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길산 수종사에 있는 오층석탑이다. 전체적으로 팔각형을 하고 있는데, 통일신라에서 고려초까지의 삼층석탑이나, 오층석탑과는 다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축소형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조선전기에 만들어진 석탑인데, 고려말에서 조선초까지의 유행했던 경천사지석탑이나, 원각사구층석탑처럼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새롭게 형성된 석탑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각수법은 세밀하거나 정교하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많지 않은 조선전기의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형적인 고려시대 삼층석탑과 나란히 서 있는 팔각 오층석탑. 오층으로 되어 있어 오층석탑이라고 하는데 다보탑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사 오층석탑은 연좌대 모양의 기단부 위헤 팔각형태의 탑신을 오층으로 쌓아 놓고 있는데 탑신은 월정사 구층석탑과 비슷한 느낌이다.
연좌대 모양의 기단부
오층석탑 탑신. 조각수법이 세련되어 보이지는 않는다.
석탑 앞에 있는 배례석
오측석탑 옆에 있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그만 삼층석탑
부도탑, 삼층석탑, 오층석탑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원래의 위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수종사에 서 있는 8각 5층 석탑이다. 탑은 여러 단을 쌓아 기단(基壇)을 삼고 그 위에 5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으로,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 특이하게도 불상의 대좌와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기단부는 엎어놓은 연꽃무늬와 솟은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화려한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위로 올라가면서 규모가 점차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낙수면은 경사가 완만하며, 처마는 느린 곡선미를 보이고 있다. 꼭대기에는 삼각형무늬가 새겨진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과 보주(寶珠: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올려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절의 중창시기인 조선 전기의 석탑으로 추측된다. 1957년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탑신에서 불상, 보살상 등 18점의 유물이 발견되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불교문화재(탑_석등_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화엄사] 범종각, 운고각 (0) | 2010.06.06 |
---|---|
구례 화엄사 각황전앞석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 (국보) (0) | 2010.06.06 |
[운길산 수종사] 남양주수종사부도 (0) | 2010.05.19 |
[계룡산 갑사] 철당간과 당간지주,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당간 (0) | 2010.04.29 |
[계룡산 갑사] 갑사부도, 내력을 알 수 없는(?) 부도 (0) | 201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