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리산 법주사에도 일반적인 사찰처럼 당간지주가 있고, 비록 복원된 것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많지 않은 철당간도 남아 있다. 이 당간지주는 이집트의 오벨리스크를 연상시킨다. 지금은 하나만 있지만 원래는 두개의 쌍을 이루어서 걸개그림 같은 것을 걸어두는 목적이라고 한다. 멀리서 보고 사찰에 거의 도착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법주사 철당간과 당간지주. 사진 두개를 나란히 놓으니 원래 철당간의 모습을 보는 듯 하다.
법주사 경내에는 목탑, 금동미륵대불과 함께 가장 높이 하늘로 솟아 있다.
☞ 당간지주
당간이란 달리 찰(刹) 또는 찰주(刹株)라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절(寺)을 사찰(寺刹)이라 말함은 절에 당간 즉,찰(刹)이 세워져 있기 때문이라 한다. 예전에는 종파를 표시하기 위해 당간 위에 특정한 색깔의 깃발을 내걸기도 하였다. 한편, 당간이란 솟대와도 같은 기능을 갖게 되어 신성구역임을 표시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현재 전하는 법주사 당간지주는 고려목종7년(1006년)에 조성된 것으로서 조성 당시의 높이는 전체 약 16m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 고종때 국가재정마련을 위한 당백전 주조라는 대원군의 명에 의해 사찰의 수많은 금속물들이 수거된 바 있었는데, 당시 이곳의 철당간 역시 파괴되었다. 곧이어 순종 당시(1910년경) 이 곳 철당간은 22m의 높이에 원래 모양대로 복원되었으며, 1972년 다시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출처:법주사>
법주사 철당간과 당간지주. 사진 두개를 나란히 놓으니 원래 철당간의 모습을 보는 듯 하다.
법주사 경내에는 목탑, 금동미륵대불과 함께 가장 높이 하늘로 솟아 있다.
☞ 당간지주
당간이란 달리 찰(刹) 또는 찰주(刹株)라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절(寺)을 사찰(寺刹)이라 말함은 절에 당간 즉,찰(刹)이 세워져 있기 때문이라 한다. 예전에는 종파를 표시하기 위해 당간 위에 특정한 색깔의 깃발을 내걸기도 하였다. 한편, 당간이란 솟대와도 같은 기능을 갖게 되어 신성구역임을 표시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현재 전하는 법주사 당간지주는 고려목종7년(1006년)에 조성된 것으로서 조성 당시의 높이는 전체 약 16m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 고종때 국가재정마련을 위한 당백전 주조라는 대원군의 명에 의해 사찰의 수많은 금속물들이 수거된 바 있었는데, 당시 이곳의 철당간 역시 파괴되었다. 곧이어 순종 당시(1910년경) 이 곳 철당간은 22m의 높이에 원래 모양대로 복원되었으며, 1972년 다시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출처:법주사>
반응형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은 속리산 법주사] 철확鐵鑊, 거대한 밥솥 (보물) (0) | 2010.03.24 |
---|---|
보은 속리산 법주사 - 석조(石槽), 식수를 담아 두던 곳 (0) | 2010.03.24 |
보은 속리산 법주사 - 희견보살상 (보물), 머리에 향로를 이고 있는 석상 (0) | 2010.03.24 |
보은 속리산 법주사 - 통일호국 금동미륵대불 (0) | 2010.03.24 |
보은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국보 55호), 거대한 목탑 (0) | 201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