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조선 관아

아산 공세곶고지, 공덕비만 남아 있는 조선시대 충청지역 조운 중심지

younghwan 2010. 9. 24. 23:08
반응형


 아산 공세리성당은 조선시대 충청지역 조운의 중심지였던 공세곶 창고를 개조하여 사용했다고 한다. 아산시 인주면에 자리한 공세곶은 지금은 평야지대에 있는 작은 언덕처럼 보이지만, 원래는 해안가에 돌출된 지형이 곶이었던 곳으로 주변지역이 간척되어 농지로 변했기때문에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한다.

 공세곶에는 충청지역에서 세금으로 걷어들인 곡식을 모아두었다가 배를 이용한 수운으로 서울로 운반하던 기관인 공진창이 있던 곳으로 세금을 운송하는 조운뿐만 아니라 물자가 서울로 이동하는 중요 교통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금강의 강경포구, 영산강의 영산포구 등 당시 해운의 중심지가 되었던 많은 포구처럼 이 곳 공세곶도 지금은 한적한 시골소읍처럼 보이지만 이곳에 창고가 운영되던 시절에는 조운을 담당하던 해운판관을 비롯하여 720명의 담당자들이 있었고, 80칸의 창고, 적재량 800석의 큰 배가 15척이 있었다고 하니, 아마도 민간에서 운용하던 배나 인력또한 상당히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구한말에 이 곳에 공세리성당을 세울 정도로 경제력이 있는 지역이었던 것 같다.


지금은 이 곳에 공세곶 창고가 있었다는 흔적은 주위에서 모아 놓은 옛 해운판관의 업적을 기리는 공덕비와 석축 일부만이 도로 주변에 남아 있고, 그 창고가 있었던 자리에 세워진 공세리성당이 옛날의 영화를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아산 공세리 도로가 석축 앞에 모아 놓은 공세곶 창고인 공진창을 관리하던 삼도해운판관들의 공덕비. 후손들이 보면 섭섭해 할 정도로 관리가 잘 되지는 않아 보인다.


삼도해운판관비

비가 서 있는 이곳은 수로 교통의 요지로, 조선시대 세금으로 받아들인 곡식을 물길을 이용하여 서울로 운반하였던 공진창이 있던 곳이다. 1523년에 80칸의 창고를 짓고, 적재량이 8백석인 조선 15척과 720인의 조운 담당자들을 배속하고, 해운판관을 책임자로 임명하여 조세의 안정적인 수납과 운송을 담당하게 했다. 여기의 비들은 해운판관들의 깨끗한 덕행과 바르고 착한 다스림을 기리는 기념비로 6기가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1649년의 것이고, 가장 최근의 것은 1708년의 것이다. 본래 창고지 앞과 도로변에 돌을 쌓아 올린 석축 일대에 흩어져 있던 것을 최근에 한자리에 모아 놓았다. <출처:아산시청>


일부 남아 있는 석축


옛날 국가소유 땅이어서 그런지 이 곳에 농협창고가 있다.


옛 공세곶 창고가 있었던 자리에는 지금 공세리성당이 세워져 있다. 19세기에는 조창 자체가 폐지되어 창고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그대로 내버려 두었다가 1897년 성당으로 개조되었다고 한다.


옛날 큰 배가 드나들던 해안가는 지금은 간척이 이루어져 넓은 평야로 변해 있다.


위성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공세곶은 평택과 연결한 아산만방조제의 연결 지점으로 주위에는 넓은 평야가 있는데 옛날에는 배가 드나들 수 있는 갯벌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조선시대 곡식을 운반하기 전에 쌓아두던 창고의 하나로 ‘공진창’이 처음 명칭이다. 성종 9년(1478) 『경국대전』에 의하여 모든 제도가 정비되면서 충청도에서 세금으로 거둔 곡식은 모두 이곳으로 모았다가 일정한 시기에 서울의 창고로 운송하도록 하였다. 지금은 창고터 주변에 만든 성지(城地)가 약 680m 정도 남아 있는데, 겨우 터만을 알아 볼 정도이다. 처음에는 창고가 없어 한데 쌓아 두었으나, 중종 18년(1523)에 비로소 창고 80칸을 건축하였다고 한다. 이곳에서 충청도 지방 39개 목·군·현의 조세로 바친 쌀을 모아 두고 배로 수도까지 운반하였다.  <출처:문화재청>

공진창에는 곡식의 운송을 위하여 적재량 8백석의 조선 15척과 운반인 720명이 배치되었고, 곡식의 수납과 운송책임자로 해운판관이 임명되었다. 조선후기에 접어들어 조창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충청도 토사로 하여금 겸임하게 하다가 1762년 이후에 아산현감이 관리하도록 하였다. 19세기에는 조창 자체가 폐지되어 창고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그대로 내버려 두었다가 1897년 성당으로 개조되었다. 현재 창고지 주변에는 당시 세운 성벽이 남아 있다. <출처:아산시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