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기 학자이자 관리였던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함양 남계서원(사적 499호)이다. 이 서원은 영주 소수서원에 이어 두번째로 세워진 서원이다. 아래쪽에 강학공간인 강당과 동.서재를 두고 위쪽에 사당을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처음으로 구현한 서원으로 후대 세워진 서원들의 모범이 되었던 곳이다. 문루, 강당, 동.서재, 경판고(장판각), 내삼문, 사당, 전사청, 고직사 등 서원이 갖추어야 할 건물을 제대로 갖추고 있다. 대원군의 서월철폐령에도 살아 남은 전국 47개 서원 중 하나로 서원건축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정여창(1450~1504년)은 성종대에 활동한 인물이다. 조선중기 사림세력을 이끌었던 김종직 문하에서 김굉필과 함께 수학하였다. 성종 때 여러차례 관직에 추천되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고 연산군 때 안음현감을 지냈다. 연산군 때 일어난 무오사화 때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 때는 부관참시되었다. 중종 때 우의정에 증직되었으며 광해군 때 문묘에 배향되었다. 나주 경현서원, 상주 도남서원, 합천 이연서원 등 여러 곳에 그를 모시고 있지만, 이 곳 남계서원이 중심이 된다.
경남 함양군 수동면 남강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는 남계서원(사적 499호)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정여창을 모신 서원으로 영주 소수서원에 이어 두번째로 세워진 서원이다.
남계서원 전경. 앞쪽에 강학공간을, 뒷편에 사당을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후대 서원건축의 모범이 되었던 곳이다.
서원 출입문으로 사용하는 풍영루. 주변경치를 감상하면서 잠시 쉬거나, 손님을 접대하는 공간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화강석을 다듬은 석재 기둥 위에 건물을 올려 놓고 있다.
안쪽에서 본 풍영루
서원의 교육기능을 담당하는 강학공간. 강당을 중심으로 유생들이 기숙사인 동.서재를 두고 있다. 앞쪽에 그의 업적을 기리는 묘정비가 세워져 있다.
남계서원 강학공간의 중심 건물인 강당. 유생들이 모여 한문을 논의하거나 지역 유림들이 모여 정치적인 의견을 수렴하는 공간이다. 가운데 넓은 대청마루를, 양쪽에 온돌방을 둔 전형적인 강당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유생들이 기거하면서 공부하는 기숙사인 동재. '양정재(養正齋)'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온돌방 1칸에 작은 누마루를 두고 있다.
맞은편 서재. '보인재(輔仁齋)'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강당에서 내려다 본 풍경. 주변경치를 감상하기 좋게 개방적은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서원에서 소장한 장서나 목판을 보관하는 건물인 경판고. 벽면은 나무 판벽으로 되어 있으며, 환기가 잘 되도록 건물을 지면에 붙이지 않고 있다.
강당 뒷편 높은 곳에 위치한 제향공간. 사당과 전사청을 두고 있다.
내삼문에서 내려다 본 풍경.
앞면 3칸 규모의 사당. 정여창과 정온, 강익을 모시고 있다. 사당은 판문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곳은 띠창살을 사용하고 있다.
제사준비를 하는 공간인 전사청.
'서원_향교_사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청계서원, 김일손을 모신 서원 (0) | 2016.08.03 |
---|---|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0) | 2015.07.10 |
부여 흥학당, 후학을 양성하기 위한 서당 건물 (0) | 2015.03.03 |
단군성전, 사직공원에 위치한 단군사당 (0) | 2015.02.15 |
강화 충렬사(忠烈祠), 김상용을 비롯한 병자호란때 순절한 인물들을 모신 서원. (0) | 201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