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산현은 본래 백제의 대산현이었다가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조선 태종때 홍산현이 설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홍산현 관아는 동헌, 객사, 형방청 건물이 아직까지 남아 있고 많은 관아 건물드리 비교적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어 그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사적 481호로 지정되어 있다.
홍산 동헌은 고을 수령이 근무 건물로 구한말 대원군이 전국 관아 건물들을 정비할 때 현재의 모습으로 보수하였다고 한다. 건물 당호로는 제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있고, 앞면 7칸의 규모를 하고 있다. 중앙 3칸에 대청마루를 두고 왼쪽에 1칸, 오른쪽 3칸의 온돌방을 두고 있다. 이 건물은 해방이후 홍산지서 건물로 사용하다가 1984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고 한다.
앞면7칸, 옆면 2칸에 날렵한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홍산동헌 건물.
동헌 건물 당호로 '제금당製錦堂'이라는 당호가 걸려 있다.
동헌건물로는 규모도 있고, 누각처럼 앞뒤가 개방되어 있어 쉬원한 느낌을 주고 있는 건물 구조이다.
건물 중앙 3칸은 넓은 마루로 되어 있어 평사시 고을 수령이 민원인을 접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동헌 대청마루.
동헌 왼편의 1칸짜리 온돌방
동헌 오른편에는 3칸짜리 온돌방이 있다.
동헌 건물 옆면. 팔작지붕을 상당히 날렵하게 만들었다.
측면에도 출입문과 툇마루를 두고 있다.
부여 홍산현 관아 동헌
동헌은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의 수령이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 등 공적일 일을 하던 곳이다. 흥선대원군은 정권을 잡은 후 관청의 위엄을 세우기 위하여 전국에 걸쳐 관청건물을 정비하였다. 그 일환으로 고종 8년(1871) 정기화 군수가 세웠다. 해방 후 홍산지서로 사용하다가 1984년에 부여군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보수하였다. 앞면 7칸·옆면 2칸의 크기로 중앙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에 각각 크기가 다른 온돌방을 설치했다.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관청의 위엄을 나타내고 있다. 동헌 앞에 있는 이정우 가옥은 관아문과 형방청으로 사용하던 건물이다. <출처:문화재청>
'조선 관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성 결성현 관아, 동헌 (2) | 2010.12.15 |
---|---|
홍성 안회당, 홍주목 관아 동헌 건물 (0) | 2010.12.14 |
광한루원 정원 연못과 오작교 (4) | 2010.12.03 |
남원 광한루원 완월정, 60년대에 광한루 연못을 확장하면서 세운 정자 (0) | 2010.12.01 |
남원 광한루원 방장정, 연못 가운데 섬에 세운 작은 정자 (2) | 2010.11.30 |