준다. 삼한시대부터온천천 주변이 부산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 시기의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와질토기와 덧널무덤의 등장, 철제로 만든 다양한 도구와 무기의 출현을 들 수 있다. 철기사용이 일반화되고 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격동기를 맞이하면서 삼한 소국들은 인접한 소국과 연맹을 맺거나 통합되기도 한다. 부산은 구야국과 더불어 금관가야의 중추적이 세력이 되어 4세기 이후부터 5세기 초까지 문화를 공유한다. 그러나 5세기 이후, 금관가야가 쇠퇴하고 신라가 이곳으로 진출하면서 신라문화가 급격히 유입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삼국시대 유적은 모두 분묘유적이며, 복천동.오륜대.두구동 임석.당감동.화명동.덕천동.반여동.괴정동.연산동고분군 등이 있다. 복천동고분군과 연산동고분군은 큰 무덤들로 형성된 고분군이고 또한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러나 이외의 고분군은 무덤의 규모도 작고 유물의 질과 양도 앞의 두 고분군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삼국시대의 부산은 복천동고분군과 연산동고분군을 만든 집단을 중심으로 하고 주변지역에 대소의 집단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부산박물관>

금관가야
낙동강 하류지역에 위치한 김해와 부산지역의 집단들은 하천이나 섬을 단위로 여러 지역으로 분리되어 존재하였으나, 기원후 3세기 후반에 들어오면 작은 나라로 통합하거나 연맹관계를 맺어 금관가야로 발전한다. 세력확장에 착수한 금관가야는 초보적인 국가체제를 마련하면서 권력의 바탕이 되는 사람과 영토를 확보해 갔다. 금관가야는 4세기 후반에 가장 발전하며 최대의 영역을 이루었는데, 동으로는 철마~해운대, 북으로는 낙동강, 서로는 창원~마산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400년 고구려군의 남쪽 정벌로 큰 타격을 입은 금관가야는 쇠퇴하고, 532년 신라에 투항함으로써 역사무대에서 사라졌다. <출처:부산박물관>


화로모양토기, 항아리, 삼국시대 4세기, 복천동고분군


굽다리접시, 삼국시대 4세기, 복천동고분군

복천동고분군과 대성동고분군
복천동고분군과 대성동고분군은 변한과 가야시기의 부산과 김해를 대표하는 분묘유적이다. 복천동고분군은 부산지역 지배집단의 고분군이고 대성동고분군은 김해지역의 지배집단이 묻히 고분군이며, 이 양 고분군에는 금관가야의 역사가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다. 대성동고분군에서는 토기.무기.갑옷.재갈 등 각종 화려한 유물과 집단들이 주변의 여러 나라와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알려준다. 복천동고분군에는 갑옷.투구.재갈.무기.덩이쇠 등 많은 양의 철기류가 출토되어 전사집단의 모습을 보여준다. <출처:부산박물관>


목걸이, 삼국시대 4세기, 복천동 고분군


통형동기, 삼국시대 4세기, 복천동고분군, 대성동고분군
청동으로 만든 통모양의 중간부 아래위에 2단으로 긴 구멍을 뚫고, 아래쪽에는 나무자루를 꽂았다. 통 안에는 대롱옥 또는 청동이나 철로 만든 구슬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다. 통형동기의 반대쪽에 창과 같은 물미가 놓여 있으므로, 이것을 통형동기의 자루끝에 꽂아 사용한 것이다.


판갑옷


화로모양토기와 항아리, 굽다리접시, 삼국시대 4세기, 대성동고분군 출토 유물

제철과 철기제작
철의 생산은 원료인 철광석과 사철을 채취하는 채광, 철광석을 녹이는 제련, 철소재와 도구를 만드는 주조, 단조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철광산지에서 채취된 철광석을 옮겨와 제련로에 녹여 선철을 뽀아낸다. 선철을 용해로에 넣고 끓여 요융된 상태로 거푸집에 부어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렇게 생산된 것이 주조철기이다. 제련과정에서 나온 선철을 탈탄, 단련작업을 통해 덩이쇠와 같은 철기소재로 만들고, 이를 달군 후 망치로 두들겨 생산한 제품은 단조철기라 한다. 이 방법으로 생산된 철제품이 가장 많으며, 단야작업에는 노.받침대.집게.망치.끌.숫돌 등의 공구가 사용된다. <출처:부산박물관>


덩이쇠, 미늘쇠,


도끼, 낫, 망치, 집게


투구


판갑옷, 팔가리개

가야문화에서 신라문화로
1600년 전, 4세기말에 시작된 고구려의 남쪽 정벌 이후 우리나라 남부지역에는 큰 변화가 나타난다. 금관가야의 일부를 이루고 있던 부산지역은 고구려를 등에 업은 신라의 영향을 받게 되어 가야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신라문화가 자리를 잡게 된다. 신라문화의 영향은 토기.철기.장신구 등의 유물에 뿐만 아니라 무덤의 형태에까지 반영되고, 반면에 가야문화는 토기에서 맥을 이어가다가 5세기 후반 이후가 되면 거의 자취를 감춘다. 이 시기가 되면 경주로부터의 영향력이 문화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 측면에도 미쳐 부산지역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부산박물관>


금동관, 삼국시대 5세기, 복천동 고분군


가지방울, 삼국시대, 4세기, 복천동 고분군


그릇받침, 소형그릇받침과 입큰항아리


굽다리접시, 손잡이달린접시, 그릇받침과 항아리

부산의 신라편입
6세기대에 이르러 완전한 신라영토가 된 부산지역에는 여러가지 변화가 나타난다. 부산이 신라의 영토로 편입된 이후 양산이 중요한 지역으로 부상되자, 부산은 신라의 지방으로 바뀌면서 가야때의 영화는 사라져 갔다. 큰 무덤은 인근의 양산에 만들어지고 부산에는 임석고분군.오륜대고분군 등과 같은 소형 무덤만 만들어졌다. 부산이 신라의 영토로 편입된 직후에는 기존의 전통문화를 유지하던 집단과 신라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나, 신라의 지방제도가 정비되면서 점차 전통사회가 약화 해체되어 갔다. 그러나 신라의 사해제 중 남해진에게 지내는 중사가 이곳에서 올려지기도 했다. <출처:부산박물관>


고리자루큰칼, 삼국시대 5세기, 복천동고분군


재갈, 말띠드리개


굽다리접시, 다리달린 목항아리, 손잡이달린항아리


손잡이달린항아리, 굽다리접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