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려 조선 유적_왕릉

만인의총 (사적272호), 정유재란 때 순절한 일만 남원군민이 묻힌곳

younghwan 2010. 11. 26. 13:53
반응형

 남원 만인의총은 정유재란때 남원성을 지키다 죽은 일만 남원군민과 군인들을 합장한 무덤으로 그 역사적 중요성때문에 사적으로 지적된 곳이다.  남원은 영남에서 호남으로 들어오는 관문이자, 전주를 통해서 서울로 연결되는 중요한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 막마지 무렵에 왜군의 총공세가 영남의 진주성에서 큰 싸움이 있었고, 전략적 요지인 남원성에서 큰 싸움이 있었다. 그 싸움에서 남원성은 완전히 불타버리고, 남원군민, 군인 등 일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사했다. 이때 남원의 큰 사찰인 만복사와 선원사 또한 불타버리고 없어졌다.



 만인의총은 임진왜란이 끝난 뒤 죽은이들을 한곳에 묻고 그들을 추모하는 사당을 지은데서 유래한다. 광해군이 충렬사라는 사당이름을 지었고, 현재 위치에 있는 만인의총은 원래는 남원역 앞에 있었으나 70년대에 이 곳 남원시내 북쪽편 언덕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만인의총은 현충사를 비롯하여 70년대에 성역화한 곳으로 당시에 조성한 임진왜란과 관련된 많은 유적지들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만인의총 유적지는 현장의 실물이 큰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만인의총에 담긴 역사적 의의가 큰 가치를 가지기때문에 사적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만인의총 기념탑


일반적인 사당과 마찬가지로 입구에는 홍살문이 있다.


충의문이라고 한글로 적은 현판이 걸린 외삼문


안쪽에는 솟을대문을 하고 있는 내삼문이 있다.


사당에서 본 내삼문


만인의총 정화 기념비


만인의총 사당. 한글로 적힌 충렬사라는 현판이 걸린 사당으로 70년대에 성역화한 사당들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충렬사 사당 내부. 위패들이 모셔져 있다.


사당 뒷편에는 만인의총 무덤이 있다. 석물들은 없고 제단만이 있다.


무덤옆에 있는 만인의총 기념비.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때 남원성을 지키기 위하여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사람들을 함께 묻은 무덤이다. 왜군은 임진왜란때 전라도지방을 차지하지 못해서 결국 패했다고 생각하여, 정유재란 때는 전라도 지역을 점령한 뒤 북상할 계획을 세웠다. 선조 30년(1597) 7월말 왜군 11만명이 황석산성과 남원을 공격하였다. 남원은 지역적으로 전라도와 충청도를 연결하는 요충지로 국가에서도 이곳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방비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왜군의 침입에 대항하여 군·관·민이 합심하여 싸웠으나 남원성은 마침내 함락되고 말았다. 이 싸움에서 만 여명의 관리와 군사, 백성이 사망하였는데, 임진왜란이후 전사한 사람들의 시신을 한곳에 합장하였고 광해군 4년(1612) 충렬사를 세워 8충신을 제향 하였다. 처음 이 무덤은 남원역 부근에 있었으나 민가에 둘러싸이게 되어 1964년 현재 자리로 이전하였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