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려 조선 유적_왕릉

[서울 고려대박물관] 혼천시계 (국보230호)와 조선시대 천문도

younghwan 2010. 11. 25. 01:30
반응형
 고려대 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인 국보 230호로 지정된 혼천시계이다. 어떤 연유로 이 박물관에서 소장하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선의 천문학 수준을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조선시대에는 혼천의라고 불리는 천체 위치측정기로 일월오행성의 위치를 측정했는데 문헌상 세종조에 만들어진 것이 처음이다. 그 이후로 물레바퀴를 동령하으로 하는 시계와 연결하여 혼천시계로 사용했다고 하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그 모습을 정확히는 알 수 없다.

 고려대 소장 혼천시계는 17세기에 천문학자였던 송이영이 만든 천문시계로 서양의 톱니바퀴 시계와 조선의 혼천시계를 결합하여 만든 독창적인 시계로 학자들에게 천문학 교육을 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 한다. 현재 만원권 지폐에도 나와 있을 정도로 그 중요성이 높고, 조선사회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유물이다.

 이 박물관에는 혼천시계 이외에도 조선시대 천문학 수준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천체를 그린 천문도 병풍이 있다. 이 천무도들은 비록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것이지만, 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과 유사한 성격의 천문도이다. 조선의 천문학 수준을 잘 보여주는 유물들이다.


혼천시계 (국보230호).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기술 유물로 조선시대 천문학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혼천시계는 기존의 혼천의와 톱니바퀴를 이용한 서양식 시계를 접목한 독창적인 천문시계이다. 천체와 별의 움직임을 이해하는데는 이 혼천시계의 원리가 상당히 유용했을 것이다. 지금도 이런 도구가 있으면 천체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혼천시계에서 천체의 움직임을 설명해 주는 혼천의


시계 기능을 하는 톱니바퀴들로 구성된 기계장치는 나무상자속에 있다.

조선 현종 10년(1669) 천문학 교수였던 송이영이 만든 천문(天文)시계로, 홍문관에 설치하여 시간 측정과 천문학 교습용으로 쓰였던 것이라 한다. 시계의 지름은 40㎝이고, 그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地球儀)의 지름은 약 8.9㎝이다. 2개의 추 운동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하나는 시각을 위한 바퀴와 톱니바퀴들을 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는 종을 치는 장치를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쇠구슬이 홈통 안을 굴러 내려감으로써 종을 치는 망치가 걸려 곧 종이 울리고, 회전바퀴 살에 붙은 주걱들에 의하여 쇠구슬이 들리면서 이 작동이 반복된다. 즉, 2개의 축을 동력으로 하여 여러 가지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시계 장치와 지구의가 설치된 혼천의 두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 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만든 천문시계 중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유물로,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모델이었던 물레바퀴의 원리를 동력으로 삼은 시계장치와 서양식 기계 시계인 자명종의 원리를 조화시켜 전혀 새로운 천문시계 모델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세계 시계 제작기술의 역사상 독창적인 천문시계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혼천의 혼의 또는 선기옥형이라고도 불리는 일종의 천체 위치측정기로서 일월오행성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쓰였던 천체관측기기이다. 혼천의는 오래 전부터 천문관측에 사용하여 왔으나, 문헌상으로는 세종실록에 정초, 박연, 김진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것이 처음이다. 그 후 개량을 거듭하여 물레바퀴를 동력으로 하는 시계와 연결하여 혼천시계로 사용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불타버린 것을 이민철, 송이영 등이 이를 개량하여 경희궁에 설치하였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이 혼천의는 국보인 송이영의 혼천시계 중 혼천의 부분을 확대 복원한 것이다.


황도남항성도와 황도북항성도. 종이에 채색한 것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이어온 조선의 천문도이다.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천문지도였던 것 같다. 황도남황성도는 조선에서는 보지 못했던 남반구의 별들을 서양을 통해 들여온 자료를 통해 조선후기 관삼감에서 보완한 것이라고 한다.


북극성을 중심으로 별자리들을 표시한 것 같다. 점의 크기는 항성의 밝기를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천문도에 그려진 별자리들


천문도 엄격한 좌표 기준에 의해서 그려졌으며, 아마도 관상감에서 공식적으로 그린 천문도를 옮겨서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지구전후도병풍, 비단에 채색한 것으로 세계지도와 천문도가 그려져 있다. 구한말에 그려진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여기서 세계지도는 외국의 지도를 보고 그렸고, 천문도는 조선의 공식 천문도를 그린 것을 생각된다.


세계지도는 중국에서 들여온 지도를 보고 그린 것으로 보인다.


천문도는 황도남항성도와 황도북항성도와 동일한 내용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