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농성은 통일신라시대 중국 당나라에서 벼슬을 하다 우리나라로 넘어온 충절공 임팔급이 평택 팽성에 터를 잡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임팔급은 우리나라 모든 임씨의 시조로 여겨지는 사람으로 그런 연유로 해서 이 곳 농성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성은 전체 둘레가 약 300m 정도되는 작은 평지성으로 흙으로 쌓은 판축토성이다. 삼국시대 백제에서 추로 토성을 많이 쌓았으며, 고려시대를 지나 조선시대에는 외벽의 석축으로 보강한 경우가 많은데 이 곳 평택 팽성의 농성은 토성 그대로의 모습이 남아 있다. 높이는 약 4m 정도로 읍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규모는 되어 보였다. 평택 팽성지역은 아산만과 가까운 평야지대로 왜구를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과 임진왜란때 쌓았다는 설이 있지만, 농성의 위치나 규모로 볼 때는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서 기존에 있던 농성으로 보강해서 쌓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런 작은 규모의 성은 초기 국가 형성단계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임진왜란같은 전면전에서는 적을 막기가 힘들며, 왜구의 기습에 대비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평택 안성천이 아산만으로 흘러드는 넓은 평야지대에 자리잡고 있는 농성. 평야지대에 있는 작은 동산처럼 보이지만, 인위적으로 흙을 쌓아서 만튼 토축성이다. 농성내부는 주민이 거주할 정도로 넓은 편이 아닌 아주 작은 성이다.
평택 농성 동쪽편 성문. 옛날 토성이라 문루 등은 없고 출입구 흔적만이 있다.
농성 성문은 동.서 2의 출입문이 있다.
성벽 외부는 약간 경사져 있으며 높이는 4m정도로 일반적인 읍성 성곽의 높이외 비슷하다. 조선시대에 이 농성이 읍성으로 역할을 했으면 아마도 외벽에 석축을 쌓았을텐데 군사적으로 큰 의미는 없었던 것 같다.
농성 내부 성벽.
성벽의 둘레는 약 300m로 내부의 넓이는 그리 넓지는 않다. 농성 주위 팽성지역에는 높은 산이 없어서 성벽위에 올라서면 사방이 시야에 들어온다.
농성 동쪽편에는 평택 팽성읍 시가지 보인다.
농성 내부에는 어떤 시설물도 남아 있지 않고, 나무 몇그루만 심어져 있다. 이 곳에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이 곳 농성은 우리나라 임씨의 시조인 임팔급이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오면서 정착한 곳이라 한다. 그래서 이 곳에 그의 동상이 우뚝 서 있다.
평택 팽성읍 농성 성벽. 사방에 산이라고는 볼 수 없다.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마을의 북쪽 논 가운데 있는 성으로, 흙으로 쌓았다. 전체 모습은 타원형으로 둘레는 약 300m이고 높이는 4m 내·외이며, 동쪽과 서쪽에 문터가 있다. 무너진 곳의 단면을 보면 붉은색의 고운 찰흙을 층층이 다져 쌓은 흔적이 있다. 성을 쌓은 이유는 삼국시대에 도적 때문에 쌓았다는 이야기를 비롯하여 신라 말기 중국에서 건너온 평택임씨의 시조인 임팔급이 축조하여 생활 근거지로 삼았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에 서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과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이 전한다. 성 바로 옆에는 겨울철에는 따뜻한 물이, 여름철에는 찬물이 나오는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이 성은 평지에 만든 소규모의 성으로 이런 흙으로 쌓은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나타나는 형태인데, 이 지역의 토착 세력 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로 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문화재청>
'성곽(산성_읍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성곽] 창의문(자하문), 한양도성 북소문에 해당하는 성문 (0) | 2010.09.22 |
---|---|
[서울 성곽] 서대문에서 인왕산 아래 (사직동 부근) (0) | 2010.09.22 |
[남한산성] 서문(우익문)에서 북문(전승문)까지, 석양이 아름다운 곳 (0) | 2010.07.18 |
수원 화성, 조선의 성곽 축성 기술이 집약된 유네스코 문화유산 (2) | 2010.05.23 |
강화해안진지, 김포 덕포진 포대 (0) | 2010.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