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보물657호)

younghwan 2013. 8. 12. 15:30
반응형


 보물 657호로 지정된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는 북한산 자락에서 흘러내리는 많은 계곡 중 하나인 삼천리골계곡에 남아 있는 불상이다. 계곡에 있는 큰 바위에 새겨진 이 불상은 고려초인 11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불상은 지금은 삼천사 대웅전 뒷편에 위치하고 있지만, 원래는 현사찰에서 2km 쯤 위쪽에 삼천사가 있고 마애불상이 있는 이곳에는 작은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바위에 새겨진 높이 2.6m의 이 불상은 얼굴과 윗몸은 돋을 새김을 하였으나, 하반신과 광배 대좌 등은 볼록한 선새김을 하고 있다. 불상이 조성된 바위 위에 다른 커다란 바위가 얹혀 있어 지붕이나 보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초기에 새겨진 불상으로 조각수법이 섬세하면서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전체적인 비례 또한 자연스럽다.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보물657호, 서울 은평구 진관동
이 불상은 북한산 기슭에 위치한 삼천사 대웅전에서 위쪽으로 30m 지점의 계곡에 있는 병풍바위에 얕게 돋을새김되어 있는 마애불상이다. 크기는 2.6m이며 정확한 제작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 11세기경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불상은 반쯤 눈을 뜨고 입가에는 가벼운 미소를 띠고 있는데 조각기법이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가사는 길게 발등 위까지 늘어져 있고 그 안에 입은 내의가 가슴에 비스듬히 비쳐 보인다. 내의를 묶은 매듭이 옷 위로 길게 늘어뜨려져 있고 좌우로 벌려 바닥을 디딘 두 발은 다소 투박하게 표현되어 있다. 불상의 좌우에 네모난 구멍이 깊게 파여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불상 앞에 예불을 위한 공간으로 목조 건물이 세워져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애불이 있는 곳에서 산 위쪽으로 올라가면 삼천사라는 절의 터가 남아 있다. 삼천사는 고려시대의 유명한 법상종 사찰로 고려 현종대에 크게 활약했던 대지국사 법경의 비 조각들과 머릿돌, 받침돌 등이 남아 있다. <출처:서울시청>


북한산 자락의 수많은 계곡 중 비교적 작은 규모인 삼천사계곡에 위치한 삼천사 뒷편에는 고려초에 조성한 마애여래입상을 볼 수 있다. 불상이 새겨진 바위 윗쪽에 큰 바위가 지붕처럼 얹혀 있다.


이 불상은 높이 2.6m로 비교적 큰 편이며, 자연석에 돋을새김과 선새김으로 불상을 새겨놓고 있는 그 조각수법이 섬세하면서도 자연스럽다. 불상을 새긴 바위의 재질이 우수하고 조각수법이 뛰어나서 지금까지도 크게 훼손되지 않고 그 원형을 알아볼 수 있다.


마애여래입상 뒷편에 있는 산령각. 불교와 전통민간신앙이 혼합된 형태의 불전으로 북한산 산신을 모시는 공간이다.


불상 앞쪽에는 최근에 미얀마에서 얻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석종형 사리탑이 있다. 이런 까닭에 적멸보궁이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산령각 입구의 기념비석


산령각 출입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앞에는 많은 사람이 기도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