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미읍성은 순천의 낙안읍성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읍성이다. 해미읍성과 낙안읍성은 그 구조와 성을 쌓은 목적이 매우 유사하며, 해안에서 들어오는 왜구의 기습에 대비한 모습을 곳곳에서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 읍성은 대규모로 침입하는 적들에 대항하여 오랜 기간 농성을 할 수 없는 구조이며, 왜구와 같이 노략질을 목적으로 기습적으로 들어오는 적에 대항하여 2~3일 정도 농성할 수 있는 규모이다. 그래서 해미읍성은 성벽의 높이가 높지 않고, 조총이 없던 시절에 활용한 성으로 성벽위와 돈대에 흉벽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물론 국가적인 반란의 거점이 될 수 없도록 주위에 해자도 설치하지 않고 있다. 해미읍성에는 돈대가 2곳 설치되어 있는데 서해안 바닷가를 향한 남서쪽 방향에만 2개의 돈대가 설치되어 있다.
반응형
'성곽(산성_읍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해안 진지] 갑곶돈대 (1) | 2009.11.22 |
---|---|
[강화 해안 진지] 돈대, 용진진 (2) | 2009.11.22 |
[서산 해미읍성] 복원된 성문인 동문, 서문 (0) | 2009.11.02 |
[서산 해미읍성] 진남문(鎭南門), 읍성의 정문 (0) | 2009.11.02 |
서울 송파 몽촌토성, 초기 백제 수도 위례성을 지키던 토성 (1) | 2009.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